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뷰티 서비스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상사지원인식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김차연,김문중 이화여자대학교 경영연구소 2022 신산업경영저널 Vol.4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job stress on job burnout, mediating role of self-efficacy, and moderated mediating role of perceived supervisor support.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workers in beauty service industrie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February 1 to March 31, 2022. Among 450 copies, 418 copies were collected, excluding 21 copies which were lacked sincerity, 397 copies were used for analysis. Reliabilit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mediation analysis, moderation analysis, moderated mediating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Ver.24.0, Amos Ver.24.0, and Process Macro Ver.3.5.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job stress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burnout. Second, job stress had a negative(-) effect on self-efficacy. Third, self-efficacy had a negative(-) effect on job burnout. Fourth, self-efficacy played a mediating role between job stress and job burnout. Fifth, perceived supervisor support played a moderating role between self-efficacy and job burnout. Sixth, perceived supervisor support moderated the relationship among job stress, self-efficacy, job burnout. In other words, perceived supervisor played a moderated mediating role. 본 연구는 뷰티 서비스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상사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상사지원인식 조절변인에 의해 달라지는 조건부 간접효과를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국내 뷰티 서비스 산업에 근무하는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지을사용하였으며, 유효표본 397부를 SPSS 24.0, AMOS 24.0, SPSS PROCESS Macro 3.5를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스트레스를 직무소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는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자기효능감은 직무소진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 사이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소진에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직무소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상사지원인식은 자기효능감과 직무소진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기효능감과 직무소진 사이의 관계는상사지원인식이 낮을 때보다 높을 때 더 부(-)의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상사지원인식의 조절변인에 의해 달라지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즉, 직무스트레스는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직무소진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상사지원인식이 높을수록 더욱 높게 나타난다는것이다. 결론을 통해 본 연구의 시사점, 한계점 및 연구방향 등을 제시하였다.

      • KCI우수등재

        CsX+(X=Al, Ga, As) 분자이온을 이용한 SIMS의 정량분석

        김차연(C. Y. Kim),김선미(S. M. Kim),김성태(S. T. Kim),지종열(J. Y. Ji) 한국진공학회(ASCT) 1992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1 No.1

        표면분석 장비로서 SIMS (Secondary Ion Mass Spectrometry)는 ppb(Part per billion) 단위의 높은 감도를 가지고 있어 시료 표면에 존재하는 극미량 불순물의 정성분석과 심도분석 기능으로 널리 쓰이고 있다. 한편, 심각한 매질효과로 인하여 정량분석에는 취약하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많은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이 노력의 일환으로 본 실험은 Cs^+, O^+ 두 초기 이온을 이용하여 Al_xGa_(1-x) As 시료내에 matrix-level의 고농도로 존재하는 Al, Ga 원자에 대한 정량분석을 시도하여 그 조성비를 결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각 이온의 peak 세기를 조사한 후, 매질 효과에 기인한 보정인자를 고려하여 조성에 따른 이차이온 peak 세기의 변화가 선형적인 검량선을 구하였다. 이에 기준하여 평균 상대오차 10%, 표준편차 2%범위내에서 SIMS 정량값의 정확도를 확보할 수 있었다. Secondary Ion Mass Spectrometry (SIMS) is widely known as highly sensitive a surface analysis technique. Efforts for quantification have been hindered, however, by the presence of matrix effects. Here we describe a new technique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Al_xGa_(1-x)As. Instead of Al^+, Ga^+, As^+ ions, CsX^+ ions (X=Al, Ga, As) have been detected. Intensity of these molecular ions appears to be much less affected by matrix effects. We have successfully accomplished the compositional analysis with standard deviation better than 2 percent.

      • 성폭력 판례에 대한 성인지적 분석과 개선과제

        윤덕경,김차연 이화여자대학교 젠더법학연구소 2015 이화젠더법학 Vol.7 No.1

        본 연구에서는 여성폭력범죄 중 성폭력범죄에 그 대상을 한정하여 성폭력 판례의 쟁점 변화와 내용 분석을 하고자 한다. 성폭력에 관한 성 편견이나 남성 중심적인 사고를 하는 경향은 「형법」이 제정된 1953년 이래로 아니 그 이전부터 사회문화적 관념으로 존재해 왔으며, 법을 집행하거나 해석하는 사법기관 담당자들의 인식에도 영향을 주었고, 판례도 그 영향을 받게 된다. 판례는 추상적인 법률을 구체적인 사례에 적용하는 과정으로 법 해석을 통해 법률을 적용해가게 된다. 법률에 성 편견적인 규정이 있으면 판례도 그에 따르게 되지만, 법률은 여러 번의 개정을 통해서 이러한 규정들을 개선해 나가고 있다. 또한 판례는 법 해석을 통해 법률을 적용해 나가는데 이 과정에서 성폭력의 피해자 관점, 다시 말해 여성의 관점을 반영하지 못한 사례가 발견된다. 이에 여성폭력 관련 판례분석을 통해 1953년 「형법」 시행 이후 60년이 지나는 과정에서 성인지적 관점에서 긍정적으로 변화된 것으로 볼 수 있는 판결과 아직도 성편향이나 남성 중심적인 인식에 근거한 판결은 어떤 것이 있고, 남성 중심적인 것을 성 중립적인 것으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어떤 것이 개선되어야 하는지 제시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성폭력관련 판례 중 성폭력을 중심으로 한 성인지적 분석을 통해 향후 법해석상 변경되어야 할 과제를 제안하고자 한다. A gender-sensitive analysis of precedents related to violence against women is expected to resolve the male-centered social norms while addressing the power imbalance between men and women, thus setting a direction for a balanced life for men and women. It will also contribute to ensuring the human rights of women who make up the majority of violence victims as well as realize what is envisioned by Article 10 of Koreas Constitution “All citizens shall be assured of human worth and dignity.” With the progress in laws relating to women and family, a number of precedents dealing with violence against women have been accumulated. However, there has been no study analyzing those precedents in earnest in quantitative terms, let alone suggestions for improvement. In this study, a gender-sensitive approach will be used to analyze precedents concerning violence against women, particularly sexual violence. This study is about the history of laws related to violence against women, changes in the way these laws have been utilized, a gender-sensitive analysis of precedents concerning sexual violence. Several methods were employed in the study, which include literature research, collection and analysis of precedents relating to sexual violence, workshops for each topic of precedents relating to violence against women, and expert meetings for advice. From the gender-sensitive perspective, legislative tasks proposed from sexual violence precedents include the establishment of disagreed adultery and improvement of sexual violence laws. Other suggestions include raising the awareness of gender sensitivity and human rights sensitivity among law enforc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