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李贄『孫子參同』著述考

        金惠經 ( Kim¸ Hyekyung ) 중국어문학회 2021 中國語文學誌 Vol.- No.76

        SuntzuCantong is the work that LiZhi wrote the draft when he was living in the Zhipoyuan temple in Macheng, Hubei Province, and completed when he visited the Datong in S hanxi Province in 1597 at the invitation of his best friend MeiGuoZheng. This book is an explanatory note of the Suntzu’s Art of War, and it consists of four parts: the original text, CaoCao’s commentary, LiZhi’s discussion, and Reference, which contains all the other military books except for Suntzu’s Art of War. The name Chantong is a singularity of the book, which means that it has been gathered in one place for reference. This ’reference’ section covers all the main contents of the Seven Military Classics and is presented as a specific example of the main subject. This paper explains the reason and background of LiZhi’s writing SuntzuCantong in four ways. Criticism of Confucian who despises military affairs, LiZhi’s awareness of hardship in the era of disordered, sympathy for his friend MeiGuoZheng, and LiZhi’s scholar-general sense became the background and reason for the writing of SuntzuCantong. This book is the must-read for those who want to not only understand LiZhi’s philosophy of military strategist but also read Suntzu’s Art of War accurately. LiZhi’s friend MeiGuoZheng evaluated this book, saying, “It is the culmination of military strategist and it reached the level of a god in the explanation of Suntzu.”

      • KCI등재

        상상력 증진을 고려한 아동 문학 번역의 충실성 제고

        김혜경 ( Kim¸ Hyekyung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구 건국대학교 중원인문연구소) 2020 동화와 번역 Vol.40 No.-

        본고에서는 그림이 있는 아동도서를 번역할 때 번역가가 어떠한 번역 전략을 취하는가에 따라 원전에 대한 충실도에 차이가 생기게 된다는 점에 착안해 분석을 시도하려 했다. 본 연구에서는 그림이 있는 아동문학의 번역시 아동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번역가가 적용하는 부연과 생략 등의 번역 전략이 적절한가에 대해 로저 하그리브즈(Roger Hargreaves)의 Mr Men 시리즈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 시리즈 중 대부분에서 잉여적으로 명시화하거나 생략하는 번역 전략을 사용하였는데, 이와 같은 번역 전략으로 ST에는 명시적으로 나타나지 않은 암시적인 내용을 번역가의 의도대로 글로 명시화하거나, ST에 표현된 내용을 아동 독자의 이해에 불필요하다고 생각하여 생략하는 번역 전략을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했다. 그러나 ST에 표현되어 있지 않은 내용을 번역가의 이해에 따라 명시화하는 것은 아동이 그림과의 상호작용으로 이야기의 간극을 메워가며 상상하는 인지 작용을 방해할 수 있다는 것을 여러 예시를 통해 살펴보았다. 대상독자의 연령에 따라 부연된 설명적 표현이나 생략된 표현들이 도움이 될 수도 있겠지만, 이야기를 읽을 수 있는 독자라면 시각적 코드와 상황적 의미파악으로 상상적 인지 활동을 충분히 수행하고 발전시킬 수 있다고 본다. 명시적 번역은 그림책 읽기과정에 동원되고, 발현되는 아동의 직관적 이해를 충분히 염두에 둔 것이어야 한다. 하지만 번역서에서는 설명에 의존한 번역 전략을 취함으로써 번번이 문장 간극의 의미까지 들추어내곤 했는데, 이러한 전략은 원전이 보유한 언어적 기법, 운율 맞추기, 반복패턴 등을 간과한 것이어서 흥미와 묘미를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읽는 행위 이전에 보는 행위가 선행한다는 점에서 직관적 이해가 이루어질 것이고, 동시에 명시화하는 것의 의미가 확보될 수 있으리라 본다. 또한 대상 독자의 이해 수준을 넘어선 어휘의 차용이나 ST의 표현상의 의도와 형식에 대한 고려가 간과되는 경우도 빈번하였는데, 이것은 아동의 창의력을 동반한 상상적 인지 활동의 활성화를 막는 역효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고려해 보아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동화책을 읽거나 듣는 대상독자의 상상을 통한 인지 활동을 고려하여 번역을 하는 경우, 아동 독자의 이해를 목적으로 잉여적 설명을 부연하거나 필요이상의 생략, 불필요한 어휘를 차용하는 등의 전략 사용을 재고해봄으로써, 아동독자의 상상력 증진과 더 나아가 이야기 구성의 재미를 부여하는 데 좀 더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Mr. Men series written by Roger Hargreaves are salient bedtime-hour picture books for children. These books have respective special characters in each book. In this study, we will examine what kinds of translation strategies are applied by Korean translators. More often than not, translation strategies of explicit specification or omission were used. According to such translation strategies, unlike the explicit contents of the ST, implicit contents were explicitly written from the intention of the translator, or omitted in TT. In case of considering unnecessary parts for young child readers' understanding, omission strategies were frequently used. However, several examples have shown that translator’s severe negotiation such as paraphrase or omission may distort or interfere with the children’s imagination through cognitive interactions by filling the gaps between words and pictures. Sometimes translation strategies such as paraphrase and omission are appropriate to help children understand the translated texts with pictures. Depending on the age of the target reader, descriptive or omitted expressions may be helpful, but readers who can read stories can fully perform and develop cognitive functions of imagination through visual, contextual and semantic understanding. In addition, the use of vocabulary is sometimes beyond the level of the target audience's understanding; without serious consideration of the ST’s expressive intention, some explanations were frequently found. This could prevent the activation of imaginative cognitive activities accompanied by children's creativity. Therefore, it needs to be taken seriously. As shown in this study, a translation should take the imaginative cognitive activity of target readers into account to further enhance the imagination of the child reader and develop their enjoyment in reading.

      • KCI등재

        핵심역량 기반 교양영어 수업에서의 역량성취와 학업성취 간의 관계성 연구

        김혜경(Kim, Hyekyung),배성아(Bae, Sung Ah)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핵심역량 기반 교양영어 수업의 효과를 학습자의 역량성취와 학업성취와의 관계성을 통해 진단하고 분석하여 향후 대학 교양영어 수업에서 교과 학습을 통한 학업과 역량의 통합적 성취가 가능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부권에 위치한 H 대학교의 필수 교양영어 3개 분반 수업에 참여한 145명의 핵심역량 진단결과 및 중간고사와 기말고사, 그리고 총 12주간 진행된 역량 수행활동의 평가 점수를 수집하여, 독립표본 t-검증과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본 교양영어 수업을 통하여 학습자들의 협업역량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생들이 수업시간에 역량강화 활동을 직접 수행해 본 경험들이 역량성취로 이어진 결과로서, 학습자의 역량성취가 담보되는 교양 교육과정이 되기 위해서는 지속적이고도 세세한 활동기반의 교수설계가 필요함을 나타낸다. 둘째, 본 교양영어 수업의 목표인 협업역량이 향상된 학습자들은 수업에 대한 만족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핵심역량의 향상 여부가 수업에 대한 만족도의 요인이 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업성취가 높은 학습자일수록 역량 수행활동의 평가 결과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역량기반 교양영어 수업이 학습자들의 역량 증진과 교과 지식 함양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역량기반 교양영어 수업의 운영방식이 학습자들로 하여금 이론으로 배운 지식을 역량과 연계하여 직접 수행함으로써 역량과 학업성취를 고루 함양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diagnose and analyze the effects of core competency-based college English classes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competency achieve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for a more even cultivation of both competenc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future general English classes. To this end, the researchers collected the results of the core competency diagnosis, the scores of mid-term and final exams, and the evaluation results of competencybuilding activities from 145 students. Three classes taking college English at H University in the central region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a total of 12 weeks. Independent sample t-validati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found that the teamwork competency level of learners taking this college English class improved. This result shows that students’ experiences performing the competency-building activities led to their competency achievement, and it also indicates that continuous and detailed activity-based teaching design is necessary to create college English classes that can guarantee the competency achievement of the learners. Second, learners who had improved their level of teamwork competency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the class, confirming that whether or not their core competencies were improved plays a role when it comes to the learners’ satisfaction with such classes. Finally, we found that learners with higher academic achievement had higher evaluation results regarding competency-building activities. This shows that competency-based college English classes have a positive effect in regards to improving both the core competency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nstructional design for competency-based college English education can be an effective way for learners to develop both competency and academic achievement while putting their competency knowledge to use on their own.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역번역을 통한 기계번역의 한계와 발전 가능성 제고: 『채식주의자』를 중심으로

        김혜경 ( Kim Hyekyung ),윤소영 ( Yoon Soyoung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9 동화와 번역 Vol.37 No.-

        이 연구는 기계번역이 한국어와 영어 문장에 대해 인지하는 수준을 파악하고, 원작이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를 어느 정도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작가 한강의 소설 『채식주의자』를 구글 번역을 통해 번역하고 그 결과물을 다시 기계번역으로 역번역하여 원전과 얼마나 의미 차이가 발생하며, 기계번역이 의미 도출에 있어 원전에 대한 충실성이 어느 정도까지 결여되어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기계번역의 현주소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특히 작품에서 주인공 영혜를 묘사하거나 영혜가 채식주의자가 되어가는 과정 및 사건에 관해 그려지는 작품 내 대화 등을 살펴봄으로써 역번역 시 어떠한 결과물이 도출되는가에 무게를 두었다. 기계번역 시 드러나는 문제점 중 단어 수준의 등가성 확보는 여전히 문맥의 의미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해 발생하는 동음이의어의 채택 등의 문제를 야기했다. 더불어 문장의 구조가 정확하지 못한 경우, 가령 주어가 생략된 문장의 역번역은 구조뿐 아니라 의미상으로도 정확하지 못한 문장을 생성해냄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기계번역이 여전히 코퍼스의 활용이 더욱 왕성하게 이루어져야 번역상의 오류가 감소할 수 있음을 가늠하게 한다. 역번역을 수행함에 있어 기계번역을 활용한 것은 오역의 발생지점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었고, 이로써 기계번역의 코퍼스 활용의 문제와 한계에 대해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ces and gaps between ST and BT of a Korean novel. For this, novelist Han Gang’s The Vegetarian is selected since it is well known for its English translation by Deborah Smith, who won the Man Booker Award in 2016. In this study, back translation is implemented to review the limits and prospects of machine translation. The purpose of back translation is to reveal the differences between linguistic structures and the meanings of words and sentences between ST and BT. To conduct this translation, Google Translate is utilized. Its main focus is on the characterization of its heroine Young-hae. In particular, the description and illumination of her unusual experiences reveals her bizarre choice to become a vegetarian. This serves as a pivotal part of this investigation. Through this analysis, it is found that the machine translation contains numerous errors, despite its recent epoch-making advances through deep learning systems. It still fails to employ a rich corpus, and contains many technical defects in identifying equivalent words and sentences to make sense.

      • KCI등재후보

        모션 그래픽스의 그래픽 스타일에 따른 트렌드 분석 : TV 광고에 활용된 모션그래픽스 사례 중심으로

        김혜경(Kim Hyekyung)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9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9 No.1

        모션 그래픽스는 타이포그래피 이미지 드로잉 사진 등 다양한 그래픽 요소에 움직임을 부여한 것이다. 최근 들어 모션 그래픽스는 광고 방송 인터넷 영화 공연 전시 게임 등 다양한 매체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적용분야도 광고/홍보영상 영화 타이틀 시퀀스 공연영상 전시 영상 TV 프로그램 오프닝 타이틀 스테이션 아이디 웹 사이트 등 다양하다. 모션 그래픽스를 구성하는 여러 요소 중 그래픽 스타일은 전체적인 모션 그래픽스의 인상을 지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2007년 공중파 방송에서 방영되었던 TV광고 중에 모션 그래픽스가 적극적으로 활용되었던 사례의 그래픽 스타일을 분류해 보고 그 경향이 어떠한지를 분석하여 보았다. 모션 그래픽스를 활용한 TV광고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그 중에서도 3D 그래픽 스타일과 무빙 타이포그래피 스타일이 많이 활용되는 경향이 있다. 그 밖에도 전통적인 기법에서부터 첨단 기법과의 접목에 이르기까지 표현 방식이 다양해져 가고 있으며 그에 따라 참신하고 독창적인 아이디어의 표현이 발휘되는 경향이 있다. 모션 그래픽스의 그래픽 스타일은 개성적인 표현의 수단으로 뿐 만 아니라 내용의 적합성 메시지 수신자의 요구 및 취향 등이 반영되면 보다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Motion graphics consists of motion and graphic elements such as typography image drawing and photography. Recently motion graphics makes full use of advertisement broadcasting internet movie performance exhibition and game. Motion graphics is also applied to commercial film movie sequence title moving images on the performance TV program opening title station ID and website. The graphic style is dominating element in the motion graphics because it could get a main impression to the consumer. We analysed the trend of motion graphics on TV commercial in 2007. We tried to get what is main trend of motion graphics by the graphic style. We verified the TV commercial of motion graphics augmented and the 3D graphic style and typography emphasized. The ways of expression varies from the traditional technique to high technique. The idea of motion graphics is getting new and striking in graphic style. The graphic style of motion graphics should be used for better communication in the way of expression as well as in the appropriate contents and message receiver's needs.

      • KCI우수등재

        헌법적 형사소송론 관점에서의 진술거부권의 함의

        김혜경(Hyekyung KIM) 한국형사법학회 2023 刑事法硏究 Vol.35 No.2

        국가기관은 도덕적 존재도 아니고, 인간인 개인에게 진실의무를 강제할 수 있는 주체도 아니다. 개인이 인간으로서 진실을 말해야 하는 도덕적인 의무를 가진다고 하더라도, 그것으로부터 국가기관에게 진술을 강요할 권한이 부여되는 것도 아니다. 국가기관의 강제의 허용범위는 능동적 의무부과의 영역이 아니라 수동적인 수인의무만이강제가 가능한 것이다. 그렇다면 진술을 할 것인지 여부에 관하여 국가가 진술을 할것에 관한 능동적 의무를 부과할 수 없으며, 진술강요는 형사절차에 있어서 국가형벌권행사를 위한 인간의 수단화, 정보수집의 도구화로 전락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뿐이다. 또한 신문절차의 주된 목적은 진실발견에 있는 것이 아니다. 진실발견은 증거수집을 통한 국가의 의무일 뿐이고, 형사절차의 일부로서 신문은 당사자에게 이익되는 주장을 할 기회의 부여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당사자인 진술자가 스스로에게 이익되는 주장을 함은 물론 반대로 스스로에게 불이익 되는 주장에 대하여 함묵할 권리도 가지는 것이다. 인간의 고유의 속성, 인간본성에 해당하는 부분은 인간으로서의가장 본질적인 구성이자 가장 취약한 영역이기도 하다. 헌법적 형사소송론을 추구하고 헌법이 형사상 불리한 진술의 강요금지를 명문화하고 기본권의 본질적 내용침해 금지를 규정하는 이유는, 그 어떠한 경우에도 인간의본질을 구성하는 부분이자 인간본성의 영역은 절대적으로 존중받아야 함을 의미하는것이다. 그리고 자기부죄거부의 권리가 진술거부권의 형태로 표현될 때에는 법률로서도 이를 제한하거나 강제할 수 없다고 보아야 한다. 다만 그와 같은 권리를 헌법상 원리로 천명하고 법률로써 보장한다고 하더라도 실질에 있어서는 진술거부권자의 권리행사가 권리자에게 불이익을 초래한다면 권리의 형해화가 이루어짐은 명약관화하다. 여기에서는 헌법적 형사소송론의 의미로부터 출발하여 진술거부권이 구체적으로어떠한 모습을 가져야 하는지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는 헌법적 형사소송론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nemo tenetur 원칙으로부터 자기부죄거부 특권과 그로부터 파생된 진술거부권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nemo tenetur 원칙이 형법과 형사소송법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진술거부권의 실질적 보장방법으로서 침묵권과 묵비권 및 진술거부권의 개념을 살펴보고, 진술거부권의 속성을 살펴보았다. 진술거부권이 신문을 받지 않을 권리인지 아니면신문에 대하여 답변을 거부할 권리인지를 분석하고 전자에 해당하므로 진술거부권을행사하면 국가기관은 신문권을 상실한다고 보았다. 또한 선택적 진술거부와 포괄적또는 전체적 진술거부가 권리의 내용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입건 전 피혐의자의 진술거부권 보장문제, 참고인이나 증인의 진술거부 가능성, 진술거부권 고지의 상대방, 자신 이외의 자를 위한 진술거부권의 행사가능성 등의 문제를 살펴보았고, 반대로 신체의 일부가 증거가 되어서 영장주의의 적용을 받는 범위는 진술거부권과 관련이 없다고 보았다. State institutions are neither moral beings nor subjects that can enforce truth obligations on human individuals. Even if an individual has a moral obligation to tell the truth as a human being, it does not give the authority to force state agencies to make statements. The scope of compulsion of state institutions is not the area of active obligations, but only passive obligations can be enforced. If so, the state cannot impose an active obligation to make a statement as to whether to make a statement, and the compulsion to make a statement will only lead to the reduction of human means for the exercise of national punishment rights in criminal procedures and the instrument of information collection. Also, the main purpose of the interrogation procedure is not to discover the truth. The discovery of truth is only the state's duty through the collection of evidence, and as part of criminal proceedings, examination or interrog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giving the parties an opportunity to make arguments that benefit them. Therefore, the person who is a party has the right not only to make claims that are beneficial to himself, but also to remain silent on claims that are disadvantageous to him. The part corresponding to human's unique attributes and human nature is the most essential composition as a human being and the most vulnerable area. The reason for pursuing constitutional criminal procedure theory, stipulating the prohibition of coercion of criminally unfavorable statements, and the prohibition of infringement of the essential contents of basic rights means that in any case, the area of human nature must be absolutely respected. In addition, when the right to refuse self-incrimination is expressed in the form of the right to refuse to state,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law cannot limit or enforce it. However, even if such rights are declared as constitutional principles and guaranteed by law, it is clear that if the exercise of the right to refuse to state causes disadvantages to the right holder, the right will be criminalized. Here, starting with the meaning of the constitutional criminal procedure theory, is examined what the right to refuse to state should look like in detail. Specifically this paper is examined what the theory of constitutional criminal proceedings is and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vilege of self-incrimination from the nemo tenetur principle and the right to refuse to state derived therefrom. It also confirmed how the nemo tenetur principle is reflected in the criminal law and the criminal procedure law. In addition, the concept of the right to silence, the right to remain silent, and the right to say nothing as a practical method of guaranteeing the right to refuse to state, and the properties of the right to refuse to state were examined. It analyzed whether the right to refuse to answer or the right to refuse to answer for questioning or interrogation, and argued that the state agency would lose the right to refuse to testify because it corresponds to the former. It was also confirmed that selective denial of statement and comprehensive or total denial of statement were the contents of the right. In addition, issues such as guaranteeing the accused's right to refuse to state before being booked, the possibility of a witness or witness's refusal to state, the other party to the notification of the right to refuse to state, and so on. However, it was considered that the extent to which part of the body becomes evidence and is subject to warrantism was not related to the right to refuse to state. In a 1964 U.S. Murphy ruling, Justice Goldberg called it reflections man of our fundamental values and most no-obligation, saying that one of the great landmarks in man's strict to make him self-civilized. The right to refuse to state is an essential human right and must be absolutely guaranteed.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에서 교과목 인증제도 적용에 대한 교수자 인식 분석

        김혜경(Kim Hyekyung),임근옥(Lim Kunok),최용금(Choi Yongkeu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

        최근 4차 산업혁명과 교육혁신을 위하여 미래인재의 특성과 더불어 역량기반교육방법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 차원에서 역량기반 교육혁신의 일환으로 교수법 질 관리 제도를 구축하고 있는 S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교수자들의 인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S대학교에서 2016년~2018년에 교과목 인증제 참여한 경험에 대한 교수자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대학차원의 교과목 인증제도의 효과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교수자의 인식은 교과목 인증제 참여동기, 참여 만족도와 효과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고,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목 인증제도의 참여동기는 교원직급별, 재직경력에 따라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인증유보 경험유무에 따른 참여동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동기는 교원직급, 재직경력이 많을수록 수업의 질 향상을 위해 참여하는 반면, 교원직급, 재직경력이 적을수록 ‘학교정책 협조하기 위해’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과목 인증제에 대한 만족도는 교원직급이 높을수록, 참여횟수가 많을수록, 인증유보 경험이 없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과목 인증제에 대한 효과성은 교과목 인증유형을 문제해결형 교수법만 적용했을 때보다 문제해결형 교수법과 함께 역량기반평가방법을 적용했을 때 효과적이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2.744, p<0.5). 본 연구는 대학교육 혁신을 위해서는 워크숍 등의 일회성 교수법 지원프로그램에서 벗어나 교수법의 적용과정과 성과를 체계적으로 지원하여 교수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교수법 질 관리 제도로 변화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se of institutionalization of pedagogical quality management at the university level when the importance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is emerging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educational innov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s of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course accreditation system applied by S University in 2016-2018, and explored the effectiveness of the course accreditation system at the university level. The instructor s perception of the course accreditation system was analyzed based on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course accreditation system.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the course accreditation system was the highest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class (48.8%). Teachers with fewer working years and lower positions showed higher goals to cooperate with school policy, and teachers with more years of service and higher positions had higher goals for improving quality of their classes. Second, the teachers’ satisfaction with the course accreditation system was higher as the teacher position was higher, the number of times of participation, and no experience of accreditation failure. Third, the application type of the course accreditation system showed higher satisfaction when the competency-based evaluation method was applied than when the problem-solving teaching method was applied only (t = 2.744, p <0.5).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apply the teaching quality improvement system in order to innovate university education, away from the event-based teaching support programs such as worksho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