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홍수에 의한 대청댐 유입유사량 산정

        김진민,맹승진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0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학술대회 Vol.2010 No.1

        유사량 측정은 이론적으로 소류사와 부유사를 합산한 값으로 정의된다. 그러나, 측정장비의 특성으로 측정된 소류사와 부유사를 단순히 합산하지 않고 별도의 식을 이용하여 보정한다. 소류사의 측정이 부유사 측정보다 어렵고 정확도도 낮기 때문에 에너지 경사 등을 이용하여 총 유사량을 구한다. 본 연구에서는 금강수계의 대청댐 상류에 위치한 옥천 수위관측소 지점을 대상으로 실제 측정된 유량과 유사량을 통해 유량-유사량 관계식을 산정하고, 기 개발된 수위-유량곡선식에 적용하여 대청댐으로 유입되는 총 유사량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Larger Curvature Model on a Sierpinski Gasket Substrate

        김진민,김대호,한원근,강대승 한국물리학회 2012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61 No.1

        We consider a larger curvature model on a Sierpinski gasket substrate, where a dropped particle is deposited on a larger curvature site. The interface width W of the model grows as t at early time t and becomes saturated at L for t Lz in a finite system of lateral size L. We obtain 0.331, 1.59, and the dynamic exponent z 4.80 for the fractal substrate. These values are consistent with the estimates = zrw − df 2 , and z = 2zrw, where zrw and df are the random walk exponent and the fractal dimension of the fractal substrate, respectively. A related fractional Langevin equation is also discussed.

      • KCI등재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협력을 위한 성공요인

        김진민,박광태 한국기업경영학회 2014 기업경영연구 Vol.21 No.6

        Companies need to play various roles as the network of supply chain gradually expands. Companies are required to form a supply chain with outsourcing or partnerships since a company can not perform all functions by itself. There are three types of partnership which are partnership between large firm and large firm, partnership between SME and SME, and partnership between large firm and SMEs. Partnership between large firm and SMEs is getting more important since the power between large firm and SMEs is not well balanced and thus large firm usually has more power than SMEs. This being the case, SMEs become subordinate to large firm and thus this supply chain becomes inefficient and decreases total profit of this supply chain. Each player of the supply chain should cooperatively pursue total profits of supply chain. If a player only pursues its own profit, total profits of the supply chain are actually shrinking. Playing as a team in a supply chain is the most important success factor for the profitable supply chain and thus each player should sacrifice itself for the sake of increasing overall profits of the supply chai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success factors for partnership between large firm and SMEs. We suggest that large firm and SMEs should closely cooperate in terms of five success factors derived in a supply chain consisting of large firm and SMEs. We examined four different cases which are Samsung Electronics Company and Huyndai Motor Company in manufacturing sector, and Hanaro Mart and SK Planet in service sector. We showed five success factors for successful partnership which are information sharing, technology sharing, performance sharing, investment sharing and strategy sharing. The first success factor, information sharing, is implemented in all companies. Information sharing is the fundamental factor for the successful cooperation between large firm and SMEs. As large firm tries to share its R&D and technology information with SMEs, the technical level of the entire supply chain is significantly improved. The efficiency of a supply chain is also improved as large firm shares real-time inventory information with SMEs. The second success factor is technology sharing. Large firm and SMEs in manufacturing industry can jointly develop the new technology and large firm can support SMEs in terms of finance or technology. The productivity of a supply chain is dramatically improved and a new product is successfully launched into the market by the second success factor. The third success factor, performance sharing, is sensitive issue to large firm and SMEs since it is really important issue to share revenue fairly between large firm and SMEs. SMEs usually have difficulties in preparing enough fund to operate and thus it is important for large firm to make payment to SMEs in advance since advance payment really helps SMEs to operate well. The fourth success factor is investment sharing. SMEs usually have difficulty in obtaining enough capital in spite of their excellent technologies. Large firm can help SMEs by offering loans with low interest rate or investing together with SMEs to enter into a new business. The last success factor is strategy sharing. Strategy sharing is an essential part for advancing toward the common target of a supply chain. Large firm and SMEs should understand the strategy of supply chain and establish an efficient network to realize this strategy by mutual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공급사슬의 네트워크가 점차 확대됨에 따라 기업이 관리해야할 차원이 늘어나면서 하나의 기업이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는 없게 되었다. 이에 현실적으로 기업들은 아웃소싱, 또는 더 나아가 파트너십을 구축한 협력업체와 함께 공급사슬을 구성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협력관계에 대한 기존사례를 제조업과 서비스업으로 나누어 살펴본 후,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협력을 증진할 수 있는 핵심성공요인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제조업의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 서비스업의 하나로마트와 SK플래닛의 사례를 분석하여 다섯 가지 공통적인 협력의 성공요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다섯 가지 성공요인은 정보의 공유, 기술의 공유, 성과의 공유, 투자의 공유, 그리고 전략의 공유이다. 첫째, 정보의 공유는 모든 기업사례에서 실제로 수행하고 있는 가장 기본적인 내용이다. 사례기업들은 정보의 공유를 통해 관리의 효율성을 증진시키고 중소기업에게 새로운 시장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둘째, 기술의 공유에서는 협력기업과 신기술을 함께 개발하고, 신기술개발을 지원함으로써 생산성 향상과 함께 창의적인 신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셋째, 성과의 공유는 사례의 기업들이 모두 대금결제를 앞당겨 중소기업의 자금난을 해소하도록 노력하며, 1차 협력사뿐만 아니라 2,3차 협력사까지 확대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넷째, 투자의 공유의 경우, 뛰어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지만, 초기 투자비용이 부족한 중소기업을 위해 운영자금의 저금리 대출이나 공동투자를 통한 시장 진출 등을 통해 상생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전략의 공유는 쌍방향의 원활한 의사소통과 대기업의 전략에 대한 이해 등을 통하여 중소기업들이 대기업과 함께 발전할 수 있는 효율적인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협력의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협력을 위한 성공요인들을 공유하고, 공동의 목표를 함께 지향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