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보행공간 환경개선이 야간 보행만족도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호인,이석준,이종성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13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7 No.2

        This study suggests ways for improving walkability at night, understanding physical and psychological factors affecting pedestrian walking satisfaction on road space. For doing this, we conduct a survey to figure out factors affecting for walkability satisfaction focussed on the boulevard near residential area. Through the analysis of survey, road maintenance factor and luminous environment factor are extracted as physical factors and crime threat factor and walking safety factor are extracted as psychological factor those are affecting walking satisfaction. To analyze influence of extracted factors to walking satisfaction at night, regression analysis is used. From the result of analysis, physical road maintenance factor has no influence to walking satisfaction at night and crime threat as psychological factor and luminous environment as physical factor have a lot of influence for walking satisfaction. This means that the concept of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which seeks for improving prevention of crime through expending luminous environment is introduced for ultimately improving walking satisfaction at night. This result will promote landscape simulations for diverse lighting environment analysis for walking space and will provide a background for improving lighting environment for road space design. 본 연구는 야간 가로공간의 보행자 만족도에 미치는 물리적, 심리적 요인을 파악하여 야간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강원도 원주시 소재 가로수가 잘 조성된 주거지 주변의 대로를 중심으로 야간 보행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분석을 통하여 야간 보행만족도에 미치는 물리적 요인으로 도로정비 요인과 조명환경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심리적 요인으로 범죄위협 요인과 야간 보행안전성 요인이 추출되었다. 회귀분석을 통하여 추출된 요인이 야간 보행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물리적 도로정비 요인은 야간 보행만족도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적 요인인 범죄위협 요인과 물리적 요인인 조명환경 요인의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최근 대두되고 있는 범죄예방환경설계의 방향과 일치하며 조명환경 요인을 개선함에 따라 범죄위협 요인도 개선하여 궁극적으로 야간 보행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결과를 바탕으로 가로 공간의 설계 시 조명환경 개선의 필요성에 대한 배경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경관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다양한 설계 대안 제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혁신기업, 아마존의명(明)과 암(暗) - 조직의 학습역량 vs. 승자독식의 문화 -

        김호인 포스코경영연구원 2019 POSRI 이슈리포트 Vol.2019 No.4

        ○ 아마존은 초기 온라인 서점으로 시작하여 전자상거래 1위 기업으로 성장하였고 최근에는 클라우드 및 인공지능 서비스에서 점유율 1위를 고수하며 실리콘 밸리의 구글, 애플을 위협하는 혁신기업으로 성장 ○ 2013년 아마존의 CEO 제프 베조스는 회사 미래를 설계하기 위해 3권의 책을 선정, 최고경영진과 함께 독서 워크샵을 열고 기업 혁신활동을 주도 1) 엘리야후 골드랫의 ‘더골’, 문제해결 원칙 제시 - ‘더골’은 물류센터 혁신을 위한 훌륭한 길잡이 역할을 수행하였을 뿐만 아니라, 모든 복잡한 문제에는 단순한 핵심 문제가 있다는 통찰을 제시 2) 클레이튼 크리스텐슨의 ‘성장과 혁신’, 혁신의 Path 제공 - 성장과 혁신’은 파괴적 혁신을 위한 실행전략을 제시하여 온라인 서점으로 출발한 아마존이 대형 서점과의 경쟁은 물론 월마트,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 IT 대기업들과 경쟁할 수 있는 Big Picture 제공 3) 피터 드러커의 ‘자기경영노트’, 경영학 원조의 통찰력 제공 - 경영학의 원조가 저술한 최고 경영진을 위한 경영지침서로 아마존의 미션에 대한 전사적 헌신, 능력 위주의 인사조직 운영, 집단지성을 이끌어 내는 의사결정 프로세스 등 아마존 조직문화의 주춧돌 형성에 기여 ○ 제프 베조스는 누구나 알고 있지만 쉽게 실천하지 못하는 경영학 구루들의 가르침을 아마존 조직에 체화함으로써 조직의 학습하는 능력을 보여줌 - 위에 소개한 3권 외에도 여러 책을 함께 읽거나, 통찰력을 가진 경영학 대가 또는 경험 많은 CEO 를 초대하는 형태로 지속적으로 배우고 경영진과 공유 - 강력한 CEO 중심 조직을 구축하여 자신이 학습하고 깨달은 내용을 아마존 경영에 도입하고 실천해 나감으로써 개인의 학습을 조직의 학습으로 체화 ○ 반대로 제프 베조스의 지나친 경쟁 중심의 조직운영 방식을 조직구성원이 그대로 수용함으로써 몇 가지 내부문제를 고스란히 드러냄 - 아마존이 진출하는 산업마다 고객가치를 내세운 아마존에 의해 해당 산업에 속한 기업이 황폐화되는 현상을 빗대어 ‘To be amazoned(황폐화되다)’라는 신조어가 탄생하는 등 아마존의 혁신 이면에는 커다란 피해가 공존 - 승자독식의 세계관을 여과 없이 드러내 파트너 기업이 적으로 돌아서는 경우가 빈번하며, 정부도 반독점 관련 이슈로 아마존을 예의 주시하는 상황

      • R&D 디지털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R&D 혁신

        김호인 포스코경영연구원 2018 POSRI 이슈리포트 Vol.2018 No.5

        ○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는 인공지능 및 Big Data 기술은 R&D 디지털화를 촉진하면서 R&D 생산성을 혁신할 수 있는 유망한 수단으로 부상 ○ R&D 디지털화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 상징적인 3가지 사례를 선정하여 각 사례가 주는 시사점과 파급효과를 전망 1) SMS의 Data Scientist와 협업을 통한 철강 연주공정 Crack 예방 - SMS는 전 세계 Data Scientist를 초청하여 연주공정의 Data를 제공하고 Crack 발생 예측 모델 개발을 요청하는 이벤트 개최 - 참가한 Data Scientist들은 철강 연주공정에 대한 경험이 없었지만 6주 후에 2개 팀이 SMS 엔지니어들도 풀지 못한 이슈를 해결하는 성과를 창출 - R&D 디지털화가 갖고 있는 혁신의 잠재성을 가시적으로 확인해 준 사례로 많은 기업이 R&D 전문가와 디지털 전문가 간 협업을 추진할 전망 2) BASF의 머신러닝 기반 연구주제 관련 문헌탐색 - 옥수수의 내성 개선 박테리아를 효과적으로 탐색하기 위해 연구팀은 머신러닝 문헌탐색 기법을 활용하여 기존 연구문헌을 탐색 - 수십만 건의 내외부 관련 문헌 중에서 연구주제와 관련이 높은 38건의 문헌을 찾아냄으로써 빠른 시간에 원하는 박테리아 발견에 성공 - 머신러닝 기반 문헌탐색 기법은 연구현황을 빠르게 파악하는 것은 물론 Domain 간 지식 융합에도 크게 기여할 전망 3) Hitachi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Data 기반 CPS 구축 Framework 개발 - CPS는 물리적인 실험 공간을 사이버 공간에 재현함으로써 R&D 생산성을 혁신할 수 있는 Tool이지만 실제를 정확하게 재현하는 모델 개발이 큰 난제 - 머신러닝과 강화학습을 적용하여 Domain Knowledge에 기반한 모델 개발 없이 실험 Data만으로 정확한 모델을 유추하는 CPS 구축 플랫폼 ‘H’를 개발 - CPS 활용의 큰 걸림돌이었던 모델 개발이 가능해짐에 따라 CPS가 R&D 생산성 향상을 위한 혁신 Tool로 보편화될 전망 ○ R&D 디지털화는 기존의 R&D 관리 체계를 바꾸고 커다란 혁신을 가져올 것 - R&D는 핵심 경쟁우위를 창출하는 원천이지만 상당한 자본과 시간이 소요되고 그 성과를 예측하기 힘들어 기업들은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 많은 노력 집중 - R&D 디지털화는 기존 R&D 수행 기간을 단축하고 불확실성을 해소하면서 과거와는 다른 수준의 R&D 성과향상을 가져올 것 - R&D 관리의 초점 또한 Domain 전문가 육성과 효과적인 R&D 실행 관리에서 디지털 역량과 Domain 전문역량간 융합, 초기 연구주제 탐색으로 옮아갈 것

      • 스마트팩토리, 인공지능으로 날개를 달다

        김호인 포스코경영연구원 2017 POSRI 이슈리포트 Vol.2017 No.5

        ○ 인공지능이 스마트팩토리의 주요 분야에 Breakthrough를 가져올 전망 - 인공지능이 가진 스스로 배울 수 있는 학습역량, 기존 통계 분석보다 탁월한 분석역량, 스스로 창작할 수 있는 창조역량이 스마트팩토리 혁신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해 줄 것으로 기대 ○ 스마트팩토리의 주요 분야별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할 이슈들이 있음 - 산업별 적용 차이점: 자동차/전자/부품 같은 조립가공 산업과 금속/화학/에너지 같은 프로세스장치 산업에서 스마트팩토리의 전개 양상이 상당히 다르므로 각 기업이 속한 산업에 효과적인 도입 전략 필요 - Connected Factory 연결 범위: 전체 공장의 데이터를 통합한 Connected Factory 개념이 스마트팩토리의 궁극적인 모습으로 제안되고 있지만 막대한 투자가 뒷받침되어야 하므로 초기에는 Target 범위 설정이 중요 - 운영모듈(MRP/MES/SCM)과 연계: 기존 운영모듈에 공장 조업 데이터를 통합함으로써 운영모듈을 혁신할 수 있다는 비전이 제시되고 있으나 전문가들은 조업 데이터의 통합이 운영모듈에 줄 수 있는 가치에 회의적 ○ 인공지능의 빠른 개발 속도와 잠재력을 고려하면 스마트팩토리 활용 전략이 제조기업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음 - 인공지능 기술이 초기 단계임에도 스마트팩토리에 큰 파급효과를 가져온 점을 고려하면 향후 인공지능 기술 발전에 따른 적용 범위와 파급효과는 더 확대될 전망이므로 예의 주시할 필요 - 스마트팩토리 주요 분야별 투자규모 및 혁신 가치가 기업별로 상이하기 때문에 각 기업은 자사 특성에 적합한 스마트팩토리 활용 전략을 수립하고 전개하는 것이 중요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