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진영논리 속 ‘혐오 표현’에 대한 대응 방안 고찰: ‘양지(良知)’와 ‘양심(良心)’에 기반한 자존감을 중심으로

        김준승 인문예술학회 2022 인문과 예술 Vol.- No.13

        본 연구는 진영논리에서 발생하는 ‘혐오 표현’의 폐해를 살펴보고, 가해자와 피해자의 관점에서 그것을 극복할 수 있는 대응 방안으로서 ‘양지’와 ‘양심’에 기반한 자존감을 중심으로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각국에서 혐오 표현을 개선하기 위해서 처한 여건을 고려하여 그것을 규범화 또는 법제화하려는 시도를 신중하게 적용하며 보완해가는 중이다. 하지만 ‘혐오 범죄’와 ‘혐오 표현’을 동일시했을 때 그에 따른 표현의 자유를 침해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부분 또한 간과할 수 없다. 따라서 이에 대한 현실적 적용 부분에서 보이는 양가적 상황으로 인해, 가해자는 법의 간극을 이용해 ‘표현의 자유’와 ‘혐오 표현’의 사이에서 교묘히 빠져나가는 상황을 보인다. 우리는 사회에서 당위와 규율적인 부분만을 통해 인간의 삶의 방식을 근본으로 변화시키기에는 한계가 있기에, 그 변화를 타율적 요인과는 다른 관점에서 스스로 자존감을 체득하고 자각할 때 변화할 수 있는 가능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 자존감은 일반적인 자신감이나 자부심과는 다르며, 공심을 기준으로 한 왕수인의 ‘양지’와 프랭클의 ‘양심’과 연결하여 볼 수 있다. 이렇게 체득하여 자각한 자존감은 타자의 혐오 표현에 대응하여 주체적 존재로서 극복할 수 있는 요인이 될 뿐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타자에 대한 존중감을 가지고 혐오 표현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사회 문화와 관습을 이루는 데 이바지할 것이다.

      • The Effect of Container Shipping Supply Chain Integration on Operational Performance: The Mediating Role of Information Sharing

        김준승,박근식,Miao Su,노새연 한국무역학회 2023 Journal of Korea trade Vol.27 No.1

        Purpose – Conventional supply chains (SCs) must identify facilitating roles, such as port or terminal operators, shipping companies, and freight forwarders in executing the various logistical activities that support the organizational strategies of shippers. Meanwhile, supply chain collaborative practices can engender a willingness to share relevant and mutually helpful information. To this end,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the impact of supply chain integration (SCI) on information sharing (IS) and the operational performance (OP) of Korea’s container-shipping industry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capital. Design/methodology – We established the research model for this study based on previous studies. In administering the survey, we obtained 149 valid responses from employees working in liner-shipping companies and freight forwarders in Korea. With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the study’s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SPSS 26.0 and AMOS 26.0 Findings – The results indicate the existence of a mediated relationship where the impact of SCI on OP is mediated by IS. The effect of external integration (EI) on OP is fully mediated by information quality (IQ) and information-sharing content (ISC). Furthermore, EI, IQ and ISC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integration (II) and OP. Originality/value – This study expands SCI contexts, where ISC and IQ respectively serve as bridges between EI and OP which has crucial implications for container-shipping companies in terms of improving their performance.

      • KCI등재

        왕수인과 빅터 프랭클의 ‘나’에 대한 의미 비교 연구 - 양명학의 ‘양지’와 로고테라피의 ‘양심’을 중심으로 -

        김준승 한국양명학회 2023 陽明學 Vol.- No.68

        This study compared the meaning of ‘me’ focusing on the ideologies of Wang Shouren who established Yangmingism and Viktor Frankl who established Logotherapy. Wang Shouren and Viktor Frankl accessed through Yangji and Conscience, which are their own mediums respectively and showed differences. However, they have something in common in that the status of humans become an autonomous beings. In order to gain a thorough understanding of Yangmingism and Logotherapy, the following aspects are reviewed as part of the comparative study. First, it covers the definitions of Yangji and Conscience, the relationships with religious property, the instruction methods of Yangmingism and counseling techniques of Logotherapy. It also covers the investigation of things based on self-awareness, autonomous parts of humans, and the adjustment of objectivity. This is helpful to understand humans in modern times. The ideologies of Yangmingism and Viktor Frankl are not the same. However, both of them say humans are encouraged to lead autonomous life through self-awareness by the experience of existence, and are beings to live to maintain the dignity of qualitative value. These enable humans not only to return autonomously and actively from other-directed and oppressive aspects through the essence and values of ‘Me’, but also to make ethical choices that enhance the quality of oneself and keep the grace of personality in the moral blind spot of the social community that social laws and disciplines cannot reach.

      • KCI등재

        ‘혐오’ 극복을 위한 방법론적 고찰 − 치중화(致中和)를 통한 서(恕)를 중심으로 −

        김준승 동양철학연구회 2020 東洋哲學硏究 Vol.104 No.-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methodology for realizing the ‘harmony’ by examining and overcoming ‘hatred’ in the perspective of Zhi- Zhonghe. The hatred is an emotion derived from complex reasons, instead of a single reason. Even though the hatred is also working as a defense mechanism for protecting oneself, such social problems are generated by separating oneself from others like logics between camps, and the majority’s discrimination against minorities in modern society. The solution as a means by external intervention is not only difficult to apply to the reality, but also limited to become a fundamental solution. Thus, we need to realize the harmful effects of excessive hatred and hateful expressions in social community. In order to overcome hatred and also to achieve the harmony. there should be the approach through ‘benevolence’ focusing on the autonomous character and morality of each individual. For this, we should achieve the moderation by going through the filtering process for the objectivity of information, maintain the justice and objectivity not to be narrow-minded for collecting, utilizing, or inciting lots of information in real time, and perceive the fact that the recognition of others is not led to the decline of our self-esteem or denial of ourselves, but led to the expansion of ourselves. Once such things are fulfilled, we could move from the logic of camp based on a belief emphasizing only what we want to see, toward the logic of character that perceives situations and views character without ulterior motives. 이 논문의 목적은 혐오감에 대해 살펴봄과 동시에 ‘혐오’를 극복해 ‘화(和)’를 실현하는 방법론을 치중화(致中和)를 통한 서(恕)의 관점에서 고찰하는 데 있다. 혐오는 단순하게 한 가지 이유라고 말할 수 있는 감정이 아니다. 혐오가 나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방어기제로의 역할도 하지만, 현대 사회에서 진영 간의 논리, 다수에 의한 소수자 차별 등 자신과 타자를 구분함으로 인해 사회적 문제가 생긴다. 이에 대해 외부적인 개입에 의한 해결은 실제로 적용하기 힘들 뿐만 아니라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기 어렵다. 따라서 해결책을 찾는다면 자기 안에서 구해야 하며(求諸己) 사회 공동체에서의 과도한 혐오감과 혐오 표현(Hate Speech)의 폐해에 대한 자각이 필요하다. 혐오를 극복하고 화(和)를 이루기 위해 스스로 자율적 인성과 도덕성을 키워야 하는데, 이는 서(恕)를 통한 접근이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 우리는 정보의 객관성을 위한 필터링을 거치며 중(中)을 이루어야 하며, 실시간으로 접하는 많은 정보에 대해 공평성과 객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 나와 타자의 다름을 인정하는 것이 중(中)과 화(和)를 이루어내는 근본이 된다는 것을 인지해야 한다. 이런 것이 이루어졌을 때, 우리는 보고 싶은 것만을 강조하는 신념의 진영논리에서 사심 없이 상황을 인식하고 사람됨을 보는 공심(公心)의 논리로 나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 왕양명과 슈타이너의 교육론 비교

        김준승 한국양명학회 2016 한국양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6 No.11

        Today’s Education loses it’s original meaning that lies on ‘Education’ itself, and it has been used as a tool to achieve success. I looked into WangYangmyung’s philosophy of Education to find out alternative way of education, and compared with Waldorf Education which is one of alternative educations. Wangyangmyung and Steiner maintain all Human being who has subjectivity is precious. They also talked about Philosophy of Education based on their own theory which are Yangjiron and Antrophosophy(12senses) Wang’s purpose of education is training Jihaenghapil, and Steiner’s is training human who strives the State oriented. They have same opinion for education not as a tool for the future but as a tool for this moment. The role of teacher is the most important part for The best education. Teacher can watch children’t health growing and take the roll of director to complete Healthy education. I hope Wang and Steiner’s philosophy of Education can help to overcome our current problems in education.

      • KCI등재

        아동기 체험의 기억으로 본 윤리적 인격 형성과 교육의 역할 - 왕양명과 슈타이너의 교육론을 중심으로 -

        김준승(金俊承) 한국양명학회 2021 陽明學 Vol.- No.62

        본 논문의 목적은 아동기 체험을 통한 기억이 사회공동체로서 책임감 있는 윤리적 인격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는 것이다. 또한 그러기 위해 효율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교육의 역할을 ‘긍정적 기억 심어주기’의 관점에서 왕양명과 슈타이너의 교육론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데 있다. 우리는 기억과 자신의 본질을 동일시하려는 경향이 있으며, 서로가 동일한 경험이나 사건 속에서도 다른 기억을 가질 수 있고, 기억은 사실로서의 의미뿐만 아니라 감정 혹은 감각과 온몸을 통해 반응하고 강화된다. 기억은 살아가는 데 있어 꼭 필요한 도구나 토대가 되기도 하지만, 때로는 본인을 괴롭히며 혼란으로 밀어 넣는 장애 요인이 되기도 한다. 이런 부분에서 기억의 특징에 입각한 아동의 본질을 이해한 교육 방법은 가치가 있다. 아동기의 체험과 이를 바탕으로 한 기억은 나중에 성인이 되어 갖게 되는 인격 형성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며, 특히 그 과정에서 자신을 사랑하고 존중하는 인간으로 성장하는 힘을 갖게 되는 요인이 된다. 이는 사회 공동체에서 책임의식을 느끼며 조화롭게 살아가는 것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긍정적이고 진솔하고 존중받는 기억을 가진 아이들은 내면의 힘을 가질 수 있고, 후에 어른이 됐을 때 주어진 상황에 개인적 이해득실에 따른 상황에서도 의연히 윤리적 기준에 바른 선택을 할 수 있는 용기와 자존감이 있기 때문이다. The study aims to consider the effects of memory in early childhood experiences on the formation of responsible ethical personality being a part of a social community. In addition, for the role of education to be performed effectively, this study will focus on the educational theory of Wang Yangming and Steiner from the perspective of ‘instilling positive memories.’ We tend to consider our memories with ourselves as same. Even if we face the same experiences and events, we can have different memories. We not only remember the facts but also the memories from the entire body and emotions. Memories are an essential tool or foundation in our life but at times, they can be an obstacle that leads to confusion. In this regard, an educational method that understands the nature of children based on their characteristics is well worth it. It can be seen as an important period that influences the personality formation with early childhood experiences and memories from such. It also becomes the strength to naturally love oneself and to develop self-esteem. This is closely related to living in harmony with a sense of responsibility in a social community. It is because children with positive, genuine, and respected memories can have inner strength and, when they become adults, they have the courage and self-esteem to make the right choices bravely even in the circumstances based on the personal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 KCI등재

        왕양명 치양지론 분석 - 감정과 욕구와 경지 체험의 관점에서 -

        김준승(金俊承) 한국양명학회 2020 陽明學 Vol.0 No.56

        왕양명 사상의 핵심은 실천 철학으로서, 논리적 규명에 의한 지(知)가 아니라 체험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이 세계는 각자 체험과 체득을 기반으로 한 ‘나’에 의해 재해석 되고 의미가 부여되는 것이다. 따라서 그의 양지론에서 양지의 발현은 지식적인 앎으로만 지속할 수 없으며, 각자가 직접 경지를 느끼고 체험을 통한 자각으로 지속할 수 있다. 이런 체험과 체득의 공부는 지금 자신 앞에 주어진 일을 통해 양지를 발현하며 연마해가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곧 각자에게 직면한 모든 사태(事態)에 대한 반응에서 사심 없이 양지의 덕성을 발현해가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 요구되는 것이 중화(中和)이며, 이것은 자신의 덕성지를 통한 마음의 공부와 연결된다. 왕양명의 치양지론에서 지속적인 양지의 실현을 방법론적으로 분석하면 먼저 양지를 실현하겠다는 의지를 내고, 그 의지를 지속적으로 밀고 나가며 자신의 감정과 욕구에 대해 관조하며 중절을 지키고, 그 중절을 잃지 않는 마음의 상태를 가지고 접한 사태 속에서 조리에 맞는 바른 실천을 행한다. 물론 이 모든 과정은 이론상의 단계 구분이며 실제의 사태에서는 거의 동시적으로 일어난다. 왕양명의 사상에서 치양지를 한다는 것은 결국 각자의 역량에 맞게 이루어지는데, 이것이 안정되기 위해서는 평시에 자신의 마음의 역량 구현 정도의 질을 높여야 한다. 양명학에서 가장 확실한 것은 바로 자신의 양지를 실현했을 때 갖는 체득이다. 이것은 단순 경험이 아닌 체득으로 이어지는 경험을 말하며, 그것을 통해 자겸(自慊)과 진실된 즐거움[眞樂]의 체험은 지속적인 양지 발현에 도움을 준다. The heart of Wang Yang Ming theory is practical philosophy, which consists not only of the knowledge(知) acquired through logical investigation, but also of the experience; that is, the world is reinterpreted and given its meaning through “oneself”, with individual experiences and learning as the basis. As such, the occurrence of “YangJi(良知)” in his “YangJi” theory can be continued only through the self-consciousness gained by direct individual experiences, not through the knowledge only. Such study of experiences and learning indicates the cultivation of oneself with the revelation of “YangJi” through the tasks given to each individual. This, in other words, refers to the revelation of the virtue of “YangJi” with no ulterior motive, in the response towards every state(事態) being faced by each individual. Neutralization(中和) is what is required to achieve such ends, which can be connected with the study of one’s mind through one’s moral character. To methodologically analyze the continuous realization of “YangJi(良知)” in the theory of “ChiYangJi(致良知)” of Wang Yang Ming, one should first produce the will to realize “YangJi”, keep carrying on the will while observing the discontinuance of one’s feelings and desire through contemplation, then act on the righteous behaviors according to one’s logic with the state of mind that keeps the spirit of discontinuance. Such processes are of course divided theoretically, and occur almost simultaneously in actual situations. Practicing “ChiYangJi(致良知)” in Wang Yang Ming’s theory is eventually accomplished according to the individual capacity, and as such, one should heighten the quality of the realization of one’s capacity of mind to stabilize one’s accomplishment. What is the most definite in the study of Wang Yang Ming is the learning experience acquired when having accomplished one’s “YangJi(良知)”. This refers to not just simple experiences but to the experiences that lead to learning, and the experience of JaGyeonm(自慊) and true pleasure(眞樂) gained through such learning shall help with the continuous occurrence of “YangJi”.

      • KCI등재

        왕양명 아동교육관의 지행합일

        김준승(Kim, Jun-Seung) 한국양명학회 2015 陽明學 Vol.0 No.42

        기존의 교육에 대한 대안을 찾는 방법으로 왕양명의 아동 교육관을 살펴보며 그 교육관의 보다 나은 이해와 적용의 가능성을 서양의 루돌프 슈타이너 사상과의 비교를 통해 알아보았다. 왕양명의 교육의 목표는 지행합일의 인간을 양성하는 것이고 슈타이너의 교육의 목표는 인간의 나아지는 상태를 지향하는 것이다. 두 사람은 미래를 위한, 결과 중심의 교육이 아닌 지금 이 순간부터 변화를 주는 교육이어야 한다는 점에서 같은 의견을 보이고 있다. 그러한 지행합일과 상태의 변화를 위한 교육의 방법으로 학생들은 교사와의 소통과 공감 속에서 즐겁고 예술적으로 상상력을 키우며 몸을 움직이면서 배워 나간다. 또 이러한 교육의 실행의 주체는 교사이다. 교사는 여러 아이들이 교육받는 모습을 지켜봐주는 역할을 하며, 실제 교육이 잘 이루어지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방식이 오늘날 우리의 교육 현실에 돌파구에 매개의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 본다. I studied the philosophy of education in Yangmingism as the method of seeking the answer for the current education problems and I also studied Rudolf Steiner’s philosophy of education and find out similarity between Yangmingism and steiner’s philosophy to have better understanding of philosophy of education in Yangmingism and find out the possibility of practical use of it’s theory in the modern school system. Jihanghapil is the purpose of education in Yangmingism and directing to better condition is the purpose of Steiner’s education. Both of them have same opinion that education should start from here and now instead of preparing only for the future.. Yangmingism suggested 1) with joy 2) artistic 3) with body movement as the method of education. Steiner suggested 1) with joy 2) with compathy and communication 3) artistic 4) with imagination 5) with body movement . The main part of education is the teacher. Yangmingism and Steiner suggested 1) imagination 2) sense of truth 3) responsibility as the requirement for the teacher.

      • KCI등재

        왕양명 사상에 나타난 인간의 잠재력

        김준승 ( Jun Seung Kim ) 동양철학연구회 2015 東洋哲學硏究 Vol.82 No.-

        왕양명은 인간은 모두 양지를 가지고 있으며 그것이 모두가 이미 성인이라는 사상을 펼쳤다. 다만 그 발현정도가 다를 뿐이라는 것이다. 그것은 인간은 이미 자신의 바탕에 성인이 될 잠재력을 가지고 태어났다는 의미로 신분에 상관없이 모든 인간이 가진 가치를 높이 올려준 사상이다. 그러나 그 발현 정도는 다르다는 것이 우리 인간의 한계임도 역시보여 준다. 이에 대하여 필자는 왕양명의 사상에서 나타나는 우리 인간이 가진 잠재력을 확인하고자 한다. 우리가 어떠한 능력을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또한 우리가 우리의 능력을 얼마만큼 발휘하며 사는지, 또한 발휘하지 못하는지를 돌아보는 계기가 될 것이다. 인간의 잠재력을 살펴봄에 있어서 필자는 세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첫째는 인간이 가진 지적인 능력이다. 우리는 이미 알고 있다는 왕양명의 언급들을 살펴봄으로 인간이 이미 알고 있는 것은 과연 무엇인지 살펴볼 것이다. 둘째로 인간이 가진 소통의 능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물질이 풍부해 짐에도 점점 덜 행복해지는 가장 큰 이유는 인간이 사회적동물이고 그 사회적 인간관계가 쉽지 않음을 보여 준다. 왕양명이 생각하는 인간의 소통능력을 살펴봄으로 인간관계의 개선의 가능성을 돌아보는 계기가 되고자한다. 셋째로 인간의 개선하고자 하는 능력에 대하여 살펴볼 것이다. 인간은 자신이 가진 양지를 발현하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고 있으며 세세한 방법으로 어떤 노력들이 필요한지 살펴봄으로 양지 발현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러한 고찰들을 통해 인간의 존엄성을 다시 확인하고 인간 경시의 문화 풍조에 되돌아 볼 필요가 있다. 모든 사람이 나와 너가 아닌 우리임을 인식하고 행동한다면, 이 사회는 좀 더 조화롭게 발전할 것이다. Today, we are filling out our life with busy daily routine. Human has developed science and looks like having better life but also having controlled life by big amount of work. The more Human has the material the more Human lose it``s value. Now Human has reached to the point of confusing for the original purpose of material. Wang Yangming mentioned all human being has Yangji as the ability to be saint from the birth. But there could be difference depends on expression of each human being. That philosophy raise up the value of each human being no matter high or low in social level. At the same time it explains the limit of expression for human being``s potentiality. based on above I like to confirm the potentiality of human being by looking for philosophy of Wang Yangming. If we understand what we have, we can also understand what we don``t have. so we see clearly for the unfolding ability of human being. The first, I like to look into the ability of Knowledge. The second, the understandable human being. The third, the ability of The ability of improvement. Through these studying, I like to confirm the value of Human being and also take time to reflect for ignoring human being and it``s ability that is called Yangji. If all human being lives with consciousness that we are not seperated but expend as one, we can make harmonized life and develope it``s quality.

      • KCI등재

        왕수인 치양지(致良知) 사상에서 본 ‘아동 교육론’ : ‘선천적 앎’에서 ‘체인(體認)된 앎’으로

        김준승(Kim, Jun-Seung)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20 敎育思想硏究 Vol.34 No.2

        본 논문의 목적은 치양지(致良知) 사상을 고찰하여, 아동 교육론에서 인간에게 품부된 양지가 각자의 경험과 실천 속에 성장하며 궁극적으로 ‘체인(體認)된 앎’에 이르는 과정을 연구하는 데 있다. 왕수인의 양지론은 모든 사람에게 가치를 부여하며 가능성을 만들어 주었다. 그 양지는 모든 이들에게 획일성이 아닌 자신의 주체성을 심어주며 성인의 개념을 넓혀 놓았다. 왕수인이 말하는 세계는 바로 실천 철학으로서 자신이 마음과 몸(心身)을 통해 경험한 것을 스스로 해석하는 주관의 세계이기에 체인은 양지의 지극한 실천을 통해 실현되며, 그것은 주위 환경을 고려한 객관자를 포함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인간의 삶에서 중요한 시기에 이루어지는 아동 교육은 어떠한 경험과 체득의 방식으로 이루어지는지가 중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첫째, 왕수인의 사상에 등장하는 ‘지’ 개념을 분석해보고, 왕수인이 양지를 있는 그대로 완벽하다고 한 부분과 치양지를 언급한 부분을 살펴보았으며, 둘째, 왕수인의 아동 교육론에서 체인 위주의 수업을 통해 주체적 자율적 능동적인 존재로서 양지를 실현하는 것을 살펴보았으며, 셋째, 아동 교육론 속에 아이들의 양지의 실현[致良知]의 장(場)을 적극적으로 만들기 위한 환경과 교사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ntemplate about the thought of Chiyangzhi (致良知) to study about the process in the child education theory, in which the innate “Liangzhi (良知, innate knowledge of the good)” is nurtured through an individual’s experiences and practices to eventually reach the state of “Ti-ren (體認, learned knowledge)”. The theory of Liangzhi by Wang Yangming granted value to each and every person and created possibilities. The theory of Liangzhi (良知) broadened the notion of adulthood by instilling everyone, not with uniformity, but rather with their own independence. As the world that Wang Yangming refers to is the world of subjectivity, in which one interprets one’s own experiences gained through one’s mind and body (心身) as a part of the philosophy of practice. “Ti-ren (體認)” is realized through the utmost practice, and the realization comes in a way that includes the objective in consideration of the surroundings. It is important to consider what kind of experiences and methods of learning compose the child education, as it takes place in one of the crucial periods of one’s life. Therefore, this study has focused on three aspects: First, the study analyzed the notion of “Zhi (知)” in Wang Yangming’s ideas and examined where he referred to “Liangzhi (良知) as being perfect as it is” and where “Chiyangzhi (致良知)” have been mentioned; Second, in the child education theory proposed by Wang Yangming, the study examined the learners’ realization of Liangzhi (良知) as the independent, autonomous, and active beings through the lessons centered around “Ti-ren (體認)”; Finally, in the child education theory, the study looked at the environment and educators’ roles for the active creation of the place (場) for the children’s realization of Liangzhi (良知), in other words, Chiyangzhi (致良知).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