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아동발달을 위한 상호작용 감성인형 개발

        김치중,김지혜,권혜경,서현주,서범식,황민철 대한인간공학회 2008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8 No.10

        아동의 사회-정서 발달 및 인지발달에 애완동물과의 상호작용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되어 있다. 본 개발은 아동의 감성을 자극시켜 아동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감성인형(PET, Pet of Emotion Technology)을 개발하였다. 3~5세의 8명의 아동들에게 설문을 통해 아이들이 강아지에게 취하는 행동으로 예뻐해 줄 때는 머리와 등을 쓰다듬기를 하고, 미워할 때는 같은 부위를 때리는 행위를 도출하였다. 인형의 머리와 등에 부착된 터치센서로 때리기와 쓰다듬기 행동을 측정하게 하고 입에 부착된 버튼센서로 밥 주기 행동을 측정하도록 하였다. 측정된 데이터는 가상 강아지의 애정도, 포만감, 체력수치에 변화를 주어, 세 개의 수치 값으로 가상 강아지의 행동 변화의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본 개발은 아이와 인형간에 상호작용을 통해 아이의 감성에 자극을 주어 아동발달에 도움을 줄 것이라 기대된다.

      • 구두논문 : 멀티모달 인터렉션을 이용한 증강현실 게임 플랫폼 설계에 관한 연구

        김치중,황민철,박강령,김종화,이의철,우진철,김용우,김지혜,정용무 한국감성과학회 2009 추계학술대회 Vol.2009 No.-

        본 연구는 HMD(Head Mounted Display), 적외선 카메라, 웹 카메라, 데이터 글러브, 그리고 생리신호 측정센서를 이용한 증강현실 게임 플랫폼 설계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HMD 는 사용자의 머리의 움직임을 파악하고, 사용자에게 가상 물체를 디스플레이화면에 제공한다. 적외선 카메라는 HMD 하단에 부착하여 사용자의 시선을 추적한다. 웹 카메라는 HMD 상단에 부착하여 전방 영상을 취득 후, 현실영상을 HMD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데이터 글러브는 사용자의 손동작을 파악한다. 자율신경계반응은 GSR(Galvanic Skin Response), PPG(PhotoPlethysmoGraphy), 그리고 SKT(SKin Temperature) 센서로 측정한다. 측정된 피부전기반응, 맥파, 그리고 피부온도는 실시간 데이터분석을 통하여 집중 정도를 파악하게 된다.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 시선, 그리고 손동작은 직관적 인터랙션에 사용되고, 집중 정도는 직관적 인터랙션과 결합하여 사용자의 의도파악에 사용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멀티모달 인터랙션을 이용하여 직관적 인터랙션 구현과 집중력 분석을 통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는 새로운 증강현실 게임 플랫폼을 설계하였다.

      • 심혈관 반응에 의한 각성도 평가에 관한 연구

        김치중,황민철,김종화,우진철,김용우,김지혜 대한인간공학회 2009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11

        본 연구는 시각 자극에 의해 유발된 각성도를 자율신경계의 심혈관 반응의 PPG(Photoplethysmography) 분석을 통하여 평가하고자 한다. 피실험자는 20대 남녀 각각 5명이 참여하였다. 실험은 휴식에 해당하는 검은 화면을 30초 동안 제시하고, 자극 이미지를 10초 동안 4회 반복 제시하였다. 각각의 자극 이미지 사이에는 검은 화면을 30초 동안 제시하여 한 세트를 구성하고, 피실험자당 총 4세트를 진행하였다. 자극이미지는 이전 연구에서 사용된 감성이미지 중, 각성이미지 6장과 이완이미지 6장을 번갈아 가며 제시하되, 각각의 이미지는 무작위로 제시하였다. 심혈관 반응의 측정은 PPG센서는 귓볼에 착용하여 PPG신호를 샘플링 주파수 200㎐로 측정하였다. 신호검출은 측정신호에서 PPG amplitude, PPI(Pulse to Pulse Interval), PRV(Pulse Rate Variability)를 검출하였다. 검출한 데이터의 검증은 독립표본 T-test를 사용하여 휴식과 이완, 휴식과 각성, 그리고 각성과 이완 정도를 비교하였다. 이를 통하여, 각성과 이완에 대한 PPG신호의 변화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써, 본 연구는 각성도에 대한 평가를 심혈관 반응의 PPG분석방법을 통하여 정량화함으로써, PPG분석이 각성도 평가의 객관적인 평가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제시하고자 한다.

      • 3단계 각성 모드에 따른 자율신경계 반응 변화에 대한 연구

        김치중,황민철,김종화,우진철,김용우,김지혜 한국감성과학회 2009 춘계학술대회 Vol.2009 No.-

        본 연구는 3 단계 각성 모드에 따른 자율신경계 반응 모델 구현에 대한 연구이다. 정신생리학(Psycho-Physiology)에서의 각성 시스템 모델은 Boucein(1992, 2006)에 의해 제안되었다. 각성 시스템 1 은 편도체(amygdala)활동과 관계한, 무의식수준에서 주의를 집중시키는 역할을 한다. 각성 시스템 2 는 해마(hippocampus)활동과 관계한, 인지적 각성 단계로서 상황-반응(situation-reaction) 대한 연결을 담당하는 역할을 한다. 각성 시스템 3 은 기저핵(basal ganglia)활동과 관계한, 몸운동(somatomotor)활동과 관계된 뇌 영역의 준비를 활성화시킨다. 각성 시스템은 상황의 변화나 특정 자극이 일어나면, 그에 해당하는 각성 모드에 의해 자율신경계(automatic nervous system)반응이 발생한다. 따라서, 자율신경계반응의 분석을 통하여 각성 시스템의 단계를 평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자율신경계반응 중 GSR(galvanic skin Response)과 SKT(skin temperature)분석을 통하여 3단계 각성 모드인 직관적, 인지적, 행동적 모드를 평가하는 연구이다.

      • 음악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김치중(Chi-jung Kim),손현동(Hyun-dong Son) 한국교육상담학회 2023 교육상담연구 Vol.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전라남도 Y군에 소재한 D 초등학교 5학년 3개 학급 중 한 학급(총 23명, 남 9, 여 14)을 실험집단으로, 그리고 동질성이 확보된 다른 한 학급(총 22명, 남 9, 여 13)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검사 도구로는 자기표현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총 10회기의 음악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는 정규 교육 활동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더불어 프로그램의 매 회기를 마친 후 작성한 학생들의 소감문과 연구자가 관찰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우선 음악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자기표현력 사후 평균전체 점수가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자기표현력의 3가지 하위 영역(내용적 표현, 언어적표현, 비언어적 표현) 모두에서도 실험집단의 평균이 통제집단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매 회기별 피험자 소감문 및 연구자의 관찰 결과에서도 실험집단의 자기표현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음악상담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기표현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다. 이 연구는 음악상담 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저소득층, 다문화 등 특수한 경우뿐만 아니라 일반 초등학생의 자기표현력 향상에도 효과가 있다는 것을 입증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a music counseling program on the self-express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e of the three fifth grade classes of D Elementary School in Y-gun, Jeollanam-do (a total of 23 students, 9 males and 14 females) was selected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homogeneous class (a total of 22 students, 9 males and 13 females) was selected as the control group. The self-expression test was used as the test instrument.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a total of 10 sessions of the music counseling program, while the control group received regular educational activitie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 t-test was conducted, and the students' reflections after each session and the researcher's observations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ost-test mean overall score of self-express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music counseling program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nd the mean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trol group in all three subdomains of self-expression (content expression, verbal expression, and nonverbal expression). In addition, the subjects' reflections and the researcher's observations after each session confirmed that the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self-express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music counseling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children's self-expres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to veryfy that the music counseling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self-expression for gener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not just for special cases such as maladjustment, low-income class, and multi-cultur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