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린 왕자"의 번역읽기와 번역비평. 우리 시대의 번역을 찾아서

        김화영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23 프랑스문화연구 Vol.59 No.1

        본 논문은 원저자의 ‘그때의 책’이 번역가가 속한 오늘의 시대에 더 크게 열린 다양한 해석을 담아낼 수 있는 번역이 필요하다는 전제에서 출발했다. 외국문학 작품은 자국의 문화적 조류의 변화에 따라 다르게 읽힐 수 있고, 새로운 의미가 산출될 수 있는 만큼, 우리 시대 감수성으로 재해석된 번역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어린 왕자 의 번역 현황을 조사하고 정리하여 비평대상이 되는 번역본을 선정하였다. 선정 기준은 우리 시대의 감수성에 부합하는 번역을 발굴하는 목표에 따라, 2010년 이후 출간본 가운데 모더니즘 시대에 초판을 출간하고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에 재번역을 한 전성자 번역(초판72/문예, 2020년), 황현산 번역(초판73/열린책들, 2015), 2018년 팝업북 형태로 발간된 김화영 번역(초판07)을 선정했다. 이와 함께 갈리마르사의 어린 왕자 출간 70주년 기념판본, 어린 왕자의 아름다운 역사 를 번역한 정장진 번역(문예, 13)과 기성 번역에 대한 강도 높은 비판을 통하여 새로운 번역을 시도한 이정서 번역(새움, 16)도 검토 대상에 포함했다. 어린 왕자 에는 아이와 어른, 혹은 유년기 기억을 간직한 어른이 모두 존재하기에 어른과 아이라는 이분법적 대립구조를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불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어른과 아이라는 두 세계가 합쳐지면서 새로운 차원의 서술구조와 글쓰기 유형이 혼재되어 나타남에 주목하고 이를 번역비평의 기준으로 삼았다. 검토한 5종의 번역 가운데 원작의 혼종적 서술방식에 주목하여 이를 일관되게 살려낸 번역은 없었다. 전성자, 김화영, 정장진의 번역은 나름의 한계 속에서 번역마다 특색과 장점이 있다면, 황현산의 번역은 번역문학 작품으로 간주할 수 있을 만큼 역자 특유의 문체가 존재한다. 현재로서는 어린 왕자 번역에 관한 한 모범으로 삼을 만한 번역이다. 이정서 번역은 한 마디로 ‘직역’이라는 번역전략을 오용한 전범으로 삼을 만하며, 문학작품 번역에서 가장 중요한 ‘문학성’에 대한 몰이해로 말미암아, 결국 작품을 자기 나름의 견해로 해석한 번역의 사례로 볼 수 있다. Il existe actuellement plus de 200 traductions coréennes du Petit Prince. L’histoire de la traduction du Petit Prince en Corée dépasse plus d’un demi-siècle, depuis la première parution de la traduction d’An Eung-Ryul en 1956. Pendant cette période, l’ère de la guerre froide et du modernisme passe et nous sommes désormais dans l’ère du post-modernisme, de l’intelligence artificielle et de l’après-Covid 19. Notre étude part du besoin de retraduction ou de nouvelle traduction, à mesure que la langue maternelle change et devient obsolète. La retraduction ou la nouvelle traduction révèle que toute langue est une langue d’ici et maintenant, usée par diverses formes et types de traduction, et qui gagne ainsi en validité. Le but de notre étude est donc de chercher la traduction adéquate de lecteur comme sujet de jouissance de la culture et des arts à l’ère du post-modernisme. Nous essayons de lire le Petit Prince de Saint-Exupéry et les cinq versions de la traduction de cet ouvrage du français vers le coréen: celle de Jeon Sung-Ja, celle de Whang Huyn-San, celle de Kim Wha-Young, celui de Jeong Jang-Jin et celui de Lee Jeong-Seo. Tout d’abord, nous examinons si la traduction réalise le mélange de la narration entre l’adulte et l’enfnat. Ensuite, nous examinons si la traduction montre que l’aviateur-narrateur et le petit prince sont les alter ego de l’auteur de cet ouvrage. Enfin, nous observons si les dessins sont tous identiques au texte original, au niveau de leurs formes et de leurs emplacements. C’est un indice d’autant plus pertinent que les dessins contribuent notamment à créer une ambiance merveilleuse pour les enfants. En même temps, le texte fait référence aux dessins et les dessins font référence au texte : ce phénomène de va-et-vient leur permet de se compléter. On pourrait dire que la traduction de Whang Huyn-San est aux antipodes de celle de Lee Jeong-Seo, dans le domaine de la littérarité. La première nous montre un exemple de traduction réussie dans laquelle le lecteur peut entrevoir un être intérieur oublié depuis longtemps, l’enfant éternel qui existe à la fois chez l’aviateur-narrateur et en nous-mêmes. C’est celui de Lee Jeong-Seo qui comporte de nombreuses erreurs dans les expressions fidèles à la traduction littéraire, à ce qu’il revendique de plus fidèle et sincère à l’original. Le reste des traductions, celle de Jeon Sung-Ja, celle de Kim Wha-Young, celle de Jeong Jang-Jin révèlent certains désaccords et différences stylistiques au niveau des éléments fondamentaux des processus traductologiques. Quant aux éléments stylistiques caractéristiques de l’œuvre comme le temps, le discours indirect libre, on retrouve de nombreux points relativement hétérogènes qui ne sont pas nécessairement dus à la différence de style et de goût des traducteurs. Ensuite quant au statut et à la fonction des dessins comme leurs emplacements, leurs tailles relatives, la traduction de Jeon Sung-Ja et celle de Lee Jeong-Seo négligent le rôle des dessins si bien qu’ils changent les emplacements des dessins, ainsi que des déplacements dans le rôle du dessin comme saisie globale, immédiate et synthétique.

      • KCI등재

        발자크에서의 비판력 마비술 : 《 상어가죽 》의 경우 Le cas de " La Peau de Chagrin "

        김화영 한국불어불문학회 1970 佛語佛文學硏究 Vol.5 No.1

        L'importance de l'oeuvre de Balzac dans la litte´rature franc¿aise n'est plus a` e´tablir. Si de son vivant l'e´crivain n'a pas eu une influence pre´ponde´rante sur les oeuvres litte´raires, par contre celui-ci est en train de prendre une juste revanche en exerc¿ant une attirance grandissante sur la litte´rature de notre e´poque par son ide´e philosophique et sociale. Il nous a paru inte´ressant de faire porter l'objet de notre e´tude sur l'art paralysateur du sens critique a` travers "La Peau de Chagrin."chez Balzac et d'en de´gager la technique de roman balzacien. Notre e´tude comprend deux parties. Dans une premie`re partie, nous avons examine´ l'emploi du pronom personnel ope´rant la transposition d'expe´riences entre les personnages du roman et le lecteur. La seconde partie est consacre´e d'abord a` l'analyse des lieux ou` se de´roule le drame, puis a` l'examen des images vagues et berc¿antes et enfin a` quelques conside´rations sur des oppositions de deux mondes polaires. Pour ce qui est de pronom personnel, nous avons ve´rifie´ que Balzac utilise au de´but du roman les personnages sans nom, puis il invite le lecteur a` participer a` la cre´ation me^me en adoptant le pronom personnel "Vous", qui est change´ a` l'insu du lecteur en "Nous" de la ge´ne´ralisation. En appliquant ce proce´de´, il arrive facilement a` nous persuader que la fiction coinci¨de avec le re´el. Cette e´tude nous conduit a` l'examen plus approfondi. Il est tre`s inte´ressant de voir ce drame se de´rouler dans les lieux perticuliers: la maison de jeu, le magasin de curiosite´s, le salon de l'orgie qui se situent hors de la vie quotidienne. Ainsi le monde de Balzac est innonde´ de choses extraordinaires et semble e´merger d'une grande ombre, d'une immense mer d'eau nocturne comme l'atteste les expressions porte´es sur le brouillard, le voile, la poussie`re, la vague, la fluidite´, l'ondoiement, le mouvement... Et aussi par le moyen des oppositions ou des juxtaposition des choses contradictoires, Balzac facilite la de´scription du ve´ritable visage du monde obscure et de la re´alite´. Cette re´alite´ qu'en croyait abord emprunte´e a` l'o´bservation de la vie courante, c'est comme si elle ne demeurait pas exte´rieure, comme si elle e´tait elle-me^me le produit du re^ve, une terre forme´e par la vague et dont l'immobilite´ ne serait qu'une illusion.

      • KCI등재

        宮崎駿의 『모노노케히메』에 그려진 유토피아와 여성

        김화영 중앙대학교 일본연구소 2010 日本 硏究 Vol.0 No.29

        이상으로 미야자키의 『모노노케히메』에 그려진 유토피아로서의 자연과 다타라의 성격을 분석하였으며, 주인공 산과 에보시는 작품 내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가에 대해서 비교분석하였다. 작품에서 자연은 일반적인 자비로운 존재가 아닌 생명을 주며 한편으로 자연을 거스르는 모든 만물에게 ‘다타리’라는 업을 주는 이중의 성격을 가진 것으로 그려져 있다. 하지만 시시가미의 목을 ‘인간’이 스스로가 돌려주고, 자연은 인간에게 다시 ‘생명’을 부여함으로써 자연과 인간과의 공존을 그리고 있다. ‘인간’의 욕망은 이전보다도 늘어나 비대해지고 더욱더 이윤을 갈구하기 때문에 ‘자연’을 파괴한다. 다타라라는 공간은 그러한 예로서 위치하고 있으며 『모노노케히메』에서는 실제로 ‘인간’은 ‘자연’을 파괴하지 않으면 살아갈 수 없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그리고 다타라는 토마스 모어의 『유토피아』의 공간과 아주 흡사하며, 세상에서 소외되는 사람들도 그곳에선 동등하게 노동을 하며, 그것에 대한 보상을 받아 살고 있는 가장 최적의 ‘유토피아’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작품 내에서의 여주인공인 산과 에보시는 자신들의 믿는 ‘유토피아’를 위해 남성에게 의지하지 않고 스스로의 철저한 신념을 갖고 저지하려는 상대와 열정적으로 맞서 싸우는 강인한 여성으로 그려져 있다. 작품 내에서 숲이 죽음과 재생의 양면성을 가지고 있듯이, 소녀인 산은 여성이며 자연을 뜻하며, 작품의 끝부분에서 산이 자연으로 돌아가는 것은 생명을 ‘잉태’를 할 수 있는 여성으로서, ‘재생’을 비유적으로 암시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숲을 지키려고 싸우는 산의 모습은 중성화된 성격으로 로 그려지고 있다. 중년여성인 에보시는 유토피아 다타라에서 사회에서 배제된 사람들을 보살피고 책임지는 모성의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전쟁이라는 상황에서는 남성들을 지휘하고 적극적으로 여성들도 전쟁에 나가 싸울 것을 도모하는 ‘전사’로서의 면모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렇듯 두 여성의 ‘성’ 역할은 ‘전통적인’ 여성의 이미지를 전복시키고, 여성과 남성의 역할을 동시에 동반하여 더욱 강인한 이미지로 작품을 이끌고 있다.

      • KCI등재

        AHP 분석에 의한 선박안전관리대행업체 평가요인 중요도 분석

        김화영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3 해양정책연구 Vol.28 No.1

        Marine accidents have influence over a seafarer’s life, the property on the ship and cargo, as well as the environment at sea.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marine accident, most accidents usually happened as a result of human error, in the form of negligence, improper maneuvering of the ship, violating international regulations for preventing marine accidents. As result, many countries adopted the ISM Code for preventing marine accidents and enforcement of the ship’s safety management. The Korean government also legislated a maritime safety law for systematic safety management on Korean flag ships, and ship owners can now outsource their ship’s safety management, to a safety management company, under this law. However, there are many small companies without professionalism because it’s easy to enroll a safety management company abiding by only this basic requirement. As a result, requests for improvement of business expertise are increasing through the objective evaluation system, in the safety management market. Therefore, in this paper, we defined evaluation items for safety management companies through brainstorming with expert group, and then we carried out a survey to two groups (evaluator group, examinee group), and identified the weights of importance determinants in evaluation, using AHP. We also carried out statistical tests to determine the perception gap of weights between the evaluator group and the examinee group. The weights for evaluation of the ship’s safety management company had been identified, and there are differences of weight between the two groups, We learned that the evaluator group considered the staff’s safety education, education & training system and safety quality improvement rate, to be more important. On the other hand, in the examinee group, customer satisfaction and system management results, such as ISO 9001, OHSAS 18001, are treated more importantly than others. In conclusion, we can put the evaluation items and the importance to practical evaluation of safety management ability under responsibilities of the safety management company.

      • KCI등재

        Local Hazard Mitigation Plan (LHMP) is Properly Working?: Evaluation for the LHMP of Kumamoto City

        김화영,Kakimoto, Ryuji 한국방재학회 2014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4 No.5

        A local hazard mitigation plan (LHMP) or emergency plan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contributions for the mitigation of future localnatural disasters. Since different regions are vulnerable to different natural disasters, each community should prepare their own planbased on their specific conditions. In Kumamoto, chronic flood damage and landslides are the most common hazards. In 2012, rapidheavy rain resulted in substantial property damage, casualties, and even fatalities. Therefore, this paper presents the comparisonresearch for Kumamoto hazard mitigation planning around 10- year time series, a longitudinal study. We used a flood mitigation plancoding protocol to better understand the Kumamoto City hazard mitigation plan. Indicators used in the study mostly focus on situationsthat the city has recently faced. Ultimatel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wofold: 1) to assess the current mitigation effortsfor a local flood event through a comparison study, and 2) to improve the LHMP more practically. Eventually, through this study, itshould be possible to enable the local government of Kumamoto to help establish a community resilient to its chronic natural disasters. Specific goals include determining which parts in the LHMP should be reinforced and whether improving the community resilienceto flooding is possible.

      • 미래 해사안전 R&D 중점추진과제 선정 방안 연구

        김화영,조민철,김주환,김수염,이호춘,이건우,여동금 해양환경안전학회 2014 해양환경안전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4 No.06

        국제해사기구(IMO)를 중심으로 해사안전, 해양환경 분야에 대한 국제기술 규제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IMO의 전문위원회에서는 선박평형수 기술, e-Navigation, 온실가스 배출 저감기술, 수중소음 저감기술 등에 대해 공동 대응하는 한편 자국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술표준 선점을 위해 경쟁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해사안전 분야에 있어서 국제사회에서 선도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International standards on maritime safety, marine environmental have been discussed in IMO(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Especially, the technologies for ship"s ballast water treatment, e-Navigation, emission of green gas a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