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옆’과 ‘옆구리’의 語彙史에 대한 硏究

        김진우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2 어문연구(語文硏究) Vol.50 No.3

        This study examines the semantic change of the body term based on {yeop}. The term { yeop} was originally a body term, meaning ‘the side part of the body’ in Middle Korean. Until the 16th century, no case was found to mean ’(by the) side’. However, from the 17th century, {yeop} began to indicate the side of objects, and its meaning gradually changed. After the 18th century, it even referred to adjacent areas. Thus, a diachronic semantic change is observed in the word {yeop}, as well as a categorical metaphor. Body terms extending their meaning to spatial terms is a common phenomenon in other languages. In this study, for example, a similar case was found in English. Of further interest is the word {yeopguri}. First appearing in the 16th century as ‘nyeopgure,’, it is a compound of ‘nyeop’ and ‘gure,’, referring to the torso part in ‘nyeop’. Accordingly, the ‘yeopgure’ which appeared in the Middle Korean language is understood as ‘the torso and the empty part on the side of the body.’ 김진우, 2022, ‘옆’과 ‘옆구리’의 어휘사에 대한 연구, 어문연구, 195 : 77~103 본고는 {옆}을 중심으로 신체어의 의미 변화 과정을 살펴보았다. {옆}은 본래 중세 국어에서 “몸의 옆 부분”을 의미하는 신체어였다. 15~16세기에 현대 국어와 같이 “옆”을 의미하는 경우는 전혀 찾아 볼 수 없다. 그러나 17세기부터 {옆}은 사물의 옆 부분을 가리키기 시작하면서 점차 의미를 변화시켰다. 18세기 이후에는 사물의 옆 부분에서 나아가 인접 영역을 가리킬 수도 있었다. 이처럼 국어에서 {옆}은 통시적인 의미 변화가 관찰되며, 범주적 은유의 위계가 발견된다. 이와 같이 신체어가 공간어로 의미를 확장해 나가는 것은 다른 언어에서도 보편적인 현상이다. 이 연구에서는 영어의 경우에서도 비슷한 사례가 발견되었다. ‘녑구레’로 16세기에 처음 등장한 {옆구리}는 시기를 고려하면 ‘녑’과 ‘구레’의 합성어로, 본래 “몸의 옆 부분”을 의미했던 ‘녑’에 있는 몸통 부분을 가리키는 어휘이다. 이에 따라 중세 국어에 등장한 ‘녑구레’는 “몸의 옆 부분에 있는 몸통 및 비어 있는 부분”으로 파악된다.

      • KCI등재

        애널리스트 추천의견의 정보가치 재검증

        김진우,윤선흠 한국기업경영학회 2017 기업경영연구 Vol.24 No.1

        This study reexamines the information value of analysts’ recommendation by analyzing the stock price responses when there are big changes of the average recommendation level which is averaged over all recommendation for an individual stock made in the last three months for each month from 2000 to 2015 in Korean stock market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information value of the average recommendation changes is the highest at the time of change. At that time, the sample with increased average recommendation level has significantly positive abnormal returns, 9.57% per month and the sample with decreased average recommendation level has significantly negative abnormal returns, -4.04%. Second, when the average recommendation level is increased, there are significantly positive cumulative abnormal returns not only for six months before but also for six months after the event month.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increase of the average recommendation level has a significant information value during the whole event windows and they are contrary to the existing research results suggested by Byun and Kim(2005), Kho and Kim(2007), etc. Third, when the average recommendation level is decreased, there is the significant information value only at the event month but after the event period, unlike the average recommendation change, the negative abnormal return at the event month is reversed to the significantly positive value. These results are also in contradiction with the results of Womack(1996) and Kho and Kim(2007) that significantly negative abnormal returns consistently occur for up to 6 months after the event month. In order to analyze whether the above results depend on the sample composition, we reconstruct new sample by selecting the independent three months having the largest changes of the average recommendation level for each stock during the sample period. The empirical results using the new sample are exactly consistent with the above results. This means that the average recommendation changes have different information value with that of individual analyst’s recommendation change regardless of how the sample is constructed. 본 연구에서는 2000년부터 2015년까지 국내 주식시장에 상장된 주식들을 대상으로 최근 3개월 이내에 제시된 모든 애널리스트의 추천의견 점수를 평균하여 측정한 평균 추천의견의 월별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런 다음, 이 변화량의 상·하위 1%에 해당하는 관측치들을 사건일로 하여 평균 추천의견이 크게 변경된 시점 전후의 주가반응을 분석하여 애널리스트 추천의견의 정보가치를 재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균 추천의견이 상승한 표본과 하락한 표본 모두에서 평균 추천의견 변경시점의 정보가치, 즉 초과수익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평균 추천의견이 상승 변경된 경우에는 사건월 전후 6개월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누적초과수익률이 발생하여 사건기간 동안 평균 추천의견 변경이 지속적으로 유의한 정보가치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평균 추천의견이 하락 변경된 경우에는 오직 사건월에서만 유의한 정보가치가 존재하고, 사건기간 이후에는 추천의견의 변경 내용과 달리 초과수익률이 양의 값으로 상승 반전하여 정보가치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개별 애널리스트 추천의견 자료를 이용하여 추천의견 상승 변경 시 사건일 전후 단기간에서만 양의 초과수익률이 존재하고, 추천의견 하락 변경 시 사건일 이후 기간에서 지속적으로 유의한 음의 초과수익률이 존재한다는 기존 연구결과들과 상이한데, 이는 본 연구에서 사용한 평균 추천의견의 변경이 개별 애널리스트의 추천의견 변경과는 상이한 정보가치를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 KCI등재

        주식유동성이 배당정책에 미치는 효과

        김진우 한국기업경영학회 2016 기업경영연구 Vol.23 No.5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stock liquidity on the firm’s dividend policy in Korean stock market. Especially, I examine whether the dividend liquidity hypothesis that a firm with lower stock liquidity tend to have higher possibility for cash dividend payments is also significantly supported in Korean stock market using financial statements data and stock market data of 885 non-financial firms listed in KOSPI during 1982 ~ 2010. Firstly, I do the cross-sectio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dummy variable as a dependent variable, which have a value of one when the firm pays cash dividends to investigate that stock liquidity actually has a explanatory power to dividend decision. As a result, I find that stock liquidity variable measured by turnover ratio have significantly negative coefficients in all regression models. This result means the dividend liquidity hypothesis is also significantly supported in Korean stock market. The probability of dividend payments changes about 45% when stock liquidity variable changes as much as one standard deviation. These results are more significant after 2000 and are supported consistently when the firm-specific characteristic variables such like firm size, profitability, investment opportunity, book-to-market ratio are controlled. Secondly, I estimate the probability of future dividend payments and compare it with actual dividend payment ratio(= # of dividend-paying firms / # of total firm in a year). The probabilities of future dividend payment estimated by cross-sectional logistic regression model using only firm specific characteristics as a explanatory variable show about 23.62% of prediction errors, on average, with actual dividend payment ratio, whereas, the prediction errors of cross-sectional logistic regression model including stock liquidity variable additionally are significantly lower than former’s error about 5.48% ~ 9.38%. So, I reconfirm that the stock liquidity is important determinant for Korean firms’ dividend policy. In subsample analysis, I find that the stock liquidity can increase the power to predict future dividend payments of firms with high stock liquidity and lower probability of dividend payments. I also find that the stock liquidity has the highest explanatory power for dividend policy of firms which have continuously paid cash dividends during past 5 years. 본 연구에서는 1982년부터 2010년까지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885개 비금융기업을 대상으로 주식유동성이배당정책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현금배당을 지급하였으면 1의 값을 가지는 더미변수를 종속변수로 한횡단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거래회전율로 측정한 유동성변수가 모든 기간에 걸쳐 유의한 음의계수값을 가지고, 거래회전율이 ±1 표준편차가 변할 때 배당지급확률은 45% 정도의 변동을 보여서 주식유동성이 낮은 기업일수록 배당지급 가능성이 증가한다는 배당의 유동성가설을 지지하는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으로 올수록 그 유의성이 더 증대되고 있으며, 기업규모, 수익성, 투자기회, 부채비율과 같은 기업특성변수들을 통제한 상황에서도 일관되게 지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식유동성의 미래 배당지급확률에 대한예측력을 실제 배당지급기업 비율과 비교한 결과에서는 기업특성변수만을 이용하여 예측한 배당지급확률에 비해 유동성변수를 추가하여 예측한 배당지급확률이 5.48% ~ 9.38% 정도 유의하게 낮은 예측오차를 가져서 주식유동성이 중요한 배당결정요인임을 재확인하였다. 이상과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특성변수들 이외에 유동성과 같은 주식시장 관련 변수도 기업의 배당정책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 국내 주식형 펀드의 유동성 타이밍 능력 검증

        김진우,서진석 한국재무학회 2011 한국재무학회 학술대회 Vol.2011 No.05

        본 연구에서는 평균 순자산가액이 50억 원 이상이고, 주식편입비중이 30% 이상이며 12개월 이상 펀드수익률 자료가 존재하는 국내 827개 주식형 펀드의 2001년 1월부터 2010년 7월까지 자료를 이용 하여 국내 펀드매니저들이 시장 전체의 유동성 변화에 따라 자산 배분을 적절히 조정하는 유동성 타 이밍능력을 가지고 있는가를 검증하였다. 실증분석한 결과, Amihud(2002)가 제시한 비유동성측정치(AM 측정치)와 Pastor and Stambaugh(2003)가 제시한 유동성측정치(PS 측정치)를 이용하여 측정한 시장유동성 측정치는 모두 절 대값을 기준으로 시장수익률과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가져서 유동성이 주식수익률과 펀드수익률에 유의한 효과를 미칠 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Carhart(1997)의 4요인 모형을 기반으로 Busse(1999) 가 제시한 방법론을 응용하여 유동성 타이밍능력을 검증한 결과에서는 전체 기간에 대해서는 국내 주식형 펀드매니저가 유동성 타이밍능력을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식편입비중이 높은 펀드 그룹에서는 오히려 시장유동성 변화에 대해 자산배분을 부적절하게 조정하여 시장유동성이 증 가할수록 오히려 펀드 성과가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2006년 이후의 기간에서는 정반대 로 주식편입비중이 가장 낮은 성장추구형 펀드그룹을 제외한 모든 펀드그룹에서 펀드매니저들이 유 의한 유동성 타이밍능력을 가지고, 주식편입비중이 높을수록 유동성 타이밍능력에 의해 펀드 성과가 증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시장유동성 측정치와 상관없이 일관되게 나타나며, 시장타 이밍능력과 변동성 타이밍능력을 통제한 결과뿐만 아니라 유동성을 또 다른 위험요인으로 추가한 5 요인 모형에서도 일관되게 나타났다. 또한, 기존의 국내 연구들에서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보고하였 던 변동성 타이밍능력도 2006년 이후 기간에서는 유의하게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중요성 은 유동성 타이밍능력보다 낮다는 결과도 함께 얻었다. 마지막으로 유동성 타이밍능력의 미래 펀드 성과 예측력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PS 측정치를 기반으로 추정한 과거 유동성 타이밍능력 추정치가 향후 1개월간 펀드 성과 예측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DCFR에서의 이중양도와 간접대리에 의한 동산소유권의 이전- 동아시아 물권법의 통일화 및 한국민법개정에 관한 입법론적 시사점을 덧붙여 -

        김진우 법조협회 2014 法曹 Vol.63 No.3

        This study looks at the law of attaining ownership in special constellations, and in particular, the transfer of ownership under multiple transfers and indirect representation, which is subject to the Book VIII, Chapter 2, Section 3 of the Draft Common Frame of References ("DCFR") full edition for European Private Law. Given Korean Civil Code does not have the DCFR provisions that are dealt in this study, and given there are not much discussions surrounding these provisions, DCFR was understood and interpreted mainly according to its own explanatory system, which in turn led to the following implications:(1) DCFR provisions for multiple transfers have suggested potential for harmony between delivery-based approach and consensual approach in the process of unification of East Asia moveable property law that may come about in future. (2) As to multiple transfers of moveables, DCFR rules for good/bad faith of second transferee is simpler and easier legal course to take in enhancing legal security and preventing legal paradox than Korea's precedents and majority opinion, which is represented by the theory of juristic acts contrary to social order (asserting, a contract between transferor and second transfer is void as it is against social order) associated with the theory of inducing breach of contract (asserting, for a contract between transferor and second transferee to be void, transferor must actively participate in violating the first transferee's duty towards the second transferee). (3) On the other hand, although substantive portions of DCFR provisions for indirect representation may be able to contribute in refining the theory of this field of study, modelling DCFR for Civil Law revision seems premature given the purpose of assimilating indirect representation into direct representation seems yet unclear. 유럽사법을 위한 공통참조기준초안(DCFR) 완성판의 제8편(동산소유권의 취득과 상실)은 동산물권법의 통일화를 위한 최초의 그리고 아직까지 유일한 모델규범으로서 입법론상 가능한 선택지까지 아울러 시야에 넣고 상세히 검토함으로써 비교법적으로 극히 유의미한 자료이다. 그러한 DCFR이 법질서별로 상충하거나 적어도 이질적인 접근방식들을 어떻게 용해하고 또 종국적으로 어떤 해결책을 제시하였는지를 고찰하는 것은, 유럽물권법의 통일화의 방향을 가늠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장차 전개될 수도 있는 동아시아의 물권법의 통일화를 대비하고, 아울러 한국민법의 개정작업에도 유용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기초적 인식 아래 본 연구는 DCFR의 제8편 제2장 제3절이 규율하는 “특수한 상황”(Special constellations)에서의 소유권취득, 그 중에서도 이중양도와 간접대리에서의 소유권이전에 관한 법리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한국민법에는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DCFR의 규정들에 해당하는 명문규정이 없고 또 논의도 많지 않은 실정이므로 대체로 DCFR의 설명체계에 따라 그 내용을 파악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구할 수 있었다. (1) 이중양도에 관한 DCFR의 규율은 (잠재적인) 동아시아 물권법의 통일화에 있어서 이 문제에 관한 인도모델과 합의모델의 절충가능성을 보여주었다. (2) 동산의 이중양도와 관련하여서는 제2양수인의 선․악의가 결정적 역할을 하는 DCFR의 규율방식이 반사회적 무효론과 결부된 배임적 적극가담론으로 상징되는 한국의 판례와 다수설보다 법적 안정성을 제고하고 법리상의 모순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간명하고 무난한 입법론적 선택지이다. 다만 이를 위해서는 법률개정을 통해 제2양수인에게 환취권을 인정할 필요가 있다. (3) 간접대리에 의한 소유권취득에 관한 DCFR의 서술은 그 상당부분이 이 분야에 관한 이론의 精巧化에는 기여할 수 있다고 보이지만, 무엇 때문에 간접대리를 직접대리에 同化시키려고 하는 것인지가 불분명한 점에서 DCFR의 관련규정을 모델로 한 민법개정은 시기상조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