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P-321 : Dielectric property of CR-S thin films prepared by spin coating

        나문경,( B. Chandar Shekar ),이시우 한국화학공학회 2007 화학공학의이론과응용 Vol.10 No.2

        Organic thin film transistors (OTFTs) based on organic materials (oligomers or polymers) have been proposed for flexible and disposable electronics. The dielectric material required very high resistivity and highest possible dielectric constant. Cyanoresin (CR-S) is one of the promising representatives of polymer gate dielectric for its high dielectric constant (15 @1MHz) and suitable volume resistance (~4*1012Ωcm). CR-S films were prepared on p-Si by spin coating. IR spectrum confirmed the CR-S functional groups. Morphology of CR-S thin films have been studied by SEM and AFM. MIS (Aluminium/CR-S/p-Si) structure was made and capacitance-voltage (C-V) and current-voltage (I-V) measurements were done with CR-S films. C-V measurements were performed for various frequencies (800Hz~1MHz) for a bias voltage range of -3V to 0.5V. I-V measurements were carried out to measure the leakage current density and determine deep traps of CR-S films.

      • 제7차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과학교과서 중 생물영역 내용 분석

        나문경,정길남,이경희,조운복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연구소 2003 科學敎育硏究報 Vol.30 No.-

        The following was e analysis result of high school textbook(biology) m e seventh curriculum. 1. It followed closely fundamental notions ; deleted nutrition, health, heredity and organized metabolism. 2. The total page of a life unit in each science textbook was like the followings. Textbook A was 23%, textbook B 21%, textbook C 21%, textbook D 23%, textbook E 19%, textbook F 22% and textbook G 22%, respectively. The introduction part in related to the subject of the unit could variously carry out direct and experienced studies, providing cartoons, pictures, photos and questions which caused interesting and motives. 3. In terms of the level among textbook contents, the order was like an tissue and organ(38.1%), cell(26%), individual(12%), molecular biosphere(10.9%), molecule(1.6%), large group(1.0%), and the level was to need basic comprehension about the cell, and molecule, tissue and organ of life in biosphere. Comparing the whole textbooks, the subject dealed with science as research, while it didn't deal with evolution and genetic permanence. Because each textbook set up various research study to perform ingenuity and self-initiative study, reducing class hours as deleting heredity unit in the seventh curriculum. The percentage of the subject of each textbook was the order like G, D, F, A, C, B and E. Comparing to the each subject, it was the order like science as research(31.8%), structure function(22.7%), regulation and homeostasis(18.9%), life and environment(11%), variety and unity, the biological basis of behavior, the history of life notion, genetic permanence, evolution. 4. The following was the times and proportion of research activity. It writed down D(13/20%), C·G(11/17%), A(10/15%), B·F(8/12%), E(4/6%) in metabolism and A·D(11/18%), C·G(10/17%), F(9/15%), E(5/8%), B(4/9%) in stimulus & reaction in order. In terms of the unit, it was the order like D(13/20%), C·G(11/17%), A(10/15%), B·F(8/12%), E(4/6%) in metabolism, A·D(11/18%), C·G(10/17%), F(9/15%), E(5/8%), B(4/7%) in stimulus and counteraction, and C(11/24%), F(9/20%), D·G(7/15%), A·B·E(4/9%) in generation. As it supplied various realizable scientific research-activity in the classroom or laboratory, students studied scientific conception, principal with direct, and concreted experiences and operations. Also, they were understood the materials by reading and thinking the unable activity. 5. As the pictures and photos showed the cartoons in relation to subject and study materials and specific aims, it could motive the student's interest and study. The pictures related to daily life, and it introduce fully the original picture about the human body and sense organ in the generation. And the cartoons and pictures express easily to understand and interesting. Comparing to the total percentage, It is the order like D(118/17%), B·G(114/16%), F(95/14%), C(94/14%), E(83/12%), A(78/11%). But in terms of the each unit of the total textbook, 277% in stimulus and counteraction, 209% in metabolism, there wasn't differences. 6. Further & supplementation courses enabled the students to study science with self-initiative, creative through e discussion method to understand the materials-to get easily, table-not to handle in the main text, picture. And as it also supplied the direct & experimental materials, the students could get the opportunities to close the science.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해 개정된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생물영역)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명 단원에서 영양과 건강, 유전을 삭제하고 물질대사를 신설하여 기본 개념 학습에 충실하였다. 2. 과학 교과서별 생명 단원의 총면수는 A교과서가 68면으로 23%, B교과서가 76면 21%, C교과서가 66면 21%, D교과서는 72면으로 23%, E교과서는 69면으로 19%, F교과서는 66면인 22%, G교과서는 72면인 22%로 설정되었으며, 도입부에서는 단원의 주제와 관련하여 실생활 소재나 재미있는 관련 삽화, 사진과 함께 그림을 제시하여 학습 흥미와 동기 유발을 일으킬 수 있는 질문 등을 사용한 점과 다양한 탐구활동을 설정하여 직접적이고 경험적인 활동을 바탕으로 학습을 다양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3. 교과서의 내용 중 수준을 분석한 결과 생물권내에서 생물의 세포, 분자 나아가 조직과 기관의 기본적인 이해를 요하는 수준으로 조직과 기관(38.1%), 세포(26%), 개체(12%), 분자·생물권(10.9%), 분자(1.6%), 군집(1.0%)순이었다. 주제로는 전체 교과서를 비교해 봤을 때 탐구로서의 과학을 주로 다루었으며, 진화나 유전적 연속성은 거의 다루지 않았는데, 7차 교육과정에서 유전단원을 삭제하여 시수를 축소하여, 실생활과 관련한 자기 주도적이고 창의적인 학습을 위해 다양한 탐구학습이 주로 설정되었기 때문이다. 교과서별 전체 주제를 다룬 비율을 살펴보면 G, D, F, A, C, B, E순으로 나타났다. 주제별로 비교하면, 탐구로서의 과학(31.8%), 구조화 기능(22.7%), 조절과 항상성(18.9%), 생물과 환경(11%), 다양성과 단일성, 행동의 생물학적 기초, 생물개념의 역사, 유전적 연속성, 진화 순이었다. 4. 탐구활동 첫수 및 비율을 비교해 보면 C(19%), D(18%), G(16%), A(15%), F(15%), B(9%), E(8%)순서로 되어 있다. 단원별로 살펴보면 물질대사에서는 D(13/20%), C·G(11/17%), A(10/15%), B·F(8/12%), E(4/6%)로, 자극과 반응에서는 A·D(11/18%), C·G(10/17%) F(9/15%), E(5/8%), B(4/7%)순서로 실려 있었으며, 생식 단원은 C(11/24%), F(9/20%) D·G(7/15%), A·B·E(4/9%)로 되어 있는데, 교실이나 과학실에서 실현 가능한 다양한 유형의 탐구 활동을 제시하여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경험과 조작을 바탕으로 과학 개념과 원리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고, 실제로 해보기 어려운 활동들은 제시된 자료를 직접 읽거나 보고 생각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수록, 이해하도록 하였으며 과학과 관련된 다양한 읽을거리와 상식들을 제공하여 과학을 가깝고 쉽게 느끼고 접할 주 있도록 하였다. 5. 단원의 성격이나 학습 내용에 부합하는 사진, 그림, 삽화를 제시하고 또한 주제와 관련된 만화를 제시하여 학생들의 흥미를 높이고 학습동기 유발을 강화하였는데, 사진은 일상생활과 관련되고, 자극과 반응, 생식단원에서는 인체나 감각기 등 실물사진을 상세히 소개하였으며 그림이나 삽화(만화포함)는 재미있고 이해하기 아주 쉽게 표현하였다. 총계적 비율로 비교해보면 D(118/17%), B·G(114/16%), F(95/14%), C(94/14%), E(83/12%), A(78/11%)순이었으며, 전체 교과서의 단원별로는 자극과 반응이 277(%), 생식210(%), 물질대사209(%)순으로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심화, 보충학습은 단원별로 쉽게 해볼 수 있는 실험이나 주변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들, 상식적으로 알아두어야 할 내용들의 자료제시, 본문에서 미처 다루지 못한 부분의 자료제시, 표나 그림을 이해하여 정리, 토의하도록 하는 방법들을 통해 과학학습이 자기 주도적, 창의적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Effect of Surface Passivation on Breakdown Voltages of 4H-SiC Schottky Barrier Diodes

        강인호,나문경,석오균,문정현,H. W. Kim,김상철,방욱,김남균,박힘찬,양창헌 한국물리학회 2017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71 No.10

        In this paper, the effect of surface passivation on the breakdown voltage of 4H-SiC Schottky barrier diode (SBD) was investigated. The SBDs having various passivation structures were fabricated. The passivation layers consist of 2 different ones: (1) thermal oxide with a post oxidation annealing, or no oxide by removing the oxide, and (2) plasma-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ed (PECVD) oxide, phosphosilicate glass (PSG), or polyimide (PI). The results show that the SBD having a sacrificial oxide as 1st passivation layer and a PI as 2nd passivation layer exhibited lower leakage current by a factor of more than 2 for the reverse bias above 1000 V than the others and its breakdown voltage (VBR) was 2254 V, which corresponds to 93% VBR of a parallel-plane ideal dev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