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Q방법론을 활용한 심리상담사의 소진에 대한 주관성 연구

        김좌겸(Kim, Jwa Gyeom),이상희(Lee, Sang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심리상담사의 소진 요인과 그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심리상담사의 소진관리 전략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Q방법론을 활용하여 2020 년 9월 19일부터 9월 24일까지 6일간 문헌분석과 심층면담을 통해 40개의 진술문을 도출했으며, 심리상담사 25명을 P표본으로 선정하여 Q분류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QUANL Program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심리상담사의 소진은 4 개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유형 1은 ‘자신의 내부요인에 의해 소진을 경험하는 자기 돌봄 상실형’, 유형 2는 ‘전문가로서 한계를 마주할 때 소진을 경험하는 전문성 한계 경험형’, 유형 3은 ‘부정적 피드백으로 소진을 경험하는 지지 부족형’, 유형 4는 ‘타인 과의 관계에서 소진을 경험하는 관계중심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심리상담사의 소진 요인이 다양함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심리 상담사들의 소진에 초점을 맞추어 심리상담사의 주관적 인식구조를 분류하여 확인 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burnout strategies of psychological counselors by comparing the subjective characteristics and the characteristics of burnout of psychological counselor. Through literature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s, 40 statements were derived, and Q classification was conducted by selecting 25 psychological counselors as P samples. The obtain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a pc-QUANAL program.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dentified 4 types of the attitudes toward burnout among the psychological counselors and named by researcher. Type I is ‘difficulty of self-care’, type II is ‘limit of professionalism’, type III is ‘lack of support’, and type IV is ‘Relationship’.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useful basic data for strengthening professionalism in counseling and self-care before psychological counselors experience burnout.

      • KCI등재

        국내 부모-아동 상호작용치료 연구 동향(1991-2020)

        김좌겸(Kim, Jwa Gyeom),이상희(Lee, Sang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3

        목적 본 연구는 국내 부모-아동 상호작용치료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부모-아동 상호작용치료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학문적 발전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1991년부터 2020년까지 발표된 국내 석사학위 논문 4편, 박사학위 논문 4편과 국내 학술지 13편을 합하여 총 21편의 부모-아동 상호작용치료 관련 논문을 대상으로 연도, 연구 대상, 연구 방법, 연구 회기의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빈도분석 결과 연도별 연구 동향은 2018, 2019년도에 연구가 가장 많이 발표되었고, 연구 대상과 그 특성은 유아-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며, 문제행동 특성을 보이는 대상이 가장 많았다. 연구 방법으로는 양적 연구가 가장 많이 진행되었으며, 개입 회기는 9~16회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국내의 부모-아동 상호작용치료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기존 연구 경향에서 보다 다각적인 연구 방향을 모색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search treds in Parent-Child Interaction Therapy in South Korea. Methods Thus we analyzed 21 Korean research papers published between 1991 and 2020. We grouped our reseults into four categories using the research trend analysis method. Results Those categories were research year, age, type of disability, methos, and type of intervention sessions. As a result of analyzing researches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were published in 2018 and 2019. The researches mostly aimed to behavior problems children, aged 3-7, and their mothers. In addition as a research method, quant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the most, and the most intervention session were 9 to 16 sessions. Conclusions The results reveal the current status and limitations of PCIT research. These als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PCIT and researchers.

      • KCI등재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언어적 학대와 우울 간의 관계: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좌겸(Kim, Jwa Gyeom),장석진(Chang, Seok-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언어적 학대와 우울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2018년 4월 2일부터 5월 4일까지 설문을 진행하였다. 312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이 중 260부가 회수되었으며, 불성실한 응답지 24부를 제외한총 236부를 자료 분석에 이용하였으며, 기술통계량 및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조절 효과를 검증하고자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언어적 학대와 우울간의 관계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모의 언어적 학대와 회복탄력성, 우울과 회복탄력성과의 관계에서는 유의 미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의 언어적 학대 경험이 많을수록 중학생이 경험하는 우울감은 높고 회복탄력성은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언어적 학대와 우울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은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회복탄력성이 낮은 집단은 언어적 학대를 경험할 때 높은 우울을 보였으나, 회복탄력성이 높은 집단에서는 언어적 학대 경험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이 조절변수로 작용해 우울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토대로 부모의 언어적 학대로 우울을 경험하는 청소년들의 보다 적응적인 일상생활을 돕기 위한 실천적 개입 방안에 기초적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IoT기반 실시간 기상관측 시스템

        김정수 ( Jung-su Kim ),이다정 ( Da-jeong Lee ),김좌겸 ( Jwa-gyeom Kim ),신창선 ( Chang-sun Shin ),박장우 ( Jang-woo Park ),조용윤 ( Young-yoon Cho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3 No.1

        최근 IoT 기술의 발전함에 따라, 사용자들은 스마트폰을 통해 각종 전자 기기를 관리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실외의 다양한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객관적인 판단을 할 수 있는 IoT 기반 실시간 기상관측 시스템을 소개한다. 본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는 내부에서 실외의 환경을 알 수 있어 오늘의 기상정보를 알 수 있도록 한다. 향후 다양한 환경정보 및 정밀한 센서를 사용하여 각 가정 및 농업분야에 보급되면 기상청에서도 보다 세밀하고 많은 데이터를 얻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