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노인의 우울과 건강수준과의 관련성

        김지미,이정애 韓國老年學會 2010 한국노년학 Vol.30 No.4

        본 연구는 노인의 우울과 주관적 및 객관적 건강수준, 건강수준유형과의 관련성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과 자료분석은 2007년 국민건강영양조사(4기) 1차년도 원시자료 중 건강설문조사를 이용한 60세 이상의 노인 총939명의 확률추출표본자료로 모든 분석은 SAS(version 9.1)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Χ² -test, t-test,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에서 우리나라 노인의 우울인지율은 20.3%였으며 노인우울에 대한 인구사회적 요인은 '성(OR=2.04)', '고졸학력군(OR=0.27)', '중하위소득수준(OR=2.83)'이 유의한 관련요인이었고(p<0.05), 인구사회적 요인을 통제한 후 객관적인 건강수준에서는 '고혈압(OR=1.93)', '천식(OR=3.32)'이, 주관적 건강수준에서는 '스트레스(OR=7.27)', '골절 및 관절손상으로 인한 활동제한', '천식', '고혈압', '주관적 건강인식'의 순으로 노인우울과 유의미하게 관련되었다(p<0.05). 건강수준유형별로는 유형1(비질병군, 주관적건강양호군)에 비해 유형4(질병군, 주관적건강불량군)가 노인우울성향을 가질 위험도는 5.94배로 매우 유의하였다(p=0.001).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노인의 만성질환 자체보다 노인이 스스로 지각하는 '스트레스', '활동제한'이 상대적으로 노인 우울의 위험도가 큰 관련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노인의 우울 인지율을 감소시키기 위해 특히 고혈압, 천식, 골절 및 관절손상에 대한 예방적 관리가 절실하게 요구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ubjective/ objective health status, and to examine predicting factors on depression in the elderly in Korea. This study was a secondary analysis using the data of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Ⅵ-1) 2007. A total of 939 data from the subjects ≥60 years who completed health-related survey were used for analysis. Data were analyzed using SAS (version 9.1) PC program. Depression was identified in the 20.3% of the older subject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women (OR=2.04), senior high school graduation (OR=0.27) and lowermiddle household income (OR=2.83) were significant associating factors(p<0.05). After adjustment for socio-demographic factors, hypertension (OR=1.93) and asthma (OR=3.32) as objective health status, and stress (OR=7.27), limited activity in daily living due to fracture or joint injury (OR=6.59) and poor self-rate health (OR=1.64) as subjective health status were found as factors predicting depression in the elderly(p<0.05). According to the type of health status, the subjects who had chronic disease or perceived poor physical health were 5.94 times more likely to have disposition to depression than the subjects who had no chronic disease or perceived good physical health (p=0.001).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reventive education and intervention focus on preventing and managing chronic diseases such as hypertension, asthma, fracture and joint injury should be needed to decrease depression in the elderly.

      • KCI등재

        장기요양서비스의 시장화와 지방자치단체의 대응 -일본 지자체의 요양인력 고용관리 사례와 시사점-

        김지미 동아시아일본학회 2020 일본문화연구 Vol.0 No.73

        From the 1990s to middle and later half of the 2000s, not only Korean government but also Japanese government marketized long term care service to promote marketization and to get supply of the service and to attain service efficiency. Commercial sector business and others in both countries participated in institutional reform for marketization in long term care service market to worsen care workers' labor conditions. Since more than 10 years (longer time in Japan) after institutional reform for marketization, both countries should control care workers systematically. This study examined care workers at marketization of care service in both countries to investigate implications.

      • KCI등재후보

        일본 보육서비스공급체제의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 보육의 다원화와 정부의 역할을 중심으로

        김지미 대한지방자치학회 2014 한국지방자치연구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1990년대 후반 이후 진행되어온 일본의 보육정책 개혁과정 속에서보육서비스공급체제에는 어떠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 그 현상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복지다원주의의 이론적 틀을 응용하여, ‘보육의 다원화’라는 관점으로 일본 보육정책 개혁 속에서 추진된 보육서비스공급체제의 변화과정에 접근하여 보육의 다원화 실현을 위한 일본 정부(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의 정책적 대응은어떠하였는지 분석한다. 특히, 보육의 다원화 실현을 위한 일본 정부의 정책적 대응과 관련하여서는 준시장화 추진 및 시민참여 촉진에 관한 기반정비를 중심으로 개혁을 추진함에 있어서의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와의 관계도 시야에 담아서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을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일본의 보육서비스 다원화의 현주소를 밝힘으로써 보육의 다원화를 통하여 보육서비스 공급·재정·규제 측면에서 정부의 역할이 어떻게 조정되고 있는지파악하고, 나아가 일본의 보육서비스 다원화가 지향하고 있는 목표점이 무엇인지 생각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장기요양서비스 제공체계의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 노인돌봄의 다원화와 정부의 역할을 중심으로

        김지미 대한지방자치학회 2016 한국지방자치연구 Vol.1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2000년대 후반에 시장원리에 입각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와 노인돌봄바우처사업이 시행된 이래 장기요양서비스의 제공체계에는 어떠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 그 현상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복지다원주의의이론적 틀을 응용하여, ‘노인돌봄의 다원화’라는 관점으로 장기요양시스템의 제도개혁으로 추진된 장기요양서비스 제공체계의 변화상에 접근하여 노인돌봄의 다원화 실현을 위한 한국 정부의 정책적 대응은 어떠하였는지 분석한다. 특히, 노인돌봄의 다원화 실현을위한 한국 정부의 정책적 대응과 관련하여서는 준시장화 추진에 관한 기반정비를 중심으로 그러한 제도개혁 추진과정에서의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와의 관계도 시야에 담아서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장기요양서비스 다원화의 현주소를밝히고, 나아가 노인돌봄의 다원화를 통하여 장기요양서비스의 재원‧공급‧규제 측면에서정부의 역할이 어떻게 조정되고 있는지 포착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long-term care service delivery system since the introduction of long-term care insurance in the latter half of the 2000s. This study examines the Korean government's (not only the central government but also the local governments) political counteractions to realize the pluralism of the long-term care service, based on the theoretical frame of welfare pluralism. In particula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Korean government's political counteractions against the pluralism of long-term care, focusing on quasi-marketization. Also, the relations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local governments in the process of reformation are examined. In sum, this study determined the current state and the issues of the pluralism of long-term care services in Korea and the Korean government's roles in terms of finance, provision, and regulations of the long-term service.

      • KCI등재

        간호사의 조직내 네트워킹행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의 관계

        김지미,이선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2

        본 연구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 간호사의 조직내 네트워킹행동과 소진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연구목적과 설문지 작성에 동의한 일 개 대학병원 간호사 255명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피어슨 상관계수와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사의 조직내 네트워킹 행동은 5점 만점에 평균 2.79점, 소진은 6점 만점에 평균 2.85점으로 확인되었다. 소진은 조직 내 전체 네트워킹 행동(r=-.362,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회귀분석을 한 결과, 부서만족(β=-.254 , t=-4.049, p<.001), 임상경력(β=-.272, t=-4.855, p<.001), 병원만족(β=-.184, t=-2.987, p=.003)과 업무네트워킹(β=-.141, t=-2.386, p=.018)으로 간호사 소진의 31.7%의 설명력(Adj R2=.317, F=30.189, p<.001)을 보여주었다. 연구결과, 업무네트워킹행동이 간호사의 소진에 대한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효과적인 소진감소전략에 기여할 것이며, 간호관리자는 간호사의 소진감소전략으로 조직내 네트워킹 행동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the descriptive correlation research, processed to understand relationship among networking behavior within an organization and burnout. Data were collected by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255 registered nurses who agreed to the goals of the study and to complete the surve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The mean of organizational networking behavior(total 5points) and burnout(total 6points). are 2.79 and 2.85 points. Burnout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organizational networking behavior(r=-.362, p<.001).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burnout were satisfaction of the ward(β=-.254 , t=-4.049, p<.001), clinical experience(β=-.272, t=-4.855, p<.001), satisfaction of the hospital(β=-.184, t=-2.987, p=.003)and working network behavior(β=-.141, t=-2.386, p=.018) explaining 31.7% of the variance. The results of the study was revealed that working network behavior was the important predictor of nurses’ burnout. These results contribute to develop the efficient burnout reduction strategy and nurse manager will be concerned about the networking behavior within an organization.

      • KCI등재

        고백체 소설의 영화 각색 방식 연구-손소희의 「그날의 햇빛은」과 정진우의 「초연」을 중심으로-

        김지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3 여성문학연구 Vol.30 No.-

        Considering differences between the literature and the film, a literary text which focused on human inner state is the most tricky one when translating it into a film. That kind of literary work does not deal with actual events which have time, place and act so it lacks 'expressivité' which is main tool for most films. Son Sohee's short story The Sunshine on That Day has lots of confession - diaries and letters - which describes a female main character of the story which Jung Jinwoo's Gunsmoke (Choyeon) is based on. There are lots of structural differences between them some are caused by difference of media and some are intentionally created by the director of the film. Most event described in confession changed into scenes with actual actions. These changes are due to the intrinsic difference of media. The short story written mainly inoder of free association of the narrator who are confined in a psychiatric hospital because of mental destruction. The film choose arrange all the events in oder of time so that most audiences can easily understand the whole story. Considering 1960's media circumstance, it was nearly impossible for anyone to watch films freely and repeatedly in order to apprehend excessively complicated story. The changes in structures of each text are closely associated with receptive capacity of each medium. The changes in substance occured on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female main character. The narrator in the fiction who willingly surrenders her desire to the Other is described as a hysterical subject. However, the female main character in the film is more open to her own desire and persue her ideal -ego through the love affairs with male characters. She is somewhat sexually iconized on the screen but in the end she survived while the narrator of the fiction confine and narratively punished for sexual freedom. The active role of main character in the film dragged more attention of the public (which the success of the film score demonstrates). She also was the problematic character who made the society think over what the meaning of "prostitute" and the desire of women. 문학과 영화의 매체적인 차이를 감안하면 영화로 전환될 때 가장 까다로운 문학 텍스트는 인간 내면의 추상적인 정신 활동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작품일 것이다. 시간에 따른 인물의 행동이나 자연 상태의 변화를 다루고 있는 서사가 아닌, 변화의 방향성이 모호하고 주로 1인칭 화자의 내면 독백적 서술을 통해 변화의 지점들을 제시하고 있는 문학 작품이야 말로 영화의 기호인 ‘표현적인외연’을 획득하기 가장 어려운 대상이기 때문이다. 본고는 1960년대 중반에 제작된 문예 영화 가운데 내면적 독백이 주를 이루는 손소희의 「그날의 햇빛은」 과 이를 영화화한 「초연」(정진우 감독, 1966)을 대상으로 고백체 소설이 영화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서사의 구조적 변화를 고찰해 보았다. 원작에서 1인칭 화자의 심리적 변화에 치중되어 있었던 내적 독백들이 영화에서는행위를 통해 재현되는 구체적인 사건 제시로 전환되었다. 이와 같은 변화는 추상적 의미 전달이 용이한 언어와 즉물적 제시를 통해 의미에 도달해야 하는 영상 사이의 본질적인 차이에 기인한다. 또한 소설에서 화자의 내면에서 일어나는 심리 변화에 따라 비계기적으로 연결되었던 서사 구성이 영화에서는 선조적 시간 구성을 따라 재배치되었다. 매체 전환 과정에서 일어난 서사 구조의 변화는 각 매체의 수용 방식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다. 독자의 이해 여부에 따라 텍스트 활용이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소설에 비해 집단적이고 일회적인 감상에 그칠 수밖에 없었던 영상 매체의 수용 환경이 이와 같은 시간 구성 변화의 주요한 원인이라고 볼 수 있다. 소설의 여성 화자가 대타자의 욕망에 자신을 종속시킴으로써 쾌락을 추구하는 히스테리적인 주체였던 반면 영화의 여성 주인공은 능동적인 욕망의 주체로서 구현되었다. 영화에서 여주인공은 시각적으로도 성적 매력이 강조되었지만 자신의 욕망에 좀 더 솔직하게 드러내는 인물로 그러진다. 이와 같은 변화는 극적 갈등을 더 적극적으로 유발시켜 대중적 관심을 끄는 데 효과적으로 기여하는 동시에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하지만 소설 속의 여주인공이 정신병원이라는 ‘비정상성’의 범주에 갇히는 결말에 도달했던 것과 달리 영화 속의 여성 주인공은 자신의 욕망을 솔직하게 드러낸 것에 대해 서사적 처벌을 받지 않는다. 이와 같은 결말의 차이에는 소설에서 여성 주체를 다루는 방식에 대한 감독의 비판적 해석이 반영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 MgO 버퍼층을 이용한 PZT 박막의 형성 및 특성 평가

        김지미,전호승,강재경,최형봉,김철주 서울시립대학교정보기술연구소 2001 정보기술연구소 논문집 Vol.3 No.-

        In this paper, we fabricated the MgO layer by sol-gel method and estimated possibility as a buffer layer for ferroelectric such as PZT. MgO(Magnesium Oxide) proposed as buffer layer of ferroelectric is already for much used as buffer layer in optic technology. There are many formation methods of MgO layer, but in this study, we selected the sol-gel method which is easy to control the content of material and possible for fabrication of uniform layer, then we formed thin layer through the composition of MgO and PZT solution, spin coating and annealing. To estimate the possibility as buffer layer about ferroelectric layer, we analyzed the physical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about PZT on MgO layer.By SEM, AFM and XRD analysis, we could know facts that the surface condition of PZT on MgO was relatively smooth and the crystal orientation of PZT was enhanced by MgO layer. Due to the measurements of P-V, C-V and I-V characteristics of PZT/MgO capacitor structure, the polarization, fatigue and breakdown properties of PZT on MgO were much improved than those of PZT without MgO layer. Also, in MFIS structure, the PZT on MgO showed the stable memory property. These results could be compared to those of MgO buffer layer formed by sputtering, so, if studies about the composition of MgO solution and the formation of MgO layer are executed continuously, the fabrication process of MgO layer by sol-gel method can be applied as the process for buffer layer of ferroelectric.

      • KCI등재

        노인장기요양서비스 평가체계의 변화에 관한 연구:일본의 사례와 한국에의 시사점

        김지미 대한지방자치학회 2023 한국지방자치연구 Vol.25 No.3

        한국의 노인장기요양서비스 평가체계는 2000년대 후반의 준시장화 개혁 이후 장기요양기관 평가제도에 의한 서비스의 질 관리를 중심으로 새롭게 정비되었다. 하지만 구 평가제도와는 달리 자발적으로 시장에 진입한 공급자에 대한 평가를 통해 서비스의 질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또 이 공급자 평가는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보험자(국민건강보험공단)에 의해 급여 제공과정과 연계하여 시행되고 있는 것이 한국의 특징이다. 이러한 평가체계에 대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강화와 함께 별도의 독립적인 평가전담 기구가 설립되어야 한다는 주장과 함께 노인장기요양 현장에서는 공급자 평가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가 높은 것이 한국의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는 다른 평가체계를 도입하고 있는 일본 사례에 주목하여 한국과의 비교 관점에서 일본에서는 노인장기요양서비스 평가체계가 어떻게 다원적·중층적으로 정비·변화되어 왔는지 살펴보고, 한국에의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일본에서는 준시장화 개혁에 따른 제도개혁 속에서 제3자평가제도, 정책평가제도, 노인장기요양보험사업계획에 대한 평가제도 등의 다양한 평가의 제도적 장치들이 어떻게 다원적·중층적으로 정비되어 왔는지 분석한다. 둘째, 일본에서의 노인장기요양서비스 평가체계에 관한 정책의 변화 속에서 목표관리형 평가(=업적관리)와 참여형 평가가 강화되고 있음을 도출한다. 셋째, 다원적·중층적으로 제도화되어 있는 일본의 노인장기요양서비스 평가체계의 정부간 및 제도간 연관구조를 밝힘으로써 평가체계의 거버넌스 구조를 포착한다. 넷째, 일본 사례를 통하여 노인장기요양서비스 평가체계가 수행하는 기능이 무엇인지 밝힘으로써 한국의 노인장기요양서비스 평가체계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The evaluation system for South Korea's long-term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was reorganized with a focus on services quality management through the long-term care facility evaluation system following quasi-marketizing reform in the late 2000s. However, unlike the old evaluation system, service quality is managed through the evaluation of providers who voluntarily entered the market, and this provider evaluation is conducted in connection with the benefit provision process by the insurer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s) as a characteristic of South Korea. With regard to the evaluation system, there is dissatisfaction with provider evaluation, and it is argued that a separate independent dedicated evaluation organization should be established together with the strengthening of the role of local governments. Therefore, taking notice of cases in Japan, which is introducing an evaluation system that is different from the one in South Korea,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how the evaluation system for long-term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in Japan has been reorganized and changed in comparison with South Korea and find implications for South Korea. To that end, this study will analyze how the institutional devices for various evaluations such as the third-party evaluation system, the policy evaluation system, and the evaluation system for long-term care insurance business plans for the elderly have been reorganized to be pluralistic and multilayered in the institutional reform following quasi-marketization reform in Japan. Second, it will derive the fact that objective-based policy evaluation (=performance management) and participatory evaluation are being strengthened amid changes in policies regarding the evaluation system for long-term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in Japan. Third, it will capture the governance structure of the evaluation system by revealing the intergovernmental and inter-institutional linkage structure of Japan's evaluation system. Fourth, by identifying the functions carried out by the evaluation system through cases in Japan, this study will present policy implications that will enable the problems of South Korea's evaluation system to be overcome.

      • KCI등재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준시장화와 공급관리체계의 변화: 선진국의 경험이 한국에 주는 시사점

        김지미 대한지방자치학회 2022 한국지방자치연구 Vol.24 No.3

        1990년대 이후 복지국가체제를 재편하는 복지개혁의 조류 속에서 준시장화가 추진된결과 각국에서는 공통적으로 복지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공급주체 및 재원주체로서의 정부의 역할은 축소되었지만, 준시장에서의 서비스 공급을 둘러싼 관리자로서의 정부의 역할은 강화되었다. 그러나 준시장에서의 서비스 공급관리 주체로서의 정부의 역할은 각국에서 상이하게 전개되었으며, 그러한 정책전개의 결과 준시장화 추진에 따른 거버넌스의양상이 각국에서 다르게 나타나고 있어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상황을 배경으로, 본 연구에서는 노인장기요양서비스의 준시장화에 따른 공급관리체계 정비에 대한 정책전개에 초점을 맞추고, 준시장화 개혁을 실시한 대표적인 국가(영국과 일본)의 사례를 들어 선진국에서는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준시장화 이후 서비스 공급관리체계 정비를 둘러싼 정책이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지 그 변화상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공급관리의 다원화’라는 관점으로 1990년대 이후 영국과 일본의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준시장화 개혁에 따른 공급관리체계 정비의 정책전개에 접근하여준시장에서의 서비스 공급을 둘러싼 관리체계(규제·평가체계)가 어떻게 다원적으로 정비되어 왔는지 분석한다. 특히, 서비스 공급관리체계의 다원적인 정비와 관련하여서는 준시장화 이후 서비스의 질 보장을 위한 규제·평가체계가 새롭게 구축되면서 지방자치단체를비롯한 정부가 관리자로서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또 새롭게 규제·평가주체로등장한 공공조직과는 어떠한 관계를 정립하고 있는지 분석한다. 나아가, 그러한 정책전개를 통하여 준시장화 추진에 따른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변화와 함께 규제, 평가, 권한이양등의 새로운 거버넌스의 틀이 구축되고 변화되어온 양상을 밝힘으로써 영국과 일본에서의 다원적인 노인장기요양 거버넌스의 현재 모습을 포착하고, 그것이 한국의 노인장기요양 거버넌스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