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디지털시대 인문학의 새 방법론으로서의 전자문화지도

        김종혁 한국국학진흥원 2008 국학연구 Vol.12 No.-

        This paper, titled “The Digitalized Cultural Atlas,” has three dimensions: the Choson Dynasty(1392~1910) as time, the Korean peninsula as space, and culture as a theme. The term “culture,” however, cannot be simply defined because it encompasses everything related to human life, including even the natural environment, among others. For this reason, “cultural information” will be confined to geographical names shown in traditional and modern atlases. With the organization of a variety of materials produced in the premodern period, this digitalized cultural atlas is expected to lay a solid foundation for the fields of Korean studies and humanities and contribut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both the premodern-modern transition as well as Korean modernity. This paper also examines to what extent the cartography of this digitalized cultural atlas can be a useful method for the research on the cultural phenomena of Choson society. 본고에서 언급하는 전자문화지도는 조선시대라는 시간값과, 한반도라는 공간값, 그리고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한 조선시대의 문화정보라는 주제값을 갖는다. 사실 문화정보라는 것은 자연환경까지를 포함한 전체집합적 성격을 띠기 때문에 아직은 대상이 한정적일 수밖에 없다. 본고에서는 주로 고지도와 근대지도에 수록된 지명을 사례로 기술하였다.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는 전근대 자료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점에서 한국학 또는 한국 인문학의 토대를 더욱 공고히 해줄 것이며, 한국 근대의 이행과 근대성을 이해하는 데에도 직접적으로 공헌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방대한 자료를 텍스트와 함께 지도로 재구성한 전자문화지도가 조선시대 문화현상을 연구하는 인문학의 새로운 방법론으로 기능할 수 있는지를 조심스럽게 묻는다.

      • KCI등재

        온-오프라인 매장 간 의류 제품 할인율에 따른고객 수요의 가격 탄력성 연구

        김종혁,황보현우 국제e-비즈니스학회 2017 e-비즈니스 연구 Vol.18 No.5

        This study measured price elasticity and consumer sensitivity through on and off-line sales performance of do mestic fashion companies and comp ared the significance between on and off-line channels by seasonal stage, price level, and sales performance. F 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by the seasonal stages, onli ne sales showed a large demand sen sitivity to price discounts after the mid dle of promotions, whereas off-line sh owed the greatest effect at the begin ning. Second, considering the effect of price level, sensitivity of price disc ount is high in online sales at low pric es and offline at high prices. Finally, in terms of sensitivity to sales perfor mance, the online market did not catch up with market conditions, but offline sales were relatively sensitive to the boom period. In addition, the results of sensitivity analysis by discount cat egory show that online sales are the most profitable in the middle and late of the season and 30% in low price items, while offline sales are the most effective at the early stage of the sea son and at the 20% discount of expe nsive products. This study practically suggests a compound price elasticity and derives a discount sensitivity inte rval, and has an academic contribution that creates an optimal discount rate algorithm. 본 연구는 국내 패션 기업의 온-오프라인 판매 실적을 통해 수요의 가격 탄력성을 측정하여 소비자 민감도를 도출하였으며, 여기에 시즌별, 가격대별, 판매율별 영향을 두 채널 간 통계적 유의성을 고려하여 비교하였다. 먼저 요인별 분석 결과에 의하면, 시즌별로 온라인 판매의 경우, 프로모션 기간 중 대략 중반 이후에가격 할인에 대한 수요 민감도가 크게 나타난 반면, 오프라인의 경우 초기에 그 효과가 극대화됨을 알 수있었다. 가격대별 효과에 있어서는 온라인 판매의 경우 낮은 가격대에서 오프라인의 경우는 고가의 가격대에서 가격 할인에 대한 민감도가 크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판매량에 대한 민감도는 온라인의 경우 크게시황을 타지 않는 모습을 보였으나, 오프라인의 경우 호조기에 상대적으로 민감도가 크게 나타났다. 더불어, 할인대별 민감도 분석의 결과는 온라인 판매는 시즌의 중후반 저가 물품에 대한 30% 수준의 할인을 시행할때 가장 큰 수익을 보장받을 수 있는 반면, 오프라인 판매의 경우 시즌 초반 고가 제품에 대한 20% 할인율을적용할 때 가장 큰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의류 기업의 오랜 기간에 걸친 대용량영업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증 분석을 시행함으로써 다양한 정책에 활용할 수 있도록 실증적 기여를 한 것뿐만아니라, 단순히 하나의 요소에 대한 가격타력성이 아닌 여러 요소를 조합하여 복합적인 수요의 가격탄력성을제시하고 이를 통해 최적 민감도 구간을 도출했다는 점에서 학문적인 기여 또한 상당하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한・미 금리 동조화 현상과 금융안정

        김종혁 예금보험공사 2020 金融安定硏究 Vol.21 No.1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interest rate co-movement of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n the financial stability conditions in South Korea. To answer the question, the paper preliminarily studies the effect of Federal funds rates on Taylor-type policy rates of South Korea. The paper also addresses the recently strengthening co-movements of short-term and long-term market rates between two countries. Based on these preliminary empirical findings, the paper studies strong correlations between the international interest transmission channel and the financial stability in South Korea. An increase in the differential between two policy rates, which means a less correlation in the interest rates, exacerbates domestic financial stability index estimated by credit-to-GDP gap while it ameliorates external financial stability index which is measured by short-term external debt-to-foreign reserve gap. This results means that an increase in Korean policy rate associated with the Federal funds rate stabilizes the internal financial stability, while it worsens the external financial stability. This trade-off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financial volatilities suggests that the policy rates co-movement can decrease the possibility of sudden foreign capital outflows, while it can create an unexpected increase in the borrowing cost for foreign financing. 본 논문은 2003년부터 2018년까지 분기별 자료를 이용하여 테일러 준칙(Taylor rule)을 가정한 한국 기준금리 및 장・단기 시장금리 수준이 미국 금리변화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받는지 확인하고, E-GARCH 모형과 2단계 최소자승법 모형을 이용하여 미국 금리 변화에 영향을 받아 변화하는 국내 금리수준이 국내 금융안정지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의 기준금리와 장기금리는 2003년 이후 미국 기준금리 및 장기금리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정(+)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과 미국 간 기준금리차가 확대될수록 국내 금융변동성을 나타내는 신용/GDP 갭 지표가 상승하는 반면 대외부문 금융변동성을 나타내는 단기외채/외환보유액 갭 지표는 하락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대내・외 금융안정성 간 상충관계는 한・미 기준금리 간 격차가 일정 수준 이상 증가하지 않음으로 인해 해외자본 유출입 변동성을 완화시켜 국내금융 불안정 요인을 차단하는 효과와 예기치 않은 조달비용의 변화로 인해 대외채무 변동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공존하여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대내・외 금융안정 측면의 상충관계는 통화정책과 거시건전성 정책 간 긴밀한 정책공조 및 협력을 통해 완화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트랜스포머 알고리즘을 활용한 탄소나노튜브와 플라이애시 혼입 시멘트 복합재료의 압저항 특성 분석

        김종혁,방진호,전해민,Jonghyeok Kim,Jinho Bang,Haemin Jeon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23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36 No.6

        본 논문에서는 시멘트에 탄소나노튜브를 혼입하여 전기 전도성을 향상시킨 복합재료의 압저항 특성을 딥러닝 기반 트랜스포머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훈련 데이터 확보를 위한 실험수행을 병행하였으며, 기존 연구문헌을 참조하여 배합설정, 시편제작, 화학조성 분석, 압저항 성능측정 실험을 수행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탄소나노튜브 혼입 시편뿐 아니라 플라이애시를 바인더 대비 50% 대체한 시편에 대한 제작 및 성능평가를 함께 수행하여, 전도성 시멘트 복합재료의 압저항 특성 향상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실험결과, 플라이애시 대체 바인더의 경우 보다 안정적인 압저항 특성결과가 관찰되었으며, 측정된 데이터의 80%를 이용하여 트랜스포머 모델을 훈련시키고 나머지 20%를 통해 검증하였다. 해석 결과는 실험적 측정과 대체로 부합하였으며, 평균 절대 오차 및 평균 제곱근 오차는 각각 0.069~0.074와 0.124~0.132을 나타내었다. In this study, the piezoresistive properties of cementitious composites enhanced with carbon nanotubes for improved electrical conductivity were analyzed using a deep learning-based transformer algorithm. Experimental execution was performed in parallel for acquisition of training data. Previous studies on mixture design, specimen fabrication, chemical composition analysis, and piezoresistive performance testing are also reviewed in this paper. Notably, specimens in which fly ash substituted 50% of the binder material were fabricated and evaluated in this study, in addition to carbon nanotube-infused specimens, thereby exploring the potential enhancement of piezoresistive characteristics in conductive cementitious material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more stable piezoresistive responses in specimens with fly-ash substituted binder. The transformer model was trained using 80% of the gathered data, with the remaining 20% employed for validation. The analytical outcomes were generally consistent with empirical measurements, yielding an average absolute error and root mean square error between 0.069 to 0.074 and 0.124 to 0.132, respectively.

      • KCI등재

        복강경수술 후 악성으로 확인된 난소종양에 관한 연구

        김종혁,목정은,김용만,김영탁,남주현,강병문,나준희,이성한,오혜은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3

        저자 등은 1996년 1월부터 1997년 8월까지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산부인과에서 자궁부속기 종괴로 복강경수술을 시행 받은 총 281예 중 난소암으로 판정된 7예를 대상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환자들의 연령 범위는 25세에서 47세까지이었고 평균 출산력은 1.1±0.2[mean±S.D.]이었으며 이들은 모두 폐경전 상태였다. 2. 초음파검사로 측정된 난소종양의 평균 최대 직경은 11.7 cm[범위: 5∼40 cm]이었고 형태학적으로는 대부분이 고형 성분이나 중격을 부분적으로 포함한 낭종이었다. 3. 수술 전 혈청 종양표지물질 CA 125는 5예에서 측정, 확인되었는데 이들의 범위는 4.2에서 721 U/ml 이었고 수술 당일 시행한 경우에서는 각각 1290 U/ ml 및 297 U/ml의 수치를 보였다. 4. 이들에서 복강 세척액 세포진검사는 2예에서만 시행되었는데 모두 음성이었고 동결절편검사상 결과가 양성으로 진단되었던 경우도 2예가 있었다. 5. 복강경 처치시 시행된 수술은 6예에서 난관난 소절제술, 1예에서는 난소낭종절제술이었다. 6. FIGO 병기는 전체 환자의 57%[4예]가 Ia기였으며 Ic, Ⅱa 및 Ⅲa기가 각각 1예씩 있었다. 7. 항암화학요법은 5예에서 시행되었으며 여기에는 Ia 기 3예를 포함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난소종양의 복강경적 처치시 수술 전 보다 체계적인 초음파 소견의 분석과 철저한 종양표지물질의 측정이 환자의 선별에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동시에 수술중 동결절편검사를 시행함으로써 시행 가능했던 부적절한 처치를 방지할 수 있었음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몇몇의 Ia 기 환자에서 복강경에 의한 수술적 처치에 관한 안정성을 확신할 수 없었으므로 항암화학요법을 부수적으로 시행하게 된 것은 또 다른 문제점이라고 볼 수 있다. 복강경수술은 개복술에 비해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이러한 술기를 악성의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는 난소종양의 처치에 적용하는 데 있어서는 이러한 술기의 효용성과 안정성이 확립을 위해 보다 많은 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전향적이고 다변량 분석에 의거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The use of operative laparoscopy for the management of adnexal mass has increased dramatically with rapid evolution in technology and improved surgical skills in the last few years. Of particular concern is the laparoscopic excision of ovarian neoplasms proven to be malignant during or after laparoscopic surgery. The proper selection of patients is utmost important before laparoscopic surgery, and it has been possible in some aspects with an aid of high-resolution ultrasonography, color Doppler assessment and various serum tumor markers such as CA 125. Indeed, the incidence of encountering unexpected malignancies has been reported to be very low. The potential problems in these cases include inadequate patient preparation, inappropriate surgical procedures, incomplete surgical staging, delay in definite therapy and worsening prognosis by spillage of tumor cells. We analysed our experience of 7 cases of ovarian cancer diagnosed during or after laparoscopic surgery, and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1. The range of the patients` age was from 25 to 47 years with the average parity of 1.1±0.2 [mean±S. D.]. 2. The mean maximal diameter of the tumors measured by ultrasonography was 11.7 cm [range: 5∼40 cm] and the most of the tumors were semisolid nature containing partly solid area or septa. 3. The preoperative serum CA 125 was checked in 5 cases, and the range was from 4.2 to 721 U/ml. 4. Washing cytologic examination was performed in only 2 cases and showed no malignant cell in both. Frozen section was performed in 6 cases, and 2 cases of malignancy were falsely diagnosed as benign tumors. 5. Management at the time of the initial laparoscopic procedure were unilateral salpingoophorectomy[6 cases] and ovarian cystectomy[1 case]. Laparotomy was performed immediately in 2 cases and after 7 days in 1 case. 6. 57 % [4 cases] of the patients had stage Ia disease and the others had stage Ic, IIc and IIIa diseases. 7. Postoperative chemotherapy was performed in 5 cases including 3 cases of stage Ia diseases. In conclusion, the strict selection criteria using sonographic findings and serum tumor markers and the liberal frozen section should be applied in the laparoscopic management of ovarian tumor. Well-designed prospective study should be performed to evaluate the safety and efficacy of laparoscopic management of ovarian cancer.

      • KCI등재

        상피성 난소암과 그의 전구 병변으로서 양성 및 경계성 난소종양의 관계에 관한 분자 유전학적 연구

        김종혁,남주현,김용만,목정은,강순범,김영탁,허주령,박건구 대한산부인과학회 200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3 No.12

        연구목적 : 본 연구는 난소암 환자의 악성 조직 주위에 존재하는 조직학적 양성, 경계성 병변 및 악성 병변을 미세 절제기법으로 분리, 이 조직에서 각각의 DNA를 추출하여 p53 종양억제 유전자의 변이 및 군상 분석을 실시하여 양성 및 경계성 난소 종양이 난소암의 전구 병변으로서의 잠재적 역할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모두 15예의 원발성 상피성 난소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해당 파라핀 포매조직을 eosin으로 염색하고 xylene으로 탈파라핀화한 다음, 100배 시야의 현미경하에서 미세절제기를 이용하여 각각 500개 이상의 양성, 경계성 및 악성 세포를 절제하고 proteinase K를 처리하여 각각의 DNA를 추출하였다. p53 종양 억제 유전자의 변이를 직접 염기서열 분석법으로 확인하였으며 군상 분석은 X-염색체상의 androgen-receptor(AR) 유전자내의 polymorphic trinucleotide(CAG) repeat의 heterozygosity를 이용하였고 methylation-sensitive restriction endonuclease Hhal을 처리한 다음 PCR을 하여 clonality를 판독하였다. 결과 : 대상 환자 15예 모두에서 양성, 경계성 및 악성 병변을 찾을 수 있었으며 모두 성공적으로 미세 절제를 할 수 있었다. 염기 서열 분석이 이루어진 모든 양성 및 경계성 병변에서는 p53 유전자의 변이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15예의 악성 병변중 6예(40.0%)에서 3예의 염기 치환 변이(base substitution mutation) 및 3예의 염기 삽입 변이(insertional mutation)가 확인되었다. 군상 분석에서는 양성 병변의 경우 1예에서만 단일 군상임이 확인되었고 나머지는 모두 복합 군상 이었으며, 경계성 병변은 15예 모두 복합 군상으로 나타났다. 반면 악성 병변은 5예(33.3%)에서 단일 군상을 보였고 나머지 10예는 복합 군상이었다. 결론 : 양성 및 경계성 난소 종양은 그것이 비록 난소암 조직의 주위에 존재하는 경우에도 악성 난소암 조직과는 다른, 분자생물학적으로 상이한 조직으로서 정상 난소 상피에서 각기 다른 기전으로 종양화가 이루어졌을 것으로 판단되며 따라서 양성 및 경계성 난소 종양은 난소암의 전구 병변으로서의 잠재력이 있다고 볼 수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role of benign and borderline ovarian tumor as precursor of malignant tumor by the evaluation of p53 tumor suppressor gene mutation analyses and clonality assay using microdissection technique. Materials & methods : Archival tissue samples from 15 patients with primary epithelial ovarian cancer were evaluated. Using a precise microdissection technique under light microscope (X 100 magnitude), cells from benign, borderline and malignant lesions were isolated and genomic DNA from each sample was extracted by xylene-proteinase K method. Each sample was analysed by direct sequencing of exon 5-8 of p53 tumor suppressor gene and clonality assay. Clonality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a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based assay for X chromosome inactivation. Results : Microdissection was successfully performed in all 15 cases. There was no p53 gene mutation in benign and borderline lesion and 6 cases of malignant lesion showed base substitution or insertional mutations. All the benign cases except one and all the borderline lesions showed polyclonality, but 5 cases of the malignant lesion were monoclonal. Although one benign lesion tested were monoclonal, corresponding borderline and malignant lesions were polyclonal. Conclusion : Benign or borderline ovarian tumors are distinguishable from malignant tumors molecular biologically, even when this benign or borderline lesion is adjacent to malignant one.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benign and borderline ovarian tumors have no potential role as precursors of malignant ovarian tumor.

      • KCI등재

        지연성근육통 유발 후 수동적 스트레칭이 혈중피로물질 및 VAS에 미치는 융합연구

        김종혁,김도진 중소기업융합학회 2018 융합정보논문지 Vol.8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e the effect of passive stretching after delayed muscular pain induction in university students and to propose a 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 for effective pain relief and prevention in case of injury. Subjects were divided into passive stretching group and control group. Passive stretching group was performed passive stretching after delayed muscular pain induction and control group did not perform any treatment after delayed muscular pain induction. The delayed muscular pain induction method was induced by bench step motion. The height of the step box was 50cm. The data were analyzed by two-way RGRM ANOVA for comparison of passive stretching group and control group. In conclusion, passive stretching after delayed myalgia has a positive effect on blood fatigue (CRP, LDH) and subjective pain scale(VAS).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지연성근육통 유발 후 수동적 스트레칭의 효과를 확인하고 부상 시 효과적인 통증 완화 및 예방을 위한 재활 운동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자는 20대 남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수동적 스트레칭 그룹과 통제그룹으로 구분하였다. 수동적 스트레칭 그룹은 지연성근육통 유발 후 수동적 스트레칭을 실시하였으며 통제그룹은 지연성근육통 유발 후 어떠한 처치도 실시하지 않았다. 지연성근육통 유발 방법은 벤치 스텝 운동을 통하여 유발하였으며, 스텝박스의 높이는 50cm이며, 착지 시 왼쪽 하지 쪽으로 착지하도록 하였다. 측정변인은 혈중피로물질과 주관적 통증척도를 알아보았으며 자료처리는 수동적 스트레칭 그룹과 통제그룹의 비교를 위하여 2-way RGRM ANOVA를 실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지연성근육통 유발 후 수동적 스트레칭이 혈중피로물질(CRP, LDH)과 주관적 통증척도(VAS)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