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Beam Dynamics and Error Study of the Medium Energy Beam Transport Line in the Korea Heavy-Ion Medical Accelerator

        김찬미,Eun-San Kim,Garam Hahn 한국물리학회 2016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69 No.9

        The Korea Heavy Ion Medical Accelerator consists of an injector and a synchrotron for an ion medical accelerator that is the first carbon-ion therapy system in Korea. The medium energy beam transport(MEBT) line connects the interdigital H-mode drift tube linac and the synchrotron. We investigated the beam conditions after the charge stripper by using the LISE++ and the SRIM codes. The beam was stripped from C4+ into C6+ by using the charge stripper. We investigated the performance of a de-buncher in optimizing the energy spread and the beam distribution in z-dW/W (direction of beam progress-beam and energy) phase. We obtained the results of the tracking simulation and the error analysis by using the TRACK code. Possible misalignments and rotations of the magnets were considered in the simulations. States of the beam were examined when errors occurred in the magnets by the applying analytic fringe field model in TRACK code. The condition for the beam orbit was optimized by using correctors and profile monitors to correct the orbit. In this paper, we focus on the beam dynamics and the error studies dedicated to the MEBT beam line and show the optimized beam parameters for the MEBT.

      • KCI등재

        Error analysis in post linac to driver linac transport beam line of RAON

        김찬미,Eun-San Kim 한국물리학회 2016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69 No.1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agnet errors in the beam transport line connecting the post linac to the driver linac (P2DT) in the Rare Isotope Accelerator in Korea (RAON). The P2DT beam line is bent by 180-degree to send the radioactive Isotope Separation On-line (ISOL) beams accelerated in Linac-3 to Linac-2. This beam line transports beams with multi-charge state 132Sn45,46,47. The P2DT beam line includes 42 quadrupole, 4 dipole and 10 sextupole magnets. We evaluate the effects of errors on the trajectory of the beam by using the TRACK code, which includes the translational and the rotational errors of the quadrupole, dipole and sextupole magnets in the beam line. The purpose of this error analysis is to reduce the rate of beam loss in the P2DT beam line. The distorted beam trajectories can be corrected by using six correctors and seven monitors.

      • KCI등재

        실리콘-탄소나노튜브-탄소 복합체 제조 및 리튬이온전지 응용

        김찬미,김선경,장한권,길대섭,장희동,Kim, Chan Mi,Kim, Sun Kyung,Chang, Hankwon,Kil, Dae sup,Jang, Hee Dong 한국화학공학회 2018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56 No.1

        리튬이온전지의 음극재로 높은 이론적인 용량과 낮은 방전 전위 및 무독성을 가진 실리콘이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리튬이온전지의 고효율 음극재로 활용을 위한 실리콘-탄소나노튜브-탄소(Si-CNT-C)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복합체 제조를 위해서는 에어로졸 자기조립과 후 열처리 공정을 사용하였다. 제조된 Si-CNT-C 복합체는 구형이었으며 평균 입자크기는 $2.72{\mu}m$이었다. 복합체의 크기는 실리콘 및 탄소나노튜브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커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Si-CNT-C 복합체는 탄소나노튜브와 글루코스에서 탄화된 탄소가 실리콘 입자들을 중심으로 표면에 부착된 형태이었다. 제조된 Si-CNT-C 복합체는 전기화학 분석을 통해 순수한 실리콘보다 우수한 사이클 성능을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Silicon has attracted extensive attention due to its high theoretical capacity, low discharge potential and non-toxicity as anode material for lithium ion batteries. In this study, Si-CNT-C composites were fabricated for use as a high-efficiency anode material in a lithium ion battery. Aerosol self-assembly and post-heat treatment processes were employed to fabricate the composites. The morphology of the Si-CNT-C composites was spherical and an average particle size was $2.72{\mu}m$. The size of the composite increased as concentration of Si and CNT increased in the precursor solution. In the Si-CNT-C composites, CNT and C carbonized from glucose were attached to the surface of Si particles. Electrochemical measurement showed that the cycle performance of Si-CNT-C composites was better than that of silicon particles.

      • KCI등재후보

        전시 가이드 프로그램의 현황과 전시 연계 프로그램의 필요성 연구

        김찬미(Kim, Chanmi),김보연(Kim, Boyeun)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4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4 No.4

        과거 미술관은 특권층을 대상으로 수집의 목적을 가졌지만 현대의 미술관은 문화적인 공간, 교육적인 공간의 의미를 가지고 대중에게 열려있다. 미술관은 대중에게 다가가기 위해 여러 가지 노력을 하고 있다. 일례로 다양한 행사, 교육 프로그램, 지역 연계 프로그램 등이 있다. 그러나 아직도 일반인들에게 미술관은 진지하고 어렵게 느껴진다. 따라서 관람자의 관람을 돕는 다양한 전시해석매체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시해석매체 중 가이드 프로그램인 도슨트 가이드와 오디오 가이드에 초점을 맞추었다.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전시해석매체와 그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았고 둘째, 연 6회 이상 전시를 관람하는 20~30세 집단을 선정하여 심층인터뷰를 통해 가이드 프로그램의 현황 및 관람 행태를 조사하였다. 셋째, 퍼소나(persona)와 고객 여정 맵(customer journey map)을 통해 심층인터뷰 자료를 분석하여, 전시 연계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조건들을 제안하였다. In the past, museum targeted the privileged class and had the purpose of the collection, but in modern times, museum are open to the public as the cultural and educational space. Museums have tried to be familiar to the people in many ways. For example, There are diverse events, education programs, and regional cooperation program. However people still have felt serious and difficult in the museum. Therefore the necessity for exhibition interpretation tools that help visitors is growing. This paper focused on the docent guide and the audio guide as exhibition interpretation tools. This paper consists of following steps. Firstly, exhibition interpretation tools and its importance were researched through literature review. Secondly, For the research, 20~30’s who visit museum 6 times a year are chosen. And in-depth-interview were held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exhibition guide program and visitors’ behavior. And then, the study was completed by analyzing the harvested data using the persona and customer journey map. The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and conditions of exhibition cooperation program.

      • KCI등재

        텍스트 제시 유형에 따른 초등학교 2학년 발달성 난독 학생과 일반 학생의 읽기유창성 특성

        김찬미(Chanmi Kim), 유해림(Haerim Yu), 엄지목(Jimok Eom), 강정수(Jungsoo Kang), 배소영(Soyeong Pa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9

        목적 초등 저학년군(1-2학년)의 국어 교과 목표로 유창한 읽기 능력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발달성 난독 학생의 해독 능력뿐만 아니라 유창한 읽기 능력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발달성 난독 학생이 시공간적 요인을 고려한 텍스트 제시유형에 따라 읽기유창성 능력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고, 지원 방법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방법 인지 및 언어 능력에 어려움이 없으나 읽기에 어려움을 보이는 발달성 난독 학생 13명과 일반 학생 13명을 대상으로 읽기유창성 능력을 정확도, 속도, 운율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해독 난이도와 언어적 난이도를 조절한 텍스트를 문장의 구두점을 경계로 문단을 구성한 문장 줄 바꿈형 텍스트와 줄글 형식의 일반교과형 유형으로 구성하였고, 각 유형별로 두 가지 텍스트를 순서효과와 반복효과를 배제하여 제시하였다. 결과 정확도면에서는 발달성 난독 집단이 일반집단보다 낮은 정확도를 보였으나 각 집단 내에서 텍스트 제시 유형에 따른 정확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읽기 속도에서는 발달성 난독 집단이 일반 집단보다 텍스트를 느리게 읽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장 줄 바꿈형 텍스트보다 일반교과형 텍스트에서 속도가 더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운율면에서는 발달성 난독 집단이 일반 집단보다 운율 총점이 낮았지만, 텍스트 제시 유형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발달성 난독 학생에게 어느 정도 해독 가능한 텍스트를 제시해주었을 때 정확도 면에서 발달성 난독 학생이 일반아동처럼 텍스트 제시 유형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텍스트의 조절이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반면 속도 면에서는 문장 줄 바꿈형보다 일반교과형 글에서 더욱 느린 속도로 읽어내어 일반아동과 격차가 벌어지고 있는데, 발달성 난독 아동에게 처리속도에 대한 지원이 매우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Reading fluency is an important factor that connects decoding ability and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Given that fluent reading is essential for language classes in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in Korea, it is necessary to support not only the decoding ability but also student’s reading fluenc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reading fluency ability of two groups of children according to text presentation types. Methods Thirteen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yslexia(DYS) and 13 typically developing students(TD) read two types of decodable texts, sentence-broken type and general type. Reading accuracy, speed and prosody were measured. Results DYS revealed lower accuracy and prosody scores than TD, while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accuracy and prosody according to text presentation type. DYS took longer time to finish reading texts than TD, while only DYS took longer time to read general type text than sentence-broken type text. Conclusions When presenting a text that is decodable to a certain extent to DYS, the text presentation type didn’t seem to matter for reading accuracy, although reading speed was influenced by the presentation type. It seems very important to consider the visuo-spatial presentation format as well as the decodability of the texts to support DYS’s reading fluency meaningfully.

      • KCI등재

        현행 실시간 원격수업의 한계와 가상세계 기술을 적용한 사회과 원격수업의 가능성 탐색 : 듀이의 교육적 경험에 관한 논의를 바탕으로

        김찬미(Kim, Chan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8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줌(zoom) 등 화상회의 시스템을 활용한 현행 실시간 원격수업의 한계를 분석하고, 가상세계 기술을 적용한 사회과 원격수업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현행 실시간 원격수업의 경험을 다루고 있는 선행 연구를 분석하고, 듀이의 교육적 경험에 관한 논의를 검토하여 대안적인 원격수업 플랫폼의 조건을 추출하였으며, 가상세계 기술이 이 조건에 부합하는지를 이론적으로 검토하였다. 결과 현행 실시간 원격수업의 한계는 학생들의 저조한 수업 참여, 학생들의 수업 집중도 저하, 학생과 학생 간 사적 대화 부족, 신체적 움직임의 제한 등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듀이의 교육적 경험 원리 중 상호작용의 원리를 학생과 컴퓨터, 타인, 환경과의 상호작용이라는 측면에서 검토하여 자율성, 소통성, 임장성이라는 대안적인 원격수업 플랫폼의 조건을 추출하였으며, 메타버스 기술 중 가상세계, 그 중에서도 초실감형 가상세계가 이 조건에 부합함을 확인하였다. 결론 초실감형 가상세계를 사회과 원격수업에 적용할 경우 상당히 상호작용성이 높은 수업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생활형 가상세계의 적용을 통해서는 사회과 가상 교실을 구상할 수 있고, 게임형 가상세계의 적용을 통해서는 사회적 상황을 체험하게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imitations of current real-time remite classes using video conferencing systems such as Zoom,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social studies remite classes using virtual world technology. Methods To this end, I analyzed previous studies dealing with the current real-time remite class experience, reviewed the discussion on Dewey’s educative experience, and extracted the conditions for and alternative remite class platform, and theoretically reviewed whether the virtual world technology meets this conditions. Results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real-time remite class were found to be low student participation in class, a decrease in student’s concentration in class, lack of private conversation between students and constraint of physical movement, etc. And by examining the principle of interaction among Dewey’s educative experience principles in terms of interaction with computers, others and the environment, the conditions for alternative remite class platforms such as autonomy, intelligibility, presence were extracted. And it was confrimed that the virtual world, especially the hyper-realistic virtual world meets this conditions. Conclusions When the hyper-realistic virtual world is applied to social studies remite classes, highly interacive classes are expected to be possible. It is expected that the social studies virtual classroom can be conceiv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living-type virtual world, and the social situcation can be experienc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game-type virtual world.

      • KCI등재후보

        자원기반이론을 통한 요가센터의 고객만족과 고객충성도 결정요인

        김찬미(Kim Chan-Mi),이명자(Lee Myung-Ja) 한국체육과학회 2009 한국체육과학회지 Vol.18 No.4

        With the concern of well-being, people take a growing interest in yoga. This study discusses various factors regarding yoga a centre through resource based view. In specific, we investigated internal resources of yoga center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plain empirically what leads to higher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with 11 hypotheses. Relying on the resource-based view as our research foundation, we focused on instructor, facility, accessability, system, and price composition as possible determinants. Further, this study brought various arguments offered by resource based theorists to explain other determinant of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in yoga centers. We gathered data from customers of yoga centers located inltyungnam area, Korea. A total of 715 questionnaires completed surveys were returned and 683 were usable. In order to test 11hypothesized relationships,ti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as used. We found that instructor, facility, system, and price could lead higher customer satisfaction. However, accessibility could not play an important role for customer satisfaction. Also,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Manageri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then provided.

      • KCI등재

        듀이 이론에 기초한 사회과 탐구모형 연구

        김찬미 ( Kim¸ Chanmi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21 시민교육연구 Vol.53 No.4

        듀이(Dewey)는 학생의 삶과 학교 교육의 연결을 주장했던 학자로, 그의 사상은 사회과교육의 형성 과정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사회과의 교과 모형 중 듀이의 영향을 받아 구성된 듀이식 탐구모형(바, 바스, 셔미스의 구분에 따르면 반성적 탐구모형)을 실제로 현장에 적용했을 때, 여전히 수업이 학생의 삶과 분리된 채로 남아있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왜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지 확인하기 위해 듀이식 탐구모형을 듀이 이론에 비추어 검토하고 대안을 모색하였다. 검토의 대상이 된 듀이식 탐구모형은 헌트와 메트칼프의 모형(문제해결 수업 모형), 올리버와 쉐이버의 모형(논쟁문제 수업 모형), 엥글과 오초아의 모형(의사결정 수업 모형)이었다. 듀이식 탐구모형이 학생의 삶과 분리되기 쉬운 이론적 이유는 듀이의 ‘질성(quality)’ 개념을 배제한 채로 듀이 이론을 사회과교육에 적용한 것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일차적 경험 속에서 교육 내용이 지칭하는 상황의 질성을 충분히 느낄 때 교육 내용과 학생들의 생활관심이 연결될 수 있으나, 듀이식 탐구모형은 이 점을 고려하지 않고 생활관심을 자아와의 관련성 측면에서만 해석하여 사회문제를 학생들의 개인적인 의미와 연결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찾지 못하였다. 또한 듀이의 반성적 사고는 질성적 사고와 이론적 사고가 통합된 것이나, 듀이식 탐구모형은 이를 객관주의적으로 해석하여 경험의 질성과 멀어진 탐구를 시도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듀이식 탐구모형의 한계를 보완하는 방법으로 일차적 경험을 통해 학생의 생활관심을 고려하고, 사실탐구와 가치탐구가 통합된 형태의 반성적 사고를 수행할 것을 제안하였다. Dewey was a scholar who argued for the connection between students’ life and school education, and his ideas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formation process of social studies education. However, the class is still separated from the student's life when the social studies teachers apply the Deweyean inquiry model (the reflective inquiry model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Bar, Bath, and Shermis). To identify the reason for the discrepancy, the Deweyean inquiry model is reviewed in consideration of Dewey’s theory and its alternatives are scrutinized in this study. In particular, three main teaching models, constructed under the influence of Deweyean inquiry, are investigated: Hunt and Metcalf's model (problem solving teaching model), Oliver and Shaver's model (controversial issues teaching model), and Engle and Ochoa's model (decision making teaching model). The gap between Dewey’s theory and the Deweyean inquiry model explains why these three models run into limits. When Deweyean inquiry model applies Dewey’s theory to social studies education, they exclude Dewey’s concept of ‘quality’. Students’ interests can relate to the educational content when they feel the quality of the situation via the primary experience. However, the Deweyean inquiry model does not take this into account, instead interpreting interest only as concerning self. Therefore, it does not find a concrete way to connect social problems with individual student’s lives. In addition, Dewey’s reflective thinking is an integration of qualitative thinking and theoretical thinking, but Deweyean inquiry model interprets it objectively and tries to explore it apart from the quality of experience. Therefore, as a way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the Deweyean inquiry model, it is suggested to consider students' interests through primary experiences, and to conduct reflective thinking in an integrated form of fact inquiry and value inquiry.

      • KCI등재

        내면화된 수치심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악의적 선망과 분노반추의 매개효과

        김찬미(Chanmi Kim),이상일(Sangil Lee),임종민(Jongmin Lim),장문선(Munseon Chang) 한국재활심리학회 2024 재활심리연구 Vol.31 No.1

        본 연구는 내면화된 수치심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악의적 선망과 분노반추의 매개효과에 대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69세 성인 488명을 대상으로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 대인관계문제 척도, 악의적 선망 척도, 분노반추 척도 질문지를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악의적 선망, 분노반추, 대인관계문제는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악의적 선망 또한 분노반추, 대인관계문제와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분노 반추도 대인관계문제와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내면화된 수치심이 악의적 선망과 분노반추를 거쳐 대인관계문제에 이르는 경로에 대한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악의적 선망 자체로도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이 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내면화된 수치심이 높은 내담자들이 대인관계문제를 가지는데 있어 악의적 선망과 분노반추라는 개인 내적 변인의 영향을 받을 수 있으나, 특정한 인지적 과정을 거치지 않고 악의적 선망 자체로도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력이 높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simple and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malicious envy and anger rumin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and interpersonal problems. Results reveal that internalized shame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malicious envy, anger rumina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Malicious envy wa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related to to both anger rumina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In addition,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as founded between anger rumina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Furthermore, the analysis confirmed the simple mediating effect of malicious envy and anger rumination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interpersonal problems. Lastly, the analysis confirmed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on the path to interpersonal problems through malicious envy and anger rumin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dividuals with internalized shame may face interpersonal challenges through mechanisms involving malicious envy and anger rumination, with malicious envy playing a role in affect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even in the absence of anger rumination processes.

      • KCI등재

        보호관찰을 받고 있는 한 학업 중단자의 수학 학습 회복 과정에 대한 질적 탐구

        김찬미 ( Kim Chan Mi ),신향근 ( Shin Hyangkeun ),전영국 ( Jun Youngcook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7 교사교육연구 Vol.56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를 중퇴한 학업중단자이면서 일탈 행위로 인하여 보호관찰을 받고 있는 연구참여자가 고입 검정고시를 준비하면서 수학학습의 기초적 능력을 회복하는 과정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어려움과 긍정적인 측면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는 보호관찰을 받고 있는 한 명을 대상으로 검정고시 준비를 도와주고자 멘토링 기반의 보충학습을 설계하였다. 그리고 제1저자가 보호관찰소를 정기적으로 방문하면서 수학의 기초연산 능력과 4칙연산에 관련된 관계적인 이해를 제공하면서 별도의 활동지를 개발하여 맞춤식 학습을 제공하였다. 사례 연구의 일환으로 우리는 2014년 9월부터 2015년 8월까지 진행된 일련의 과정에서 만들어진 활동지 결과물, 관찰 자료 및 면담전사 자료 등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이 긍정적인 측면이 도출되었다. 첫째, 기본적인 사칙연산 능력의 향상은 학업중단자가 문제해결 능력을 키우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둘째, 성공적인 문제해결경험은 학업중단자가 결과에 대한 두려움을 해소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셋째, 자발적인 수학학습 유도는 학업중단자가 수학학습에 대한 적극성을 갖게 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전반적으로 이 사례는 수학 교사가 학업중단자에게 사칙 연산을 토대로 관계적 이해를 중시하는 접근과 수학 문제 풀이에 따른 어려움을 따뜻하게 대해주면서 개별 맞춤형 활동지를 개발하여 적용하는 학습 방법이 긍정적인 변화를 줄 수 있다는 교훈을 제시하였다. The aim of this paper was to explore and understand a drop-out student’s motivation and experiences developing basic math skills needed to obtain a general equivalency diploma (GED). In order to help the participant improve his math competency, the first author designed supplementary activity materials which focused on the relational understandings of elementary arithmetic and regularly visited the probation office to teach these worksheets. Data for this inquiry consisted of the completed worksheets, observations, and interviews conducted between October 2014 and August 2015. The overall data analysis was done as part of case study to identify the significant passages of the transcripts and worksheet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mentoring-based interaction with the participant and the first author focusing on the basic arithmetic skills contributed to participant developing his competencies of solving math problems. Second, a series of successful experiences of solving problems reduced his fear of failing to find a solution during math problem solving process. Third, as the participant was indirectly guided to engage himself in self-initiated math learning activities, he could gradually change himself toward actively learning math. Overall, the teaching methods employed in this case study positively affected the participant’s learn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inquiry, it is important for math teachers to emphasize the basic arithmetic operations in conjunction with understanding relational mathematical concepts. Additionally, it is important for teachers to provide students with mentoring-based supplementary learning activities and to develop warm-hearted interactions to motivate students to overcome difficulties when learning ma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