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중등과학 지질단원의 학습을 위한 자은도의 지역화 자료 개발 사례

        김해경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20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3 No.1

        과학교과의 지질단원 학습은 야외학습과 지역의 자 료를 활용한 수업이 학습 동기를 유발하고 학습에 긍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연구에서 는 전라남도 자은도를 중심으로 과학교과 지질단원 학 습을 위한 지역화 자료를 개발하고 그 사례를 제시하 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지역의 3개 장소 (남진 선착장 부근, 양산 해변 지역, 둔장 해변 지역)를 중심으로 지질관련 지역화 자료를 개발하였다. 남진선 착장 부근지역에는 해식애, 모래해안, 갯벌이 분포하 고 있다. 해식애 노두에서는 퇴적암인 역암, 사암, 이 암이 분포하며, 암석의 풍화 현상 그리고 끊어진 지층 및 휘어진 지층을 관찰할 수 있다. 양산 해변 지역에서 는 약 1.5㎞ 길이의 모래해안과 해식애가 발달하며 역 암, 사암, 이암의 퇴적암과 화성암인 유문암 그리고 풍 화에 의한 풍화혈이 발달한다. 둔장 해변 지역에선 약 2㎞ 길이의 모래해안과 해식애 그리고 퇴적암과 다양 한 지층이 분포하고 있다. 또한 해식동굴이 긴 시간의 침식으로 인해 변화해 가는 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시 스택이 분포하고 있다. 3개의 장소에 분포하는 지형 및 지질현상은 자은도에 분포하는 독특한 현상으로 과 학 교과서의 지질단원에 제시된 지질현상을 이해할 수 있는 지역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지역화 자료는 사진으로 제작하여 교과서 사진과 비교하여 학습 에 이용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야외지질학습장으로서 활용할 만하다. It is generally reported that field learning and a class using regional materials motivate learning and give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of geology unit, science subj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to suggest regional materials for learning of geology unit, science subject at Jaeundo.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Regional materials were developed at three locations (namjin dockyard area, yangsan beach area and dunjang beach area) of the study area. Namjin dockyard area (A site) is composed of terrain of sea cliff, sand beach and mud flat. Sedimentary rocks, weathering phenomenon of rocks and strata of various shape are distributed in sea cliff of A site. Yangsan beach area (B site) is composed of coastal terrain as sea cliff and sand beach about 1.5km long. Sedimentary rocks and rhyolite are distributed in sea cliff of B site. Tafoni formed by weathering process of rocks are developed on sedimentary rock outcrop of B site. Dunjang beach area (C site) is composed of coastal terrain of sea cliff, sand beach about 2km long and sea stack. Stratified sedimentary rocks are distributed in sea cliff of C site. Sea stack located in near halmi island on the west side of dunjang beach area is a good sample showing erosion process of sea cave for a long time. Unique geomorphology and geology phenomena distributed in 3 sites at Jaeundo can be used as regional materials for learning of geology unit, science subject. And, Regional materials shall be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text book data of geology units. These 3 sites of the study area are worth using as field learning course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 SCOPUSKCI등재

        위에서 발생한 과립세포종 1예

        김해경,홍성수,강경훈,홍원선,민영일,정훈용,박의련,김해련,양석균,심기남,고진규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1999 Clinical Endoscopy Vol.19 No.5

        Granular cell tumors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are uncommon, and the esophagus is the gastrointestinal site most frequently affected. Such tumors are rarely seen in the stomach, colon, or rectum. Azzopardi first described a granular cell tumor of the stomach in 1956. Since then a few gastric granular cell tumors have been reported in corresponding literature. It is believed that there have been no reported case of a granular cell tumor of the stomach in Korea. Subsequently one case of a granular cell tumor of the stomach in 38 year-old female who complained epigastric soreness is herein reported, and was successfully managed by endoscopic resection.

      • KCI등재

        고흥군 영남 동측 해안의 지형과 지질

        김해경 한국도서(섬)학회 2019 韓國島嶼硏究 Vol.3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geomorphology and geological outcrops on the eastern coast of Youngnam, Goheung-gun, and provide basic data on earth science education, tourism and selection of geological heritage. For this study, investigation of coastal terrain called "yongbawi" was carried out. Yongbawi is named after the shape of intermediate dyke penetrating the sedimentary rock layer, "palyeongsan tuff" (KIGAM, 2015), vertically. Yongbawi is one of 10 sights of Goheung-gun, and there is a legend that a dragon ascended the sea cliff of this study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listed below. The research area is rocky coast consisting of cliff that is about 40m to 50m high and wave cut platform that is about 20m to 30m wide. Geology of this study area is composed of stratified tuffaceous conglomerate, sandstone and mudstone. Particle size distribution in tuffaceous conglomerate is poorly sorted. Rock fragments in conglomerate are most of volcanic rocks, and rounded to sub-rounded. The size of rock fragments is most about 5cm to 10cm, and up to about 1m in diameter. Accretionary lapilli of round to oval shape is observed in tuffaceous sandstone and mudstone, and about 5mm to 15mm in diameter. Intermediate dyke intrudes surrounding sedimentary rocks. The magnitude of the dyke is about 5m to 10m in width, about 40m to 60m in length. Intermediate dyke is pale green to green in color, and composed of plagioclase phenocrysts in groundmass. Faults observed in outcrops of this study area have about 20 to 30cm displacement, and horst or graben types. Channel structure in sedimentary rocks is formed by underdeposit erosion. The particles of channel deposits are larger than those of surrounding deposits. Channel structure observed in cross section of bedding plane of this study area is about tens of cm to a few meters in width. Tafoni, one of weathering pots, is generally distributed in the outcrop of this study area. Also, the groove is distributed on both borders of dyke. Geological phenomena such as dyke, faults, channel structures and weathering pots of this study area are thought to be of value as landscape for tourism, earth science education data and geologic heritage. 본 연구는 용바위 해안으로 알려진 고흥군 영남면 동측 해안에 분포하는 지형과 지질에 관한 연구이다. 이곳은 고흥군이 지정한 10경 중의 하나로 용이 승천할 때 암벽을 타고 기어 올라갔다는 전설을 가진 해식절벽이 형성되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용바위 해안 일대의 독특한 해안 지형의 특징과 암석 그리고 지질구조에 관한 정밀조사를 실시하여 교육과 관광 홍보 및 지질유산 선정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지역은 해식절벽과 파식대지로 이루어진 암석해안으로 퇴적암층을 수직으로 관입하며 약 5∼10m 폭을 가진 중성암맥이 분포하여 용바위로 불린다. 국립공원관리공단(2016)에서는 중성 암맥에 대한 지질유산의 가치와 평가가 이루어져 이를 지질유산 관리등급 Ⅱ등급으로 평가한 바 있다. 이 연구지역은 응회암질의 역암, 사암 및 이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층리가 발달되어 있다. 응회암질 역암은 분급이 불량하며 구성 역은 대부분이 화산암 역으로 원마도와 구형도는 양호한 편이다. 역암을 구성하는 역의 직경은 수 cm에서 최대 1m에 이른다. 일부 층준에서는 수 mm 직경의 원형 내지 타원형의 부가화산력이 분포하고 있다. 또한 수 cm 변위의 단층이 관찰되며 일부 층에서는 지루와 지구 형태의 단층이 분포하고 있다. 층리를 절단하며 상대적으로 조립질 퇴적층이 분포하는 수 cm에서 수 m 폭의 하도퇴적층이 관찰되기도 한다. 노두에는 전체적으로 풍화혈인 타포니가 분포하며 그 형태는 천정형, 복합형 그리고 관통형 등 모양과 크기가 다양하다. 중성 암맥 관입부 경계에서는 수직으로 발달한 그루브 형태의 풍화혈이 관찰된다. 이곳의 용바위는 고흥 군청에서 지정한 약 4km 미르마루길 탐방로의 경로에 위치한다. 연구지역의 용두암에서 남서 방향으로 고흥 우주발사대 전망대에 이르기까지 바다와 어우러진 지형경관으로 인해 많은 관광객이 왕래하고 있다. 연구지역은 용이 승천했다는 전설을 가진 지역으로 용머리를 닮은 용두암이 분포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독특한 풍화혈인 타포니와 그루브, 마린포트홀 그리고 단층과 하도구조 등 다양한 지질학적 현상이 관찰된다. 따라서 초등학교 학생부터 중학교, 고등학교 학생들까지 지구과학적 현상을 직접 관찰하고 체험할 수 있는 체험 학습장으로서도 가치가 있다. 앞으로 관광객의 유치와 홍보 그리고 야외지질학습장과 같은 교육적 활용을 위해서는 보다 정밀한 조사와 더불어 이를 설명할 수 있는 설명 판의 제작과 설치 그리고 산책, 감상 및 관찰을 할 수 있는 해안 데크의 조성이 요구된다.

      • KCI등재후보

        치위생과 재학생의 블렌디드 러닝 수업의 학습성취도와 학습만족도간의 학습몰입 매개효과

        김해경,조명숙,오나래 대한치과위생학회 2021 대한치위생과학회지 Vol.4 No.2

        Backgrou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lended learning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dental hygiene students, and to identify whether face-to-face studies should be substituted with non-face-to-face studies. Methods: Total 134 dental hygiene students, who underwent blended learning in the dental hygiene class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2021, were recruited. The research tools were blended learning achievement, learning flow, and learning satisfaction, comprising 15 questions in total.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and that between each variable. Results: Learning flow and learning satisfaction (r=0.490, p<0.001) were positively interrelated, and the interrelation between variabl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lass environment had the biggest effect as a subfactor of class achievement, and it appeared to have an effect on class attitude and learning motive. The effect of learning flow on learning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Learning flow was partially mediated by both blended learning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Learning flow was directly related to blended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achievement.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e possible use of blended learning in dental hygiene theory and practical subjects.

      • KCI등재

        숲 체험활동에 참여하는 유아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김해경,김승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학논집 Vol.19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숲 체험활동에 참여하는 유아교사의 직무 스트레스를 교사의 배경 변인과 스트레스 요인에 따라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와 전라도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32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으며,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숲 체험활동에 참여하는 유아교사의 직무 스트레스는 교사의 소속기관 유형과 경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트레스 요인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는 활동 상황 관련 스트레스가 가장 높았으며, 특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유아로 인한 스트레스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사 경력이 7년을 넘기면서 숲 체험활동에 참여하는 유아교사들의 스트레스가 현저하게 낮아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의 전인발달에 기여하는 숲 체험활동의 교육적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 유아교사의 발달단계에 적합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함을 주장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job str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participate in forest activities according to the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and stress variab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24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metropolitan area of Gwangju and Jeolla province. This study conducted survey research including a questionnaire, and the survey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job str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forest activities was meaningful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teachers’ workplace type and career. Second, job stress according to stress variables was highest at stress related to the activity status, and the teachers were very stressed because of children who needed special attention. However, the teachers’ stress dropped remarkably for teachers who had been teaching for more than seven years. Therefore, this study insists that teacher education programs suitable to developmental stag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be provided to increase the educational value of forest activities which contribute to young children’s holistic development.

      • KCI등재

        LC-MS/MS를 이용한 하귤 (Citrus natsudaidai Hayata) 껍질의 플라보노이드 성분분석: 항산화 활성에 대한 기여

        김해경,정성우,박세민,이지은,송이,옥세윤,조영아,김곤섭,이원섭,김재훈,허무룡,신성철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3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7 No.4

        The fruit peel of Citruses is an important flavonoid source and used as folk medicines for curing intestine and inflammatory diseases. In this work, 9 flavonoids and one coumarin derivatives in Hagyul (Citrus natsudaidai Hayata) peel were characterized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HPLC-MS/MS). Flavanones, flavones and coumarin derivative were validated in terms of hesperetin, noviletin and coumarin, respectively, and quantified using the validated methods. Correlation coefficients (r2) were >0.9970, indicating accetable. LOD's and LOQ's were above 0.01 and 0.05 mg/L, respectively. Total amount of the flavonoids were 플9229.7 ± 0.5 mg/kg. The concentration of naringin was highest as 5010.0 ± 4.5 mg/kg and sinensetin was lowest as 0.6 ± 0.1 mg/kg. Antioxidant capacities were evaluated between 25 and 500 μg/mL in terms of DPPH·, ABTS·+ NO· scavenging and FRAP. The antioxidant acitvities of the flavonoids increased dose-dependantly. 감귤류의 껍질은 플라보노이드의 중요한 소스 중의 하나로서 동아시아에서 내장 및 염증성 질환을 치료하는 민간 의약품으로서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하귤 (C. natsudaidai) 껍질에 포함되어 있는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이중질량분석법 (HPLC-MS/MS)으로 10 개 성분을 동정하였다. 플라바논, 플라본 및 쿠마린 유도체는 각각 hesperetin, noviletin 및 coumarin을 사용하여 유효화 하였으며 유효화된 방법으로 정량하였다. 상관계수 (r2)는 >0.9970으로서 높은 값을 보여주었다. LOD는 >0.01 mg/L이었으며 LOQ는 >0.05 mg/L이었다. 플라보노이드의 총량은 9229.7 ± 0.5 mg/kg 이었다. Naringin의 량이 5010.0 ± 4.5 mg/kg으로 가장 많았으며 sinensetin의 량이 0.6 ± 0.1 mg/kg으로 가장 적었다. 항산화력을 25 μg/mL 에서 500 μg/mL의 농도범위에서 DPPH·, ABTS·+, NO· 소거능 및 FRAP의 항으로 분석하였다. 감귤 플라보노이드의 항산화 능력은 시료의 량이 증가하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전라남도 도서에 분포하는 단층의 지질교육적 가치와 활용방안 - 여수시 도서를 중심으로 -

        김해경 한국도서(섬)학회 2022 韓國島嶼硏究 Vol.34 No.2

        단층 운동은 지각변동에 관한 여러 가지 증거 중 하나이다. 단층 운동으로 인해 지각 중에 생긴 틈을 경계로 하여 양측의 지괴가 전이하여 어긋나면 이 틈을 단층이라 한다. 단층은 모든 암석 중에 생길 수 있으나 화성암, 변성암 같은 괴상의 암석 중에서는 단층 양쪽 암석의 차이가 발견되지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단층을 인식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그러나 퇴적암에서는 층리가 발달하여 단층 양쪽의 암석이 어긋나 달라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단층을 발견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변위의 양까지도 알아낼 수 있다. 지각을 이루는 암석이 지각변동 등의 큰 힘을 받아 생기는 지질구조 중의 하나인 단층은 야외의 암석 노두에서 관찰이 가능하며 학생들이 지구의 역사를 이해할 수 있는 매우 흥미로운 구조이다. 단층은 2015교육과정, 초등학교 과학, 고등학교 지구과학1 교과에서 학습내용으로 제시되고 있으며 사진 및 삽화가 학습 자료로 제시되고 있다. 교과서에서 사용되는 단층 사진을 제시할 때 학생들의 정량적 관찰을 돕기 위한 사진의 제시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전라남도 여수시 도서에 분포하는 다양한 특징의 단층을 지역화 자료로서 소개하고 지질 교육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단층 사진의 재구성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연구 결과는 전라남도 여수시를 중심으로 단층에 관한 지역화 학습 자료로서 뿐만 아니라 차기 교육과정 개편 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 과학 및 고등학교 지구과학1 교과서를 분석한 총 7장의 단층 사진 크기는 가로가 5cm에서 18cm, 세로는 4cm에서 9.5cm 까지 다양하였다. 총 7장의 단층 사진 중에서 단층의 분포지 표기는 국내 3곳 그리고 외국 1곳이었다. 총 7장의 단층 사진에는 지질 해머가 척도로 사용된 경우가 1장 이었다. 이 연구에서는 전라남도 여수시 묘도에서 2곳, 오동도에서 1곳, 사도에서 2곳, 낭도에서 2곳 그리고 적금도에서 1곳의 단층이 분포하는 곳을 조사하고 단층 사진을 총 8장 지역화 학습 자료로 제시하였다. 단층 사진의 재구성 방안으로는 지층 전체가 보이는 노두 사진과 함께 단층의 확대 또는 근접 사진이 제시되어야 한다. 또한 지층의 두께나 단층의 변위를 정량적으로 관찰하기 위해서 단층 사진에는 축척이나 척도가 함께 표시되어야 한다. Faulting is one of the various pieces of evidence for crustal movement. The rock masses on both sides of the fracture in the crust and is caused by crustal movement move relatively. This fracture is called a fault. Faults can occur on all rocks. Faults in massive rocks such as igneous and metamorphic rocks may be difficult to recognize. However, faults in sedimentary rocks with developed stratification are relatively easy to find. In addition, the degree of movement of the rock mass in the fault can be observed. The fault, one of the geological structures created by a tectonic process such as crustal movement, is a very interesting structure for students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the Earth. The fault is presented as learning content in the 2015 curriculum, elementary school science, and high school earth science 1 subjects. In textbooks, photographs and illustrations about faults are presented as learning materials instead of real faults or models. In textbook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presenting fault photos to help students observe quantitatively. This study introduces the faults of various characteristics distributed on islands in Yeosu-city, Jeollanam-do as localized data and proposes a reorganization plan to present fault photos for geo-educational us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revision of the next curriculum as well as localization learning materials for the fault centered on Yeosu-city, Jeollanam-do.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he size of a total of seven fault photos analyzing science and earth science 1 textbooks varied from 5cm to 18cm in width and 4cm to 9.5cm in length. Out of a total of 7 fault photos, the distribution indicators of the fault were three in Korea and one in foreign countries. There was an example of a geological hammer being used as a scale in one of a total of seven fault photos. Two places on Myodo, one on Odongdo, two on Sado, two on Nangdo, and one on Jeokgeumdo of Yeosu-city were surveyed, and a total of eight photos were taken of the faults distributed in these areas were presented as localized learning materials. As a way to reconstruct fault photos, an enlarged or close photograph of the fault part along with the stratified strata should be presented. In addition, in order for students to quantitatively observe the thickness of the stratum or the displacement of the stratum in the fault photo, a scale or ruler must be displayed together on the fault photo.

      • KCI등재

        초등학교 자연과 학습자료 준비를 위한 연구 : 초등학교 4 학년 자연과 중심으로 Based on the Natural Science for 4th Grade

        김해경,남철우,김정길,한광래,문두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1997 초등과학교육 Vol.16 No.1

        In this study, the teaching-learning materials in the natural science text book for 4th grade, written based on the 6th natural science curriculum, were analysed and classified with preparing meth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science teachers ready for the teaching-learning materials, by providing the some information about the means and method of preparation and resources. As a results, the total number of these materials is 697 and the number of kinds is 246. And the number of kinds with preparing method is 50 for purchase(69.9%), 36 for gathering(14.6%), 18 for collecting(7.3%), 8 for manufacturing(3.2%), 4 for breeding-growing(1.6%) and 30 for others(12.2%) respectively. This study, furthermore, suggests the several substitution materials, and developed outdoor learning materials with relation to stratum and fossil as well as manufactured slide program showing various environmental pollution in Kwangju and Chunnam local area.

      • KCI등재

        서울지방 겨울철 기온의 확률모델

        김해경,김태수 한국통계학회 1992 응용통계연구 Vol.5 No.1

        본 논문의 목적은 서울지방 겨울기온의 예측을 위한 확률모델의 개발과 그 응용에 있다. 겨울기온의 회귀추세, 주기성 그리고 종속성들의 연중, 연간변동을 과거 30년(1959-1989) 일일자료를 기초로 하여 분석하였다. 기온예측을 위한 확률모델을 개발하고 그 응용을 위한 통계적 절차를 제안하였다. 겨울철기온의 특성인 이상기온의 출현과 삼한사온현상의 실체도 논하였다.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stochastic model for winter air-temperature of Seoul area. The annual and interannual flucturations of the regression trend, periodicity and dependence of the air-temperature are analyzed based on the data during the past 30 years(1959-1989). A statistical procedure for using the stochastic model to predict the air-temperature is proposed. Some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winter air-temperature including unusual air-temperature and Samhansaon are also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