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반도 풍혈지의 선태식물상

        김중현,안지홍,이병윤,김진석 한국환경생물학회 2019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7 No.4

        Algific talus slopes provide microclimates suitable for disjunct or relict populations of northern plant species at low elevation habitats in the temperate zones. The pro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phytogeographical significance and produce a strategy for the comprehensive conservation of the vegetation on algific talus slopes. Therefore, we studied the floristics of bryophytes on 15 algific talus slopes in Korea. The bryophytes on the algific talus slopes in Korea consisted of 59 families, 138 genera, 226 species, two subspecies, and five varieties, totaling 233 taxa. Peculiarly, many northern bryophytes, such as Andreaea rupestris var. fauriei (Besch.) Takaki., Buxbaumia minakatae S. Okamura, Racomitrium lanuginosum (Hedw.) Brid., Hylocomium splendens (Hedw.) Schimp., and Pleurozium schreberi (Willd. ex Brid.) Mitt. were found on the algific talus slopes. Of them, unrecorded species from south Korea numbered 14 taxa and unrecorded species from the Korean peninsula numbered seven taxa. A similarity analysis based on the bryophyte flora showed that the index of similarity between regions with similar environmental factors was high. This means that the bryophyte flora composition on each algific talus slopes was affected by topography and microclimate. Algific talus slopes are phytogeographically significant microhabitats where northern plant species that advanced southward during the latest glacial age have been isolated and adapted. However, algific talus slopes have constantly been destroyed or damaged by humans without consideration of conservation. Conservation strategies to ensure the biodiversity and effective management of algific talus slopes in Korea are discussed in detail. 풍혈지는 특수한 국소적인 저온 환경으로 인해 북방계 식물들이 온대지역의 해발고도가 낮은 지대에서도 분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는 한반도 주요 풍혈지 15개소에 대한 선태식물 종조성을 밝히고, 종다양성의 패턴분석 및 식물지리학적 중요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풍혈지의 선태식물상 조사결과, 59과 138속 226종 2아종 5변종의 총 233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이 가운데 북방계 선태식물은 검정이끼, 담뱃대이끼, 된서리이끼, 수풀이끼, 겉창발이끼 등이 풍혈지에서 생육하고 있었다. 국내 (남한)에서 발견된 미기록종은 14분류군, 한반도에서 발견된 미기록종은 7분류군이었다. 지소별 유사도 분석결과, 환경 특성이 유사한 지소끼리 유사도 지수가 높게 나타남에 따라 각 풍혈지별 선태식물의 종조성은 지형과 미소 기후의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풍혈지는 최후빙하기의 한반도의 기후, 식생 환경을 이해할 수 있는 직접적인 증거를 보유한 서식지(피난처)이지만 풍혈지의 식생은 어떠한 보호조치도 없이 인위적으로 훼손되고 있다. 풍혈지의 생물학적인 가치와 보전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관리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백두대간 조령산의 관속식물과 수직분포

        김중현,김진숙,신수경,박성애,박성혁,한성경,김진석 한국환경생물학회 2024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42 No.1

        본 연구는 백두대간 조령산의 관속식물과 고도별 수직 분포 조사를 조사하였다. 2023년 4월부터 2023년 9월까지 총 4회에 걸쳐 조사한 결과, 관속식물은 101과 314속 491종 10아종 43변종 6품종 2교잡종의 총 55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또한 우리는 관속식물 360분류군에 대해 고도 별 분포범위를 구축하였다. 한반도 특산식물은 19분류군, 희귀식물은 2분류군이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100분류군으로 V등급에 2분류군, IV등급에 7분류군, III등급에 25분류군, II등급에 33분류군, I등급에 3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북방계 식물은 78분류군, 외래식물은 29분류군이며, 귀화율 5.3%, 도시화지수 7.4%로 나타났다. 생태계교란식물은 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종 풍부도는 저지대와 중간 고도, 정상부에서 높은 패턴이 나타났다. 고도별 종 조성의 유사도는 저지대인 해발 200~300 m를 제외하고 인접한 고도구간일수록 유사성이 높게 나타났다. 조령산은 고도에 따라 62.1~92.9°C·month의 온도 범위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조령산 관속식물의 분포 자료로써 추후 기후 변화에 따른 식물의 분포변화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vertical distribution and vascular plants on Joryeongsan Mountain in Baekdudaegan, Korea. The results of four field surveys from April to September 2023 identified a total of 552 taxa, representing 491 species, ten subspecies, 43 varieties, six forms, and two hybrids in 314 genera and 101 families. The elevational distribution ranges of 360 taxa of vascular plants were also identified. Among them, 19 taxa were endemic to Korea, and two taxa were rare plants. The floristic target plants amounted to 100 taxa, specifically two taxa of grade V, seven taxa of grade IV, 25 taxa of grade III, 33 taxa of grade II, and 33 taxa of grade I. Seventy-eight taxa were northern lineage plants. In all, 29 taxa of alien plants were recorded in the investigated area, with a naturalized index of 5.3% and an urbanization index of 7.4%. Two plants disturbed the ecosystem. Species richness along the elevation showed a reversed double hump shape with peaks at low, mid, and high elevations. The results of a cluster analysis showed a high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adjacent elevation sections, except in lowlands.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ordination also supported distinct groups by elevation. Warmth index values ranged from 62.1ºC·month to 92.9ºC·month on Joryeongsan Mountain. Our results provide primary data on vascular plants and valuable information on the current distribution ranges of plant species on Joryeongsan Mountain. These data could serve as a baseline for comparing species shifts at elevations under future climate changes.

      • KCI등재

        손죽도(여수시)의 관속식물상

        김중현,권석우,박성애,윤나래,남보미 한국환경생물학회 2024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42 No.1

        본 연구는 손죽도의 관속식물을 밝히고 주요 식물을 조사하였다. 2023년 4월부터 2023년 10월까지 총 4회에 걸쳐 조사한 결과, 관속식물은 109과 322속 440종 7아종 35 변종 1교잡종의 총 483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이 가운데 249분류군은 본 조사에서 새롭게 기록되었다. 한반도 고유종은 4분류군, 지역적색목록은 4분류군, 기후변화 지표식물은 22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99분류군으로 IV등급에 2분류군, III등급에 41분류군, II등급에 10분류군, I등급에 46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외래식물은 54분류군이며, 귀화율 11.2%, 도시화지수 13.8%로 나타났다. 생태계교란식물은 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조사지의 식물상은 한반도 식물구계의 남해안아구에 속한다. 본 연구는 관속식물의 분포 자료로써 식물 종 다양성 및 분포변화의 정보로 활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lora of Sonjukdo Island (Yeosu-si), Korea. From results of four field surveys from April 2023 to October 2023, we identified 483 total taxa, representing 440 species, seven subspecies, 35 varieties, and one hybrid. They were placed in 322 genera and 109 families, including 249 taxa newly recorded in this study. Among them, four taxa were endemic to Korea, four taxa were IUCN red list plants, and 22 taxa were climate sensitive indicator plants. Floristic target plants amounted to 99 taxa, including two taxa of grade IV, 41 taxa of grade III, 10 taxa of grade II, and 46 taxa of grade I. A total of 54 taxa of alien plants were identified, with a Naturalized Index of 11.2% and an Urbanization Index of 13.8%. Three plants disturbed the ecosystem. The flora of this surveyed area belongs to the south-coast province among floral provinces of the Korean Peninsula. Our results provide basic data on vascular plants flora, plant species diversity, and distributional changes.

      • LCD 대화면화에 따른 CCFL의 기술개발 방향

        김중현,황인선,Kim, Jung-Hyeon,Hwang, In-Seon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5 조명.전기설비 Vol.19 No.1

        이제까지 주로 LCD가 대화면화가 진행될 때 CCFL의 기술 개발 동향을 살펴 보았다. CCFL lamp는 LCD module의 BLU에서 광원으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해 왔고, 원가 절감 및 성능향상이라는 목표로 지속적으로 기술 개발이 되어 왔다. 하지만 현재 LCD TV가 FPD 시장의 주도적인 역할을 하기 위해서 혁신적인 기술 개발이 요구되어서 EEFL, FFL, LED 광원, CNT 광원 등의 다양한 형태의 광원이 CCFL의 자리를 넘보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CCFL 메이커들 또한 다른 광원들의 장점을 CCFL 내에서 구현하고, 자신만이 가지고 있는 기술로 주력광원으로서의 자리를 잃지 않기 위해 기술 개발이 더욱 빠르게 이루어져 가고 있다.

      • KCI등재후보

        압생트의 유행을 통해 본 19세기 프랑스 사회와 문화, 그리고 신화 되살리기

        김중현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2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9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se a long-lived fashion of absinthe in France in the late 19th century. For the high class, it is considered a symbol of their dignity, fined taste, success in life, riches, and cultured person not behind the fashion. In 1870s, it becomes ‘a national liquor’. Laborers and hard-pressed working-class indulge in absinthe to share difficulties with their friends. So, to them, it becomes a good friend comforting them, sharing a cruelty in life. The Industrial Revolution causes a big rise of female industrial workers. Women get opportunities to drink ‘modern liquor, absinthe’. And it gets an image of modern woman, free from the yoke like social customs; it becomes a sign of the emancipation of women. To symbolists pursuing the unknown and the ideal, absinthe is used to reach the destinations. So it is given a code of the source of artistic inspirations. In the late 20th century, absinthe is reproduced. The producers endeavor to create additional value for their business; for that, they adopt a method of resurrection of the absinthe myth. It is a strategy to reconfirm and consolidate the creative, intellectual image accorded to absinthe. 본 논문은 19세기 하반기 프랑스에서 크게 일었던 압생트의 유행이라는 문화적 현상의 원인 분석을 목표로 한다. 이 유행은 프랑스 사회 전반에 걸치지만, 계층별로 나눠 살펴본다. 압생트에 부여하고 공유하는 상징적 의미가 계층에 따라 다를 것이기 때문이다. 압생트는 가격이 비싸서 초기에는 부르주아들이 주로 마셨다. 파리의 고급 카페들에서 식민지에서 돌아온 장교들이 마시는 것을 보고 호기심과 이국취미에서 부르주아들도 따라 마시기 시작한다. 그것은 곧 부르주아들 사이에 확산되는데, 차츰 그들의 품위와 멋, 출세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이를테면 ‘녹색 요정’은 출세와 부, 시대에 뒤떨어지지 않은 교양인이라는 약호(略號)가 부여된다. 압생트는 차츰 가격이 하락하여, 1870년경에는 모든 계층이 마시는 ‘국민 술’이 된다. 싸구려 카페나 선술집 등에서 삶의 비참을 잊기 위해, 또는 그 비참에 대해 위로 받기 위해 사람들은 ‘녹색 요정’에 몸을 맡긴다. 산업혁명에 기인한 사회의 변혁은 특히 경제적으로 명암을 극명하게 갈라놓아 그 희생자들인 노동자나 서민계층에게 ‘녹색 요정’은 고된 인생을 함께 하며 심심한 위로를 아끼지 않는 따뜻한 친구 같은 존재로 기능한다. 산업혁명의 결실인 산업화는 산업노동자의 여성 비율을 크게 증가시킨다. 여성은 가사로부터 독립하여 남녀 직장 동료들과 어울리게 되면서, 알코올에 접할 기회가 많아진다. 그리하여 ‘모던한 술, 압생트’는 관습이라는 속박에서 해방된 자유로운 현대여성이라는 이미지가 부여되며, 여성해방의 상징이 된다. 물질주의와 부르주아적 순응주의를 거부한 ‘저주받은 시인들’과 퇴폐주의자들에게 압생트는 반항을 위한 도구가 된다. 미지, 이상, 무한을 추구하는 상징주의자들은 그 세계에 다다르기 위한 시도에 ‘녹색 뮤즈’의 도움을 받는다. 이처럼, 작가나 예술가들은 압생트에 창작에 필요한 영감의 원천이라는 약호를 부여한다. 20세기 후반, 압생트의 제조 금지 법령이 폐기됨에 따라 ‘녹색 부인’의 생산이 다시 가능해진다. 생산자들은 압생트 신화를 되살리기 위해 노력하는데, 압생트를 신화적인 술로 만드는 데 기여한 당시의 작가들을 활용한다. 이미 문학ㆍ예술사에서 신화적인 인물이 된 그 작가ㆍ예술가들의 이야기를 환기시키면서 압생트의 신화를 되살리려 한다.

      • KCI등재

        Philips ARGUS 감마카메라와 바늘구멍조준기를 이용한 소동물 SPECT 시스템의 개발 및 성능 평가

        김중현,이재성,김진수,정준기,정인순,김유경,이원우,김상은,이명철,이동수,이병일,김수미 대한핵의학회 2005 핵의학 분자영상 Vol.39 No.6

        목적: 임상용 Philips ARGUS 감마카메라와 특별 제작한 작은 구경의 바늘구멍조준기를 이용하여 animal SPECT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 시스템의 물리적인 성능을 평가하고 소동물 실험에 적합한지를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스텝 모터와 이를 제어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피사체 회전장치를 개발하였다. 작은 입구(0.5, 1.0, 2.0 mm)의 바늘구멍조준기를 제작하였고 평면 공간해상도, 민감도, 단층촬영해상도 등을 포함한 물리적 성능을 모든 입구 크기에 대해 실험하였다. 조준기 입구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사용 가능한 시야를 측정하기 위하여, 같은 간격만큼 떨어진 여러 선선원의 영상을 얻고 영상의 시야 내에서 보이는 선 영상의 개수를 이용하여 사용 가능한 시야를 측정하였다. 시야의 정중앙에 놓인 내경 0.5 mm, 길이 12 mm의 Tc-99m 선선원을 이용하여 거리에 따른 평면 공간 해상도를 측정하였다. 전체반값두께를 'mm' 단위로 얻기 위한 환산인자를 평면 영상에서의 두개의 서로 떨어진 선선원으로부터 계산하였다. 시스템 민감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내경 1.0 mm의 Tc-99m 점선원을 사용하였다. 또한 냉소반점 모형과 열소반점 모형, 그리고 [I-123] FP-CIT를 정맥내 주사한 흰쥐의 뇌 영상의 SPECT 영상을 얻었고 여과후역투사 방법으로 재구성하였다. 결과: 사용 가능한 시야의 크기는 조준기의 초점으로부터의 거리에 비례하였고 이들의 관계는 선형 함수로 근사되었다(y=1.4x+0.5). 3 cm에서 1.0 mm 조준기로 측정한 민감도와 평면해상도는 각각 71 cps/MBq과 1.24 mm이었다. 1.0 mm 바늘구멍조준기에 대하여 [I-123] FP-CIT를 이용한 흰쥐의 뇌 SPECT 영상에서 각 반구의 줄무늬체 도파민 전달체 분포가 잘 구분되어 보였다. 결론: Philips ARGUS 스캐너와 작은 구경의 바늘구멍조준기로 개발한 새로운 소동물 SPECT 시스템이 소동물 영상을 얻는데 충분한 성능을 가짐을 입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