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의 타자화와 김효경의 도교 연구

        김지현 ( Kim Ji Hyun ) 종교문화비평학회 2024 종교문화비평 Vol.45 No.45

        김효경(金孝敬, 1904~?)은 1926년 일본 불교단체를 통해 도쿄로 유학하여 다이쇼대학(大正大學)에서 불교학과 종교학을 전공했고, 조선의 무속 연구를 대표적 업적으로 하는 식민지 시기의 종교·민속 연구자이다. 최근 그는 ‘조선에서 배출한 최초의 종교인류학자’로 평가받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평가를 비판적으로 재검토하는 작업으로서, 1940년 도쿄에서 출판된 《지나정신과 그 민족성(支那精神とその民族性)》의 신선사상과 도교 연구에 주목한다. 이 글은 다음의 두가지 과제를 가진다. 첫째, 김효경의 도교 관련 저술이 기대고 있는 1920년대 일본의 도교 연구 성과들을 비교 검토하여 김효경 연구의 성격과 한계를 평가하는것, 둘째, 김효경의 지나 민족성 및 도교 연구를 통해 중국과 조선에 대한 이중의 타자화가 진행되었다는 점을 밝히는 것이다. 김효경은 1920년대 일본의 중국민속학 연구가들의 신선사상 및 도교 연구를 원용하여 자신의 주장을 도식화하는 데 주력한다. 그는 시공간을 초월하여 변함없는 ‘지나 민족’의 존재를 상정하고, 지나 민족의 공통된 정신성으로 신선에 대한 동경과 현실도피로부터 발달한 도교가 있다고 단언한다. 그의 논지에 따르면, 중국의 천명관은 끊임없는 혁명을 일으켜 지나민중을 전란에 시달리게 했고, 신선사상과 도교는 복·록·수를 누리고자 하는 욕망과 반비례하여 향락주의와 현실도피로 발달한 것이다. 중국에 만연한 비약, 아편, 방중, 식도락 추구의 문화는 모두 향락적 신선경을 지향하는 것으로서, 김효경의 지나 민족의 신선동경론은 결국 아편 중독의 필연성을 설명하는 논거가 된다. 그의 이러한 저술은 중일 전쟁 발발 이후 전시 상황에서 중국과 그 민족성의 핵을 도교로 정의하고, 도교와 지나라는 타자로부터 배타적 독립성을 유지한 일본 민족의 위대함을 확증하는 작업이었으며, 이러한 작업 속에서 김효경은 한결같이 ‘위대한 일본 민족’을 ‘우리(吾人)’로 동일시하는 제국일본의 신민(臣民)의 입장에 있었다. 사회 현상의 이면에 민족 고유의 종교적 심성이 자리한다는 김효경의 종교민족학적 관점은 종교 및 민속 연구에 있어 중요한 출발점이 될 수 있다. 그러나 김효경의 연구를 근대 한국 학문이나 한국의 근대국가-국민론과 결부시키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그의 글은 제국일본이 완성한 ‘동양학’의 입장에서 중국과 조선을 객체화하고 타자화하는 것이었고, 특히 일본의 대외 종교문화정책의 흐름에 영합한 것이었다. 김효경의 글들은 제국일본의 대내외 종교정책 및 활동을 주요 기사로 다룬 《중외일보》의 기고문과 해외신사사관양성소의 강연록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독자는 일본제국의 내지인으로 상정되었으며 동시에 일본의 종교정책과 관련하여 개교활동이 전개되던 지역의 외지인들을 포함했다. 결론적으로 김효경의 지나민족과 정신성에 대한 논구는 민족과 민족성을 단일하고 항상된 것으로 파악하는 본질론의 한계를 노정하며, 중국을 타자화하고 일본의 위대한 민족성을 부각시키는 전시 프로파간다적 성격을 가진 것으로 학술적 탐구의 문을 닫아버리는 한계를 가진 것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Kim Hyo-kyung 金孝敬(1904~?) was a scholar of religion and folklore in the Empire of Japan, whose most notable work was the study of Korean shamanism. He studied in Japan since 1926 when he came to Tokyo via the Japanese Buddhist organization and majored in Buddhist studies and religious studies at Taisho University. Recently, he has an assessment of ‘the first religious anthropologist from Joseon.’ This paper is a critical reexamination of such evaluation, focusing on his study of Daoism and the Chinese pursuit of immortality in the Chinese Spirit and Its Nationhood (shina-seishin to sono minzoku-sei 支那精神とその民族性), published in Tokyo in 1940. This article has two goals: first, to investigate early 1920s Japanese studies of Daoism and Chinese folklore, which his writings rely on, to assess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 of his work; second, to reveal that Kim's studies on Daoism and Chinese nationhood aimed at double-otherization of China and Joseon. Kim relies heavily on research and reports on Daoism of Japanese folklorists and journalists in the 1920s. Assuming the existence of a ‘Chinese nation’ remains unchanged across time and space, he postulated Daoism as a consistent spirit to Chinese nation-people, which developed as a hedonism and an escape from reality. According to his argument, Chinese thought of the Heavenly Mandate caused endless revolutions and subjected the Chinese people to warfare; Daoism developed as an escape from the painful reality and indulgence in pleasure, inversely proportion to the desire to enjoy happiness, high social status and longevity. The pursuit of elixir, opium, revelry, and gastronomy prevalent in China are all oriented toward hedonistic immortality, and Kim's theory on Chinese nationhood and Daoism provides a solid tie for the inevitability of opium addiction. Kim’s articles eventually affirmed the greatness of the Japanese nation, particularly in wartime during the Second Sino-Japanese War, by defining the core of the Chinese nation as Daoism and maintaining Japan’s exclusive independence from the otherness of Daoism and China. In so doing, Kim Hyo-kyung was in the position of a faithful servant to the Empire of Japan who consistently identified the “great Japanese people” as “us.” Kim’s perspective that behind phenomena lies the religious mind of nation-people might be a significant starting point for the study of religions and folklore. However, linking Kim’s work to the first step of modern ‘Korean’ study or modern Korean nation-building is inappropriate. He objectified and otherized China and Joseon from the perspective of ‘Oriental Studies’ invented by the Empire of Japan, and in particular, his articles were in line with Japan’s policies on religions and culture. His writings correspond to the articles in a religious newspaper, the Internal and External Daily News (Chugai nippo), which featured 中外日報 news on the domestic and overseas policies on religious activities of Japan, and lecture notes at the priest t raining centre for the overseas Shinto- shrines, where his reader was supposed to be insiders of the Empire of Japan, and at the same time included outsiders in the regions where the Japanese religious and cultural policies were implemented. In conclusion, Kim’s thesis on the Chinese nation and its spirituality exposes its limit of essentialism, which homogenized a constant and unitary nation and nationhood. It has the character of wartime propaganda, which otherized China and emphasized the greatness of the Japanese nation, shutting the door to further scholarly inquiry.

      • Molecular Breast Imaging 검사 시 체온 변화에 따른 유방 섭취율에 관한 고찰

        김지현,백송이,오신현,함준철,강천구,김재삼,Kim, Ji Hyun,Baek, Song Ee,Oh, Shin Hyun,Ham, Jun Cheol,Kang, Chun Goo,Kim, Jae Sam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19 핵의학 기술 Vol.23 No.2

        [목적] Molecular Breast Imaging (MBI) 검사는 핵의학에서 유방암의 진단을 위해 시행하는 검사이며, 이를 위해 $^{99m}Tc-sestaMIBI$를 정맥주사로 투여한다. 그러나 $^{99m}Tc-sestaMIBI$의 유방 섭취율은 총 투여 선량의 1% 미만으로, 간, 심장 등의 기관 및 근육 조직의 혈류 상태에 의존한다. 이에 본 연구는 체온에 따른 혈류 상태의 변화가 유방 섭취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17년 1월부터 2019년 4월까지 본원에 내원한 유방암 환자 중 추적 검사를 2회 이상 시행한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Discovery 750b (Genral Electric Healthcare, USA) 장비를 사용해 검사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99m}Tc-sestaMIBI$ 740 MBq (20 mCi)을 병변이 있는 반대 측 팔에 주사하였다. 첫 번째 검사는 주사 후 60분 뒤 양측 유방을 상하 방향, 내외 사방향으로 촬영하였다. 이후 추적 검사는 체온 조절군 15명과 체온 비조절군 15명으로 분류하였으며, 주사 후 60분 뒤 이전과 동일한 방식으로 유방 촬영하였다. 이때 체온 조절군에서는 주사 후 따뜻한 담요로 체온을 조절하게 하였다. 영상의 평가는 병변의 반대 측 내외 사방향 영상에서 유방 섭취율을 측정 후 비교 분석하였으며, 또한 유방 섭취율의 변화가 영상의 질적인 측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리커트 척도를 이용하여 블라인드 영상 평가하였다. [결과] 첫 번째 검사와 비교하였을 때의 유방 섭취율은 체온 조절군에서 평균 0.035cps 상승으로 30.31% 증가하였으며, 비조절군에서 평균 0.003cps 상승으로 0.96% 증가하였다. 체온 조절군의 섭취율 증가 결과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P<0.05), 체온 비조절군에게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955). 체온 조절군과 비조절군 사이의 섭취율의 P값은 0.01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리커트 척도를 이용한 블라인드 영상 평가에서 영상의 질적인 측면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다. [결론] 체온 조절군에서의 유방 섭취율이 체온 비조절군에서의 유방 섭취율보다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이는 주사 후 체온을 상승시켰을 때 말초 혈액 흐름의 증가로 인해 혈류 상태가 원활해져 유방 조직의 섭취율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유방 섭취율의 증가는 영상의 질을 향상시켜 판독에 보다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Molecular Breast Imaging (MBI) scan is used in nuclear medicine, for which $^{99m}Tc-sestaMIBI$ is administered by intravenous injection. However, the breast uptake rate of $^{99m}Tc-sestaMIBI$ is less than 1% of the total dose administered, relying on blood flow conditions of orga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impact of changes to body temperature on the uptake of $^{99m}Tc-sestaMIBI$ in breast tissue. Materials and Methods We investigated 30 breast cancer patients who performed more than one follow-up MBI scan. All scans were acquired by Discovery 750B (Genral Electric Healthcare, USA). $^{99m}Tc-sestaMIBI$ injected with 740 MBq (20 mCi), after 60 minutes, gained bilateral breast CC (CranioCaudal), MLO (Medio Lateral Oblique) View. The follow-up examination was then classified into 15 body temperature control group and 15 body temperature non-control group, and gained breast image in the same way as before. The breast uptake rate was analyzed in the MLO View of the opposite side of the lesion, and blind images were evaluated. Results The breast uptake rate increased by 30.31% in the body temperature control group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and 0.96% in the body temperature non-control group, and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0.95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ptake rate between the body temperature control and the non-control group of P value of 0.01. Evaluation of blind images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terms of the quality of the images. Conclusion Increased breast tissue uptake was observed when the subject was kept warm. When the body temperature was raised after injection, dilation of the peripheral blood vessels can be achieved. As a result, the blood flow became smooth and the breast uptake rate increased. In addition, an increase in breast tissue uptake will improve the quality of images.

      • KCI등재

        의료기기 안전성 정보 모니터링에 대한 한병병원 및 병원 종사자의 인지도 조사연구

        김지현,남기창,김호준,남연교,김유진,조은혜,권범선,Kim, Ji Hyun,Nam, Ki Chang,Kim, Hojun,Nam, Yeon Gyo,Kim, You Jin,jo, Eun hye,Kwon, Bum Sun 대한의용생체공학회 2021 의공학회지 Vol.42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ognizance of medical device safety information (MDSI) monitoring in the hospital and oriental hospital workers, and the different aspect of MDSI between oriental medical devices and medical devices. Methods: The survey was performed both in the oriental medicine hospital and general hospital. The survey had 16 items; 2 items basic questions, 5 items in the awareness of MDSI, 5 items in the education of MDSI, 4 items in the necessity of defining oriental medical devices and differences between general and oriental medical devices. A total of 120 hospital worker were participated; 60 oriental medicine hospital workers and 60 general hospital workers. They had worked in the oriental medicine or general hospital associated with 'Medical Device Safety Monitoring Center, Dongguk University Ilsan Hospital' in 2019 and 2020. Results: The cognizance of MDSI was high both in oriental medicine hospital and general hospital workers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oriental medicine and general hospital workers. When we divided the hospital workers into the senior workers who had worked for over 3 years and junior workers for less than 3 years, the senior workers had higher awareness of MDSI than junior workers. However, the cognizance of education of MDSI was high which was not different between senior and junior workers. Both hospital workers thought that it was necessary to define oriental medicine device legally and the oriental medical device might have low risk and less side effect than medical device. Conclusion: The cognizance of MDSI was high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oriental medicine and general hospital workers. Because the senior hospital workers had higher recognition of MDSI, we need to provide the continuous education program for junior hospital workers. Although oriental medical device are thought to be safer than medical device, we need to have a legal definition.

      • KCI등재후보

        유전자 검사를 통해 진단한 선천성 신성 요붕증 1례

        김지현,이선주,김애숙,조성민,이동석,김두권,최성민,기창석,김종원,Kim Ji Hyun,Lee Sun Ju,Kim Ae Suk,Cho Sung Min,Lee Dong Seok,Kim Doo Kwun,Choi Sung Min,Ki Chang Seok,Kim Jong Won 대한소아신장학회 2005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9 No.2

        저자들은 불규칙한 발열은 주소로 내원한 5개월 된 어린 영아에서 유전자 검사를 통하여 선천성 신성 요붕증을 조기 확진하였으며 thiazide 치료에 반응을 보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Nephrogenic diabetes insipidus(NBI) is characterized by an inability to concentrate urine despite normal or elevated plasma concentrations of the antidiuretic hormone; arginine vasopressin(AVP). Polyuria with hyposthenuria, and polydipsia are the cardinal clinical manifestations of the disease. Ninety percent of congenital nephrogenic diabetes insipidus patients are males with the X-linked recessive form of the disease; the mutation is in the AVP receptor 2 gene(AVPR2), which is located in chromosomal region Xq28. We report a case of NDI who suffered from unexplained fever and failure to thrive, which has been recognized since about ,3 months after birth. His genomic DNA analysis identified a novel AVPR2 gene mutation as W200C. (J Korean Soc Pediatr Nephrol 2005;9:269-274)

      • KCI등재SCOPUS
      • KCI등재

        LL/2 Cells접종에 의한 C57 BL/6 Mouse 폐에서의 전이과정

        김지현,이지영,김우갑,황우익,Kim, Ji-Hyun,Lee, Ji-Young,Kim, Woo-Kap,Hwang, Woo-Ik 한국현미경학회 1999 Applied microscopy Vol.29 No.2

        본 연구에서는 C57 BL/6 mouse의 폐가 기원인 LL/2 cell line을 이용하여 C57 BL/6 mouse의 폐에 인위적으로 전이를 유도하여 그 과정을 광학 및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고, 형성된 암세포가 기존 폐포세포에 apoptosis를 유도하는지 여부를 in situ Apoptosis kit를 이용하여 살펴 보았다. in vitro에서 배양된 LL/2 cell과 이 LL/2 cell을 C57 BL/6 mouse 꼬리 정맥에 주사한 후 약 21일된 mouse 폐에서 관찰되는 암세포의 미세구조를 비교하면 방추형의 세포모양에서 난형 또는 구형의 모양으로 변한 것 외에 커다란 변화가 없었다. mouse 폐에서 암세포는 림프소절과 폐상피의 모세혈관주위에서 처음 나타났으며 왕성하게 세포분열하여 커다란 암세포 덩어리를 형성하였다. 암세포 덩어리 주변의 정상 폐조직은 광학현미경 관찰에서 폐포구조가 다소 납작해졌다. 그러나 투과전자현미경 관찰에서 세포 자체의 손상을 볼 수 없었으며 오히려 암세포 덩어리 안에서 기존 정상 폐포세포들이 관찰 되었다. 또한 커다란 암세포 덩어리 안에서 일부의 암세포들이 apoptosis되고 있었다. 주사 후 22일에서 호중성 백혈구가 폐포와 암세포주변에서 31일은 암세포덩어리안에서 혈소판과 함께 다량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LL/w cell은 C57 BL/6 mouse의 폐에 효과적으로 전이를 일으키며 왕성한 세포분열에 의해 커다란 암세포 덩어리를 형성한다. 이 암세포 덩어리가 커지면서 기존 폐포에 물리적인 압박을 주었으나 폐상피세포에서 apoptosis를 유도하지 않았다. 그러나 아주 커다랗게 형성된 암세포 덩어리에서 일부 암세포들이 띠를 이루면서 apoptosis되고 있었는데, 이는 암세포 덩어리가 커지는 만큼 형성되어야 할 혈관형성에 장애가 생긴 결과로 생각된다.분되었다. 6. 미세동맥의 외막은 섬유모세포의 아주 가느다란 돌기들로 형성되어 있었으며 군데군데 교원섬유들이 관찰되었다.acil을 투여하였을 경우, 초기 (4일)에는 발세포와 혈관사이막의 경우 mitomycin C 투여군에서와 비슷한 미세구조적 변화를 보였으나, 7일군에서는 거의 정상군의 소견과 비슷한 모습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콩팥토리를 비롯한 콩팥조직에 미치는 세포독성은 mitomycin C가 5-fluorouracil에 비하여 훨씬 더 강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應)된 틸라피아의 제 2차(次) 아가미엽(葉)의 미세구조(微細構造)는 적응기간(適應期間) 동안 표면이 울퉁불퉁한 특징을 나타내었고, 투과전자현미경(透過電子顯微鏡)에 의해서는 해수(海水)에 노출된 염분세포내(鹽分細胞內)에 길게 변형된 미토콘드리아가 관찰되었으며, 잘 발달된 cristae가 확인되었고, 담수(淡水)에 서식하던 개체의 염분세포(鹽分細胞)보다 그 수가 증가하였다. 이와같이 미토콘드리아가 풍부한 염분세포의 존재를 통해서 해수(海水)에 적응하는 동안 일어나는 저삼투압조절(低渗透壓調節) 작용(作用)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라 사료된다. 해수(海水)에 적응(適應)된 대부분의 틸라피아는 신장(腎臟)의 보우만 주머니를 가득 채운 신사구체(腎絲球體)를 가지고 있으며, 신사구체(腎絲球體)의 수축은 담수(淡水)에 적응된 개체보다 10%o, 20%o, 30%o에 적응된 개체에서 훨씬 더 많이 발생되었고, 울혈현상(鬱血現象)은 10%o보다 20%o, 30%o에 적응(適應)된 개체의 신장조직(腎臟組織)에서 더많이 발생되었다. 틸라피아의 신사구체(腎絲球體)는 담수(淡水)에서 10%o의 해수(海水)로 이주된지 14일(日) 이후에 신장(腎臟)에서 수축된 것으로 Comparative differences between the fine structure of cultured LL/2 cell in vitro and tumor cells in vivo which were induced in the lung by inoculation of LL/2 cells to C57 BL/6 mouse via tail vein during 21 days are not observed except for cell configuration which was changed spindle shape into oval shape. At first tumor cells appeared at lymphatic nodules and around capillary in the lung. Tumor cells divided actively by mitosis, so they became tumor nodules. The pulmonary aveoli around tumor nodules were observed somewhat flattened in shape but the cells in the aveoli appeared to be in normal condition. Furthermore the normal lung cells were observed in the tumor nodules and some apoptotic tumor cells appeared in the large tumor nodules. A lot of neutropiles were observed in the aveoli and tumor nodules of C57 BL/6 mouse lung after inoculation 22 days and 31days.

      • KCI등재

        솔나방(Dendrolimus spectabilis) 난소의 미세구조 II. 난황막 및 난각형성과정

        김지현,김정상,김우갑,Kim, Ji-Hyun,Kim, Jeong-Sang,Kim, Woo-Kap 한국현미경학회 1994 Applied microscopy Vol.24 No.4

        The developing ovarian oocyte of Dendrolimus spectabilis has been studied by using electron microscopical techniques. After yolk formation the vitelline membrane was laid down in the intercellular space between the follicle cell and the oocyte. But before the vitelline membrane formation the granules with high electron density that the vitelline membrane precusor are observed in the follicle cell. At the late vitellogenesis stage these granules were transported into the intercellular space between the follicle cells and the oocyte. These granules fuse to each other and larger bodies which eventually produce the vitelline membrane. The vitelline membrane was distinguished into the light inner and dark outer membrane. Next the chorion was laid down. It was apparent that the chorion was laid down in the intercellular space immediately adjacent to the vitelline membrane, and that it was formed by the follicle cells only.

      • 위암에서 혈청 렙틴 레벨과 조직 내 렙틴 발현과의 상관관계

        김지현,정헌,전경화,김성근,진형민,정지한,김욱,전해명,박조현,박승만,박우배,임근우,김승남,Kim, Ji-Hyun,Jung, Hun,Jun, Kyong-Hwa,Kim, Sung-Keun,Chin, Hyung-Min,Jung, Ji-Han,Kim, Wook,Jeon, Hae-Myung,Park, Cho-Hyun,Park, Seung-Man,Park, Woo-B 대한위암학회 2008 대한위암학회지 Vol.8 No.4

        목적: 지방세포에서 분비되는 렙틴은 식이 조절과 에너지 소비를 통해 체질량의 항상성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세포증식을 조절하여 종양의 진행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위암에서 렙틴과 그 수용체가 높게 발현된다고 보고되고 있으나 조직내 발현과 혈장내 렙틴 레벨과의 상관관계에 대해서는 많이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위암 환자에서 혈청 렙틴 레벨을 측정하고 조직내 렙틴과 렙틴수용체의 발현과의 상관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 2005년 10월부터 2007년3월까지 위암으로 근치적 위절제술을 시행 받은 사람 중에서 파라핀 포매 보관상태가 양호한 7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면역측정법을 이용하여 혈청 렙틴 레벨을 측정하였고 위암 조직내 렙틴과 렙틴 수용체의 발현상태는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시행하여 확인하였으며 임상병리학적 특성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체질량지수가 높은 환자의 혈청내 렙틴 레벨이 높았으며(P=0.01), 렙틴의 혈청 레벨은 Helicobacter pylon (H. pylori) 감염군에서 감소하였다(P=0.008). 위벽 침윤도와 병기가 증가할수록 렙틴 발현율이 높았으며(P=0.014), 렙틴 수용체의 발현은 장형 71.4%, 미만형 28.6%로 장형인 경우에 높았다(P=0.033) 결론: 위암에서 혈청 렙틴과 조직내 렙틴 발현은 상관관계가 없었고 렙틴의 조직내 발현은 병기와 연관이 있었으나 그 작용 기전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후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adipocyte-derived cytokine leptin plays a major role in the control of stable body weight by suppressing food intake and increasing energy metabolism. Leptin regulates the cell proliferation of various epithelial cells and it may be involved in the promotion of cancer. Leptin and its receptor are highly expressed in gastric adenocarcinoma, but the association between the serum leptin level and the tissue expression of leptin is uncertain. We evaluated the serum leptin level and the expressions of leptin and leptin receptor in gastric cancer, and we explore the possible mechanism and role of leptin in the carcinogenesis of gastric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72 carcinomas that were curatively resected at our hospital from October 2005 to March 2007 were included in this study. By immunoassay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we evaluated the serum leptin level and the expressions of leptin and its receptor, and we analyzed their relationship together with the clinicopathological variables. Results: The serum leptin level was increased as the patient's BMI increased and it was decreased in H. pylori infected patients. The expression of leptin was increased as the TNM stage increased (P=0.014), and the expression of leptin receptor in the intestinal type gastric adenocarcinoma was higher than that in the diffuse type gastric adenocarcinoma (71.4% vs 28.6%, respectively, P=0.033). Conclusion: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erum leptin level and expression of leptin in gastric cancer patients. The expression of leptin was associated with the TNM stage, but its role in the pathogenesis of gastric cancer has to be elucidated.

      • KCI등재

        AVL 트리를 사용한 효율적인 스트림 큐브 계산

        김지현,김명,Kim, Ji-Hyun,Kim, Myung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4 No.6

        스트림 데이터는 끊임없이 고속으로 생성되는 데이터로써 최근 이러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부가가치를 얻고자 하는 노력이 활발히 진행 중 이다. 본 연구에서는 스트림 데이터의 다차원적 분석을 위해 큐브를 고속으로 계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스트림 데이터는 비즈니스 데이터와는 달리 정렬되지 않은 채로 도착하며, 데이터의 끝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집계 결과를 낼 수 없어서, 고속으로 집계하는 과정에서 저장 공간의 낭비를 심하게 초래한다. 또한 큐브에 속한 집계 테이블들을 모두 생성하는 것은 시간/공간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라는 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들과 마찬가지로 큐브에 포함시킬 집계 테이블들을 사용자가 미리 정하도록 하였고, 정렬되지 않은 스트림 데이터를 고속으로 집계하는 과정에서 배열과 AVL 트리들로 구성된 자료구조를 집계 테이블의 임시 저장소로 사용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생성하려는 큐브가 메모리에 상주할 수 없을 정도로 큰 경우에도 집계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론적 분석과 성능 평가를 통해 제안한 큐브 계산 알고리즘이 실용적임을 입증하였다. Stream data is a continuous flow of information that mostly arrives as the form of an infinite rapid stream. Recently researchers show a great deal of interests in analyzing such data to obtain value added information. Here, we propose an efficient cube computation algorithm for multidimensional analysis of stream data. The fact that stream data arrives in an unsorted fashion and aggregation results can only be obtained after the last data item has been read. cube computation requires a tremendous amount of memory. In order to resolve such difficulties, we compute user selected aggregation fables only, and use a combination of an way and AVL trees as a temporary storage for aggregation tables. The proposed cube computation algorithm works even when main memory is not large enough to store all the aggregation tables during the computation. We showed that the proposed algorithm is practically fast enough by theoretical analysis and performance evaluation.

      • SCOPUSKCI등재

        최근 6년간(1998-2003) 소아 Mycoplasma 폐렴의 임상 양상

        김지현,채수안,이동근,Kim, Ji-Hyun,Chae, Soo Ahn,Lee, Dong-Keun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5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8 No.9

        목 적 : 소아기 지역 사회 획득 폐렴의 주요 원인인 Mycoplasma pneumoniae 폐렴의 최근 임상 양상의 변화를 알아 소아 폐렴 환아의 치료에 도움을 받고자 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8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6년 동안 중앙대학교 필동병원 소아과에 입원하여 Mycoplasma 항체치가 1 : 160 이거나, 혹은 추적검사상 4배 이상 증가했던 0-15세 사이의 393 명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고 이전의 연구 결과와 비교하였다. 결 과 : 1) 남녀비는 1.06 : 1이었고, 평균연령은 $4.32{\pm}2.94$세였다. 2-3세가 18.6%로 가장 많았으며, 2세 미만에서도 14.7%나 발생했다. 2003년에 가장 많았고, 2000년에 10, 11월, 2002년에 4월, 2003년에는 10, 12월에 많았다. 2) 26.7%에서 알레르기 질환의 과거력이 있었으며 10.7% 환아의 2촌 범위 내에서 알레르기 질환이 있었다. 43.3%가 이전에 폐렴으로 입원하였고, 23.9%에서는 폐렴을 2번 이상 앓았었다. 알레르기 검사를 시행한 환아의 65.7%가 양성이고, 가장 흔한 원인은 집먼지진드기였다. 12.2%에서는 mycoplasma 폐렴이 천식의 유발 혹은 악화인자로 작용했다. 3) 호흡기 증상은 기침, 객담, 순이었고, 폐외증상은 복통, 구토 순이었다. 악설음이 85.4%에서 들렸고, 천명이 18.3%에서 들렸으며, 32.3%에서 청진 소견이 방사선과 일치하였다. 4) 2.5%에서 무기폐, 1.8%에서 흉막삼출이 동반되었다. 기관지 폐렴, 간질성 폐렴, 엽상 음영 순이었고, 우측에 더 많았다. 5) 한랭응집소치와 Mycoplasma 항체치 사이에 유의한 상관성은 없었다. 결 론 : Mycoplasma pneumoniae 폐렴의 호발 연령이 이전 연구결과 보다도 낮아진 것을 알 수 있고, 따라서 학동기 이전의 폐렴 환아들에서 특히 영유아에서도 이에 대한 감별진단을 하는 것이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천명 동반율이 높아지고, 다른 알레르기 질환의 과거력과 가족력이 있는 경우와, 재발성 폐렴과 연관된 경우가 많았다. Purpose : We performed a study of clinical findings of Mycoplasma Pneumonia in children, to know differences between recent clinical manifestations of Mycoplasma pneumonia and previous studies.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93 children who were diagnosed as Mycoplasma pneumonia with high titers of Mycoplasma antibody(${\geq}1$ : 160) or fourfold rises of Mycoplasma antibody at Chung Ang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98 to December 2003. We practiced a retrospective study on the clinical manifestations of Mycoplasma pneumonia based on their medical records. Results : Male to female ratio was 1.06 to 1 and mean age was $4.32{\pm}2.94years$. The highest incidence was in the age of 2 to 3 years(18.6 percent). Most frequent months were October, and November in 2000, April in 2002, and October and, December in 2003. Twenty six point seven percent showed allergic diseases. Second degree relatives of 10.7 percent patients had allergic diseases. Forty three point three percent were admitted before this admission for pneumonia. Allergic tests were positive in 65.7 percent. Cough, and sputum were the most common symptoms and abdominal pain, and vomiting were the most frequent extrapulmonary symptoms. Atelectasis and pleural effusion were seen in 2.5 percent and 1.8 percent. Infiltrations were more common on the right side. Titers of each simultaneous test for cold agglutinin and mycoplasma antibody were not in proportion to each other (P=0.163). Conclusion : The onset age of mycoplasma pneumonia was found to be lower than it used to be. More patients had a past medical history or a family history of allergic disease, and more wheezing was heard and associated with recurrent pneumon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