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종사자가 지각한 감정노동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김태형(Kim TaeHyeong),손인봉(Son InBong)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9 장애와 고용 Vol.29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종사자가 지각하고 있는 감정노동의 정도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양자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2014년 3월 31일부터 4월 25일까지 약 4주에 걸쳐, 전국의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종사자 397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료는 우편조사로 진행되었으며,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종사자가 지각하고 있는 감정노동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양자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종사자가 지각하고 있는 감정노동이 자기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자기효능감은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동시에 감정노동이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자기효능감은 부분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조직시민 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감정노동임을 확인하였으며, 감정노동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조직시민행동을 높일 수 있는 정책적․실천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onal effects of self-efficacy in the associations between emotional labor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mong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y personnel. Method: In this study, the mediational effects of self-efficacy were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effects was examined by the Sobel test.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emotional labor had negative effects on self-efficacy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self efficacy had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mediational effects of self-efficac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These results imply that policies and interventions for heightening self-efficacy and alleviating emotional labor should be developed to promot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mong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y personnel.

      • KCI등재

        운전자 졸음 검출을 위한 눈 개폐 검출 알고리즘 연구

        김태형(TaeHyeong Kim),임웅(Woong Lim),심동규(Donggyu Sim) 대한전자공학회 2016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3 No.7

        본 논문에서는 변형된 하우스더프 거리 (MDH: Modified Hausdorff Distance)를 이용한 눈 개폐 감지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얼굴 검출과 눈 개폐 감지로 크게 구분된다. 얼굴 영역의 검출을 위하여 고정 크기의 영역 내에서 픽셀 값을 이용하는 지역 구조특성의 MCT (Modified Census Transform)특징기반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후, 검출된 얼굴 영역내에서 MHD를 이용하여 눈의 위치 및 개폐를 판단한다. 얼굴 검출의 처리절차는 먼저, 오프라인에서 다양한 얼굴 영상에 대해 MCT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PCA를 이용하여 기준이 되는 특징벡터들을 추출한다. 다음으로, 온라인에서는 입력되는 실험 영상 내에서 새롭게 추출된 특징벡터들과 기준이 되는 특징 벡터들 간의 유클리드 거리를 이용하여 얼굴 영역을 검출하는 순서로 진행된다. 이후, 검출된 얼굴 영역 내에서 MHD 기반의 눈 영역 검출과 템플릿 매칭을 수행하여 눈의 개폐를 감지한다. 제안하는 방법의 성능 검증을 위하여 그레이 스케일 영상 (30FPS, 320×180)을 입력으로 실험을 수행한 결과, 눈 계폐 검출율에서 평균 94.04%의 정확도를 달성하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lgorithm for open/closed eye detection based on modified Hausdorff distance. The proposed algorithm consists of two parts, face detection and open/closed eye detection parts. To detect faces in an image, MCT (Modified Census Transform) is employed based on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structure which uses relative pixel values in the area with fixed size. Then, the coordinates of eyes are found and open/closed eyes are detected using MHD (Modified Hausdorff Distance) in the detected face region. Firstly, face detection process creates an MCT image in terms of various face images and extract criteria features by PCA(Principle Component Analysis) on offline. After extraction of criteria features, it detects a face region via the process which compares features newly extracted from the input face image and criteria features by using Euclidean distance. Afterward, the process finds out the coordinates of eyes and detects open/closed eye using template matching based on MHD in each eye region. In performance evaluation, the proposed algorithm achieved 94.04% accuracy in average for open/closed eye detection in terms of test video sequences of gray scale with 30FPS/320×180 resolution.

      • 다차종 공용 생산 설비 개발

        김태형(Taehyeong Kim),오광민(Kwangmin Oh),이희범(Heuibom Lee) 한국자동차공학회 2011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11 No.11

        In Hyundai·Kia Motors production method is a mixed manufacturing system. It is a system of manufacturing over two types of cars in one line. So, The manufacturing equipment have to be in common. There are many equipment in the welding shop. For example Welding Robot, Welding Gun, Jig, Hanger, Pallet, Unit, etc. The study is concerned with a jig.

      • 토양소독기의 클로버씨스트선충 방제 효과 분석

        김태형 ( Taehyeong Kim ),최용 ( Yong Choi ),문석표 ( Seokpyo Moon ),장성혁 ( Sunghyuk Jang ),이상희 ( Sanghee Lee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2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2020년 밭작물 재배면적은 737,495 ha로 2010년 751,607 ha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대부분의 밭작물은 주로 계속적으로 같은 작물을 심기 때문에 전염성 토양 병원균에 의한 연작장해가 발생하여 수확량 감소 등 피해가 심각한 실정이다. 그중 클로버씨스트선충(Heterodera spp.)은 국내 고랭지 배추의 주산지인 태백시와 정선군에서 최초 발생하여, 그 주변 지역으로 피해가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고랭지배추 포장에 씨스트선충이 감염될 경우 수확량이 최대 50% 이상 감소하기 때문에 선충에 대한 피해를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노지에서 사용이 가능한 훈증성 토양 소독제 살포와 비닐 피복이 동시에 가능한 토양 소독기의 클로버씨스트선충에 대한 방제 효과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토양 소독기는 두둑 성형, 약제 살포, 비닐 피복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는 기계로 약제를 땅속에 분사하도록 제작되었다. 실험에 사용된 약제는 Dimethyl Disulfide(DMDS)이며, 전남 무안군에 위치한 클로버씨스트선충이 감염된 포장에서 수행하였다. 병원균의 밀도 조사를 위해 약제 처리 전, 후 토양 시료를 각각 100 g씩 5반복 채취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처리구는 약제 살포 후, 4주간 훈증 시킨 뒤 비닐을 제거하였으며, 대조구는 무처리로 비닐 피복을 하지 않았다. 토양소독기의 방제 효과는 씨스트선충 알 부화율로 평가하였다. 채취한 시료를 수돗물과 함께 토양 현탁액을 만들고, 이를 20 mesh와 60 mesh 체에 차례로 거른 후, 60 mesh 체 위에 남은 잔류물을 따로 옮겨 담는다. 그 후 처리구 별로 씨스트를 20개씩 무작위 선별하여, 깔때기에 올려놓고, 1주 간격으로 총 4주 동안 매회 부화한 유충을 측정하였다. 마지막 유충 채집 후 깔때기 위에 남은 씨스트를 모두 수집하여 실체현미경으로 관측 후 부화하지 않은 알 수를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무처리 구역에서 4주간 평균 부화율은 30%로 나타났으며, 약제 처리 구역에서는 부화된 알이 없어 알부화율에 따른 클로버씨스트선충 방제가는 100%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된 토양 소독기를 사용하여, 국내 클로버씨스트 선충에 대한 방제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토양소독기 약제 살포량 자동제어 시스템 설계 및 제작

        김태형 ( Taehyeong Kim ),이상희 ( Sanghee Lee ),신소영 ( Soyoung Shin ),장성혁 ( Sunghyuk Jang ),최용 ( Yong Choi ),전현종 ( Hyunjong Jun ),강연구 ( Yeonku Kang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1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국내 밭작물 재배 면적은 2010년 731.1ha에서 2020년 740.9ha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논농사에서 밭농사로 전향하는 농가의 증가로 전체 농경지 면적 대비 밭작물 재배 면적은 2010년 43%에서 2020년 47%로 크게 상승하였다. 하지만 밭작물 재배의 경우 연작장해로 인해 토양이 악화되고 병원균의 증가에 따른 생산량 저해요인이 있다. 특히 인삼 뿌리썩음병균(Cylindrocarpon destructans)과 뿌리혹선충뿌리혹선충(Meloidogyne spp.)은 국내 인삼재배의 연장장해의 주요 원인이기 때문에 생산량 증가를 위해서 토양 방제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닐피복과 액제 훈증성 토양 소독제를 동시에 살포하는 트랙터부착형 토양 소독기의 약제 살포량 자동제어 시스템을 설계 및 제작하였다. 자동제어 시스템은 작업속도의 변화에도 약제 살포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설계 및 제작되었다. 작업 속도는 시작기의 측면에 부착된 구동륜의 회전속도를 통해 계측하고, 약제 살포량은 다이어프램 펌프 구동축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제어가 가능하다. 구동륜의 회전속도와 펌프 구동축의 회전속도는 w<sub>2</sub> = πcADw<sub>1</sub>/na의 식으로 표현이 가능하다. 소독제 살포량 자동제어 장치는 작업 시작 시 근접 센서의 신호에 따라서 컨트롤러의 엔코더 회전속도를 받아 펌프 구동축의 회전속도를 비례제어하는 방식으로 알고리즘을 설계하였다. 작업 속도 감지 시스템은 구동륜과 엔코더로 구성하였으며, 구동륜은 시작기가 출발하게 되면 지면을 따라 회전하게 되고 구동륜의 원주길이와 회전속도의 관계에 따라 시작기의 작업속도를 계산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펌프는 펌프막의 상하 운동에 의해 액체를 퍼올리고 배출하는 형식의 다이어프램 펌프를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설계조건으로 약제 살포량 자동제어 시스템을 제작하였으며, 추후 여러 요인실험을 실시하여 성능검증 및 최적 작업조건을 구명할 예정이다.

      • VANET 클라우드 컴퓨팅 아키텍처

        김태형 ( Taehyeong Kim ),송주석 ( Jooseok So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1 No.1

        지금까지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도로 정보 등을 제공하기 위해 차량 간 통신 네트워크인 Vehicular Ad hoc NETwork (VANET)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왔다. 그러나 각 자동차의 On board unit (OBU)의 계산 능력, 저장 공간 등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연구는 진행되어 오지 않았다. 2011년 Olariu etal. 가 cloud computing을 기존의 VANET에 적용하는 개념인 Autonomous Vehicular cloud[1]를 제시하면서 새로운 VANET 연구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 기존의 VANET연구는 지금까지의 각각의 자동차의 통신 성능을 높이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지만, 새로운 아이디어는 높아진 각 자동차의 능력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유용하게 사용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것은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ITS)의 구축에 한발 더 나아갈 수 있게 하였다. 그 이후 VANET cloud computing (VCC)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었으나 보안적인 측면에서는 아직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보안을 보완한 VCC 아키텍처를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