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WCAG2.0 기반의 특정 사용자 집단을 위한 웹 접근성 평가 모델 개발

        김초이 ( Cho-yi Kim ),홍소연 ( So-yeon Hong ),김소라 ( So-ra Kim ),한혁수 ( Hyuk-soo Han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6 No.2

        웹이 대중화되면서, 사용자 계층도 어린이, 노인, 장애인 등으로 다양해졌다. 인지적, 신체적 특징에 상관없이 모든 사람에게 동등한 웹 기회를 제공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지표가 웹 접근성이다. 웹 사이트들이 특정 수준의 웹 접근성을 준수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W3C(World Wide Web Consourtium)의 WAI(Web Accessiability Initiative)는 웹 콘텐츠 접근성 가이드라인 WCAG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ens)를 개발하였다. 현재, WCAG2.0 까지 발표된 가이드라인은, 4 개의 원칙(Principle), 12 개의 지침(Guideline), 그리고 61 개의 성공기준(Success Criteria)으로 구성 되어 있다. 평가자들은 WCAG2.0 에서 제시하는 성공 기준에 맞춰, 웹 사이트가 웹 접근성을 어느 수준으로 준수하고 있는지 평가한다. 하지만, WCAG2.0을 기준으로 웹 사이트를 평가할 경우, 성공기준의 준수여부는 평가가 가능하지만, 특정 사용자 집단의 특성을 반영한, 우선순위가 포함되지 않아, 특정 사용자 집단을 위한 개선 사항을 도출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WCAG2.0 기반의, 특정 사용 집단을 위한 웹 접근성 평가 모델을 제안한다. 사용자 특성에 따라 성공지침들의 중요도가 달라 질 수 있으므로, AHP 기법을 활용하여 성공지침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평가하고, 우선순위화 하였다. 평가 모델의 효용성을 입증하기 위해, 특정 사용집단으로 노인 집단을 선정하여, 웹 접근성 평가 모델을 개발하였다.

      • KCI등재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의 웹 접근성 평가

        한혁수 ( Hyuk Soo Han ),김초이 ( Cho Yi Kim ) 한국감성과학회 2009 감성과학 Vol.12 No.4

        웹 2.0이 등장하면서 나타난 개념인 SNS(Social Network Service 또는 Social Network Sites)는 오프라인에서만 존재하던 사회적 관계망을 온라인에서 구축한 친목기반 인맥 형성 서비스이다. 페이스북(Facebook), 마이스페이스(Myspace), 트위터(Twiter)등과 같은 외국 SNS와 싸이월드(Cyworld), 미투데이(Me2Day)등과 같은 국내 SNS는 지속적인 인기를 누리며, 인터넷 환경의 주요한 응용 분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SNS는 모든 사용자들이 타인과 협력하고 정보를 공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웹을 사용하는데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노인과 장애인들이 사용하기에 적절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있는지 웹 접근성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웹 접근성은 인지적, 신체적 특징에 상관없이 모든 사람에게 동등한 웹 기회를 제공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만약, SNS가 웹 접근성이 낮아 노인과 장애인이 사용하지 못한다면, 노인, 장애인과 일반사용자의 정보격차는 점점 늘어나서 사회적 문제가 될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웹 접근성 평가 도구인 KADO-WAH 2.0과 웹 접근성 표준 문서인 WCAG(Web Contents Accessibility Guideline) 2.0을 기반으로 SNS인페이스북과 싸이월드의 웹 접근성을 평가하여, 웹 접근성 준수 현황을 파악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SNS(Social Network Service or Social Network Sites), the concept which came along with the Web2.0 is on-line service which focuses on building social network communities of people which used to be established off-line. Foreign SNS sites such as Facebook, MySpace and Twitter and domestic SNS sites such as Cyworld, Me2Day are getting popularity continuously and became one of the most important application in internet environments. Since these SNS sites have the purpose of providing infrastructure which enable all the people to share his/her interests with all the other people, it is necessary to appraise whether these sites provide convenient interfaces with proper accessibility to handicapped people and old people who are considered having difficulties in using internet. Web accessibility refers to the practice of providing equal access to people of all abilities and disabilities. If the web accessibility of a SNS site is so low that handicapped people and old people cannot use it properly, those gaps between user groups may become social problems. Therefore, the paper appraised web accessibility of Facebook and Cyworld using automatic tool, KADO-WAH 2.0 and Standard guideline, WCAG 2.0 and suggested the improvement opportun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ppraisal.

      • KCI등재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의 활용

        한혁수(Hyuk-Soo Han),김초이(Cho-Yi Kim) 한국IT서비스학회 2010 한국IT서비스학회지 Vol.9 No.4

        There are many occasions on which the critical decisions should be made in software projects. Those decisions are basically related to estimating and predicting project parameters such as costs, efforts, and duration. The project managers are looking for methods to make better decisions. The decisions about project parameters are recommended to be performed based on historical data of similar projects. The measures of the tasks in past projects may have different shapes of distributions. we need to add those measures to get a predicted project measures. To add measures with different shapes of distribution, we need to use Monte Carlo simulation. In this paper, we suggest applying Monte Carlo simulation for supporting decision makings in software project. We implemented best-fit case and scheduling estimations with Cristal Ball, a commercial product of Monte Carlo simulation and showed how the suggested approach supports those critical decision mak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