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준면이 다른 반조절성 교합기의 전방시상과로각과 교합평면경사각에 대한 연구

        김효중,이성복,최대균,백진,Kim, Hyo-Jung,Lee, Sung-Bok,Choi, Dae-Gyun,Bak, Jin 대한치과보철학회 2008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46 No.4

        연구목적: 기존의 교합기들은 서양인의 악안면구조와 하악운동 평균치에 맞추어 제작되어 있다. 이에 현재 임상교육에 널리 사용하고 있는 반조절성 교합기 (KaVo PROTAR, Hanau Modular)를 한국인에게 적용함에 있어서 적절한 기준을 구하고자 이번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24{\sim}41$세 한국인 성인 59명 (남41명, 여18명)을 선정하였다. 피검자 일인당 두쌍의 상하악 모형을 제작, KaVo PROTARevo 7과 Hanau Modular 반조절성교합기에 facebow transfer하여 교합기에 부착 후 전방시상과로각, 교합평면경사도, 교합기 상의 하악의 위치를 계측하였다. 연구성적: 1. 평균 전방시상과로각은 KaVo PROTAR 반조절성 교합기상에서 $33.75^{\circ}$(표준편차 $12.46^{\circ}$)였고, Hanau Modular 반조절성 교합기상에서 $40.72^{\circ}$(표준편차 $12.09^{\circ}$)였다. 2. 평균 교합평면경사각은 KaVo PROTAR 반조절성 교합기상에서 $-2.76^{\circ}$(표준편차 $3.63^{\circ}$)였고, Hanau Modular 반조절성 교합기상에서 $11.87^{\circ}$(표준편차 $3.63^{\circ}$)였다. 3. 하악치열의 중심은 교합기의 중심에서 평균 $5{\sim}7$ mm 범위내에 있었으며 KaVo PROTAR 반조절성 교합기에서는 전치부와 구치부 모두 교합기의 상하적 위치관계에서 중앙에 위치하였고, Hanau Modular 반조절성 교합기에서는 교합기의 중앙높이에서 전치부는 하방 5 mm, 구치부는 상방 3 mm에 위치하였다. Statement of problem & Purpose: Articulators are very important for education and overall clinical situation in the field of prosthodontics, however preexisting articulators are designed and built based on maxillofacial structures and mean values of mandibular movement of Western peopl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a adequate basis for applicating these articulators, presently used for clinical education, for Korean. Material and methods: 59 Korean adults (41 males, 18 females), aged between 24 to 41, where selected for this study. Two pairs of both maxillary and mandibular models were made for each examinee. These models where attached to both KaVo PROTARevo 7 and Hanau Modular semiadjustable articulators by using facebow transfer, than sagittal condylar inclination, occlusal plane inclination and position of mandibular on the articulator where measured. Result and conclusion: 1. Mean sagittal condylar inclination for KaVo PROTAR semiadjustable articulator was $33.75^{\circ}$(standard deviation $12.46^{\circ}$) meanwhile Hanau Modular semiadjustable articulator showed $40.72^{\circ}$(standard deviation $12.09^{\circ}$) for mean sagittal condylar inclination. 2. Mean occlusal plane inclination for KaVo PROTAR semiadjustable articulator was $-2.76{\circ}$(standard deviation $3.63^{\circ}$) meanwhile Hanau Modular semiadjustable articulator showed $11.87^{\circ}$ (standard deviation $3.63^{\circ}$) for mean occlusal plane inclination. 3. On the average center of the mandibular dentition were in the range of 5 to 7 mm of the central position of the articulator. Both anterior and posterior dentition were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articulator vernacularly for KaVo PROTAR semiadjustable articulators, meantime for Hanau Modular semiadjustable articulator, anterior dentition was positioned 5 mm downwards and 3mm upwards for posterior dentition from vertically central position of the articulator.

      • CNN 기반의 한약재 이미지 비교학습 알고리즘

        김효중(Hyo-Jung Kim),김기연(Ki-Hyun Kim),이원형(Won-Hyung Lee),서주완(Ju-Wan Seo),인치호(Chi-Ho Lin) 대한전자공학회 2021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6

        This study is about automatic classification and information delivery of herbal medicines and in more detail, we use big data analysis techniques and deep learning techniques to analyze information about herbal medicines, providing systems for accurate information delivery to patients using herbal medicines. In particular, this invention concerns how to analyze images (algorithms) into two piles to compare image classification accuracy differences according to differences in data collection methods and to produce more accurate results through image data classification evaluation. Furthermore, images can be learned and classified using CNN techniques on VGGNet using data preprocessing and aggregation methods based on each collected image to output accuracy and loss functions each time the validation process proceeds, and image data can be trained, validated, and tested in more detail.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계룡산국립공원 방문객의 관광동기가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 목적 을 조절효과로-

        김효중 ( Hyo Jung Kim ),김시중 ( Si Joong Kim ) 한국경제지리학회 2012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5 No.2

        국립공원 방문객의 경험을 중심으로 방문객의 관광동기에 대해 파악하고, 관광동기가 만족 및 관광객의 행동의도 등에 대한 영향관계를 확인하는 연구는 매우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계룡산 국립공원 방문객을 대상으로 방문 후의 설문조사를 통하여 국립공원 관광동기가 방문객의 만족 및 행동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규명함에 목적이 있었다. 이에 실증분석을 통하여 관광동기가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 그리고 관광동기가 만족도 및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관광 목적의 조절효과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졌다. 본 안구의 가설 검증결과, 국립공원 관광지 관광동기와 만족과의 관계에서 ``신체적 동기`` 및 ``대인적 동기`` 요인은 만족에 있어 영향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관광지 관광동기와 행동의도 관계에서 ``신체적 동기``와 ``대인적 동기`` 요인이 행동의도에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파악 되었다. 또한 방문객 만족은 ``재방문``과 ``구전의도``에 유의한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관광동기와 민족 및 행동의도 간에는 관광 목적 조절변수에 의한 유의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effect of Gycryongsan national park visitors` tourism motivation on satisfaction and behavior intention based on conducted questionnaires. According to the empirical analyses, two effects were draw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tourism motivation on satisfaction and behaviour intention: Second, the moderation effect of tourism purpose on tourism motivation, satisfaction, and behavior intention. According to hypothesis testing for this study, physical motivation and personal motivation influenced satisfaction in terms of tourism motivation and satisfaction for the national park destinations. In addition, physical motivation and personal motivation affected behaviour intention in terms of tourism motivation and behaviour intention for the tourism destinations. Tourist satisfaction, besid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revisit and word-of-mouth intention. Finally, moderate variables of tourism purpos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ourism motivation, satisfaction, and behaviour intention.

      • KCI등재

        대전 뿌리공원 관광지 선택속성이 관광객 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관광지 이미지를 조절효과로-

        김효중 ( Hyo Jung Kim ),김시중 ( Si Joong Kim ) 한국경제지리학회 2012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5 No.4

        관광지 관광객의 경험을 중상으로 관광객의 관광지 선택속성에 대해 파악하고, 관광지 선택속성이 만족 및 행동의도에 대한 영향관계를 확인하는 연구는 매우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전 뿌리공원 관광객을 대상으로 방문 후의 설문조사를 통하여 대전 뿌리공원 관광지 선택속성이 관광객의 만족 및 행동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함에 목적이 있었다. 이에 실증분석을 통하여 관광지 선택속성이 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 그리고 관광지 선택속성이 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관광지 이미지의 조절효과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결과 대전 뿌리공원 관광지 선택속성과 만족과의 관계에서 ``활동·체험성`` 및 ``접근·비용성" 요인은 만족에 있어 영향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관광지 선택속성과 행동의도 관계에서 ``활동·체험성``, ·``접근·비용성`` 과 ``친숙성`` 요인이 행동의도에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관광지 이미지 조절변수께 따른 관광지 선택속성과 만족간의 관계에서는 유의한 조절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행동의도에는 조절역할을 하 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 study in which tourist attraction selection attributes of tourists arc identified focused on experience of tourists in attraction site and relationship between impacts of tourist attraction selection attributes on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is examined is very necessar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Daejeon ppuri park tourist attraction selection attribute on tourist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through survey targeting tourists after they visit Daejeon ppuri park. Relationship between impacts of tourist attraction selection attributes on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and mediated effect of image of tourist attraction in relationship between impacts of tourist attraction selection attributes on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are analyz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As the results of verification of the hypothesis in this study, ``activity and experience`` and ``approach and cost`` factors show higher impact on satisfaction in relationship between Daejeon ppuri park tourist attraction selection attribute and tourist satisfaction. In addition, it shows that ``activity and experience``, ``approach and cost`` and ``familiarity`` factors have impact on behavioral intentions in relationship between tourist attraction selection attribute and behavioral intentions. Finally, it shows the significant mediated effect in relationship between tourist attraction selection attribute and tourist satisfaction depending on mediated effect of image of tourist attraction, but it does not work as mediated function in behavioral inten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