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군홍의 중국거주 시기(1939~1946) 작품 연구

        김해리(Kim Haelee)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021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41 No.-

        임군홍(林群鴻, 1912-1979)은 한국 근대기의 양화가이자, 상업미술가, 그리고 6·25전쟁 시기 북한행을 택한 월북화가다. 1930년대 조선미술전람회, 서화미술협회전람회, 녹향회전 등을 통해 화단에서 입지를 다졌으며, 1936년에는 직접 녹과회를 조직해 젊은 미술인들과의 움직임을 도모하는 동시에 예림스튜디오라는 상업미술사를 차려 순수미술과 상업미술을 병행해 나갔다. 특히 임군홍은 1939년 중국의 한커우로 이주해 상업미술 사업을 확장하는데, 이때 얻은 경제적, 정신적 여유는 다양한 미술서적을 탐독하고 여러 미술사조의 기법을 실험하는 발판이 되었다. 이는 곧 임군홍이 중국거주 시기 다작하는 배경이 된다. 따라서 국내 화단과 떨어져 비교적 자유롭게 창작 활동에 전념했던 중국거주 시기는 임군홍 작품세계의 핵심적인 때이다. 임군홍은 중국 한커우의 구시가지 화루가 골목에서 한구미술광고사를 운영하는 한편 수도 베이징을 수차례 여행하면서 거주자와 여행자라는 상이한 입장에서 각 도시의 모습을 작품에 담았다. 즉 한커우에서 제작한 작품에는 타지임에도 다를바 없는 인간에 대한 애정과 관심이 반영되었다면, 베이징에서 제작한 작품에는 오히려 타국의 색다른 풍경을 포착하려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이는 임군홍의 중국거주 시기 작품에 나타나는 주요한 특징으로, 본고는 도시별 작품을 각각 ‘일상풍경화’와 ‘명소풍경화’로 구분하여 그의 소재적, 기법적 관심을 읽어내고자 하였다. 더불어 임군홍의 작품을 일본 양화가 우메하라 류자부로(梅原龍三郞), 중국 수묵화가 장자오허(蔣兆和)와의 관계 속에서 살펴봄으로써 그를 동아시아의 미술 조류에 부응하는 국제적인 화가로 상정할 여지를 두었다. 이를 통해 임군홍을 ‘근대화가’이자 ‘재외화가’로 재평가했다는 데 의미가 있을 것이다. Lim Gunhong(林群鴻, 1912-1979) is a Korean modern artist of western painting and commercial art who defected to North Korea during the Korean War. He made his way into the art scene in the 1930s by participating in Joseon Arts Exhibition, Seowhahyupheo Art Exhibition, and Rokhyang Association Art Exhibition. In 1936, Lim established two institutions that allowed him to pursue both fine art and commercial art: ‘Rokgaheo,’ with an attempt to support upcoming artists, and ‘Yerim Studio,’ a commercial art company. In 1939, Lim immigrated to Hankou, China, and expanded his commercial art business. It was this financial and emotional stability that laid the foundation for Lim to indulge himself in numerous art article and experiment with techniques from various artistic styles, as well as support Lim’s artistic career during his prolific ‘China years.’ Therefore, the years Lim spent in China thus mark a period key to understanding Lim Gunhong’s oeuvre as he was relatively unmediated by external forces and dedicate himself to his artistic work. Lim strolled around Beijing numerous times while living in Hankou where he ran ‘Hankou Art Advertisements’ in the alleys of oldtown’s district. This hints at the possibility of the two distinct identities—a traveler and a resident—to be projected in his works that were made in respective cities. In other words, while artwork in Hankou reflects Lim’s affection and interest towards humans who are no different than those of his home, the tendency of capturing the exotic landscape of the foreign land is heightened in Beijing.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his thematic and methodological interest through categorizing these works as ‘Everyday Landscapes’ and ‘Landmark Landscapes.’ Moreover, through interpreting Lim’s works in relation to the Japanese Western-style painter Ryuzaburo Umehara(梅原龍三郞) and Chinese ink painting artist Jiang Zhaohe(蔣兆和), this study attempts to posit Lim Gunhong as an international painter in accordance with the artistic trend of East Asia. It would be a meaningful attempt to re-examine Lim as a ‘modern artist’ or an ‘abroad artist’.

      • KCI등재

        상담자의 노인 상담에 관한 인식 연구

        김해리(Haelee Kim),이영순(Young Soon Lee) 한국노년학연구회 2024 한국 노년학연구 Vol.33 No.1

        우리나라는 노인 인구 증가로 심리적 도움을 요하는 노인도 늘고 있음에도 그들을 대상으로 상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고령자 대상 상담 활성화를 위해 상담자로 종사하고 있는 자들을 대상으로 노인 상담에 대한 인식을 탐구할 필요성이 크다. 이에 최소 석사과정을 이수한 후 상담 경력 2년 이상인 상담자 75명을 대상으로 노인 내담자의 특성과 상담 과정, 상담 성과에 관한 인식을 개방형 질문지로 살펴보았다. 상담자는 온라인으로 질문지에 응답했으며, 응답 자료는 합의적 질적 분석(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Analysis)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진술문은 모두 647개였는데, 이들은 61개 하위범주로 분류되었고, 또 그 하위범주들은 4개 주제와 17개 범주로 통합되었다. 첫 번째 주제는 ‘노인 내담자 특성’이었는데, 상담자들은 전반적으로 노인을 고집이 센 사람 등으로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두 번째 주제는 ‘노인의 상담 욕구’였는데, 상담자들은 노인 내담자가 그들을 상담전문가보다도 동조자 정도로 여길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세 번째 주제는 ‘노인 상담 과정’이었는데, 상담자들은 노인의 변화에 대한 저항성과 같은 성격적 특성이나 노인 내담자와의 연령차 등이 상담 과정을 어렵게 할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네 번째 주제는 ‘노인 상담 성과’였는데, 상담자들은 노인 대상 상담의 성과가 크지 않더라도 내담자가 지닌 정신건강 문제가 다소라도 해결될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일반 상담자들이 고령의 내담자나 노화에 대해 부정적 고정관념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해 준 것이었다. 본 고의 후반부에서는 고령자 대상 상담이 점점 더 중요해지는 초고령사회에서 상담자의 이러한 부정적 인식을 수정하고 고령자 대상 상담역량을 강화하는 훈련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Although the number of older adults in need of psychological help is increasing due to the increase in their population in Korea, there is a shortage of counselors qualified to provide the appropriate services for them. In order to activate gerontological counseling, there is a great need to explore the counselors’ perception of counseling for the older adults. Accordingly, 75 counselors with at least two years of counseling experience after graduating from a master’s program were asked through an open-ended questionnaire about their perceptions of the characteristics, counseling process, and counseling outcomes for the older clients. The counselor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online and the response data were analyzed us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Analysis. There were a total of 647 statements collected, they were classified into 61 subcategories, and the subcategories were integrated into 4 themes and 17 categories. The first theme was nam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older clients,’ and the counselors generally perceived them negatively such as stubborn people. The second theme was named ‘their need for counseling,’ and the counselors thought that the older clients would consider the counselor as a sympathizer to their problem but not a counseling expert. The third theme was named ‘the gerontological counseling process’, and the counselors recognized that the personality traits of older adults such as resistance to change and the age difference with the clients would make the counseling process difficult. The fourth theme was named ‘the gerontological counseling outcome,’ and the counselors recognized that the mental health problems of the older clients would be resolved to some extent even if the counseling outcomes for them were not gre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general counselors have negative stereotypes about older clients or aging. The authors raised the need for training to correct this negative perception of counselors and strengthen counseling competencies for the older adults in a super-aged society where gerontological counseling becomes more and more important in the last part of this paper.

      • KCI등재

        선박 모니터링을 위한 PNUSAT-1 큐브위성 시스템 예비 설계

        김해리(Haelee Kim),조동현(Dong-hyun Cho),이상훈(Sanghoon Lee),박찬휘(Chanhwi Park),임하경(Ha Kyeong Lim),김건우(Geonwoo Kim),곽민우(Minwoo Kwak),이창현(Changhyun Lee),김신형(Shinhyung Kim),구인회(Inhoi Koo),이대우(Daewoo Lee) 한국항공우주학회 2022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50 No.2

        선박자동식별장치(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AIS)는 선박의 정보를 자동으로 송수신하는 장치로 선박에 탑재된다. 연안 인근 선박의 AIS 정보는 지상에서 수신 가능하지만, 50해리 이상의 먼 해상으로 나가게 되면 지상과 통신이 두절되는 한계점을 가진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AIS 수신기를 탑재한 AIS 위성을 통하여 먼 해상의 선박 정보를 지상으로 전송할 수 있다. 국내에서는 아직 AIS위성 개발 사례가 없으며, 국내 다수의 선사는 해외의 AIS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PNUSAT-1은 부산대학교에서 개발 중인 1U+ 큐브위성으로, 선박 모니터링을 위해 AIS 수신기를 탑재하여 선박 정보를 지상으로 전달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PNUSAT-1은 임무 데이터가 텍스트 형태로 큰 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으므로 이에 부합하는 통신 장비, 저정밀 센서 및 구동기를 선택하였다. 본 논문에서 PNUSAT-1의 시스템 예비 설계를 수행하였으며, 임무 수행을 위한 요구사항, 운용 시나리오 및 모드 설계,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선정 그리고 각 서브시스템의 예비설계를 수행하였다.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is a device that automatically transmits and receives ship information and is mounted on the ship. AIS information of ships near the coast can be received on the ground, but when going out to sea more than 50 nautical miles, communication with the ground is cut off. To solve this problem, ship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ground through an AIS satellite equipped with an AIS receiver. There is no case of AIS satellite development in Korea yet, and many domestic shipping companies are using overseas AIS services. PNUSAT-1 is a 1U+ CubeSat, developed by Pusan National University, and it is equipped with an AIS receiver for monitoring of ships and transmitting ship information to the ground. Since the mission data of PNUSAT-1 is in text format, the data size is not large. In consideration of this, communication equipment, low-precision sensors, and actuators were selected. In this paper, system preliminary design of PNUSAT-1 was performed, requirements for mission performance, operation scenario and mode design, hardware and software selection, and preliminary design of each subsystem were perform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