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유효 잡음을 활용한 FTV 입체음향 개선방안 연구

        김종운,조현석,이윤배,여성대,김성권,Kim, Jong-Un,Cho, Hyun-Seok,Lee, Yoon-Bae,Yeo, Sung-Dae,Kim, Seong-Kweon 한국전자통신학회 2015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0 No.2

        본 논문에서는 FTV(Free-viewpoint TV) 서비스에서, 몰입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유효 잡음 이용 입체 음향효과 방법을 제안한다. 농구장에서 초지향성 마이크 및 무선 마이크를 사용하여 선수와 심판의 연속적인 음향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주파수 스펙트럼을 관찰하였으며,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시청자가 Zoom-in을 할 경우, 유효 주파수 여부를 판단하였다. 따라서 FTV 서비스에서 시청자가 피사체를 향해 Zoom-in 시, 제거대상이었던 잡음을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FTV의 입체 음향 연구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paper, we proposed that immersive audio effect method using the effective noise to improve engagement in free-viewpoint TV(FTV) service. In the basketball court, we monitored the frequency spectrums by acquiring continuous audio data of players and referee using shotgun and wireless microphone. By analyzing this spectrum, in case that users zoomed in, we determined whether it is effective frequency or not. Therefore when users using FTV service zoom in toward the object, it is proposed that we need to utilize unnecessary noise instead of removing that. it will be able to be useful for an immersive audio implementation of FTV.

      • KCI등재

        중학생의 인터넷 중독과 자기통제력 및 정신건강과의 관계

        김종운 ( Jong Un Kim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08 중등교육연구 Vol.56 No.3

        본 연구는 중학생의 인터넷 중독이 자기통제력 및 정신건강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밝히고 인터넷 중독의 예방과 상담 활동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부산 소재의 3개 중학교 남녀 학생 305명 (남 160, 여 145)이었으며, 측정도구는 Young(1996)의 인터넷 중독 척도, 송원영(1998)의 자기통제력 검사, 그리고 김광일과 김재환 및 원호택(1990)의 한국형 간이 정신건강 진단검사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인터넷 중독 수준을 세 집단으로 나누고 자기통제력과 정신건강의 평균차이를 비교한 결과 경미한 중독집단이 정상집단에 비해, 상당한 중독집단이 경미한 중독집단에 비해 자기통제력이 유의미하게 낮았으며 정신건강 상태 또한 유의미하게 낮았다. 둘째, 중학생의 인터넷 중독과 자기통제력 간에는 다소 높은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인터넷 중독과 정신건강 간에는 다소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의 정신건강은 인터넷 중독 성향을 44.7%, 자기통제력은 인터넷 중독 성향을 5.4%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신건강이 인터넷 중독의 주요한 예측요인임을 밝혔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고 인터넷에 중독된 청소년을 치료하고 상담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서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대처기술 훈련이 포함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factors caused teenagers to be addicted to the Internet and in which way the factors affected their internet addiction in an effort to encourage them to take advantage of the internet in a more sound way. The subjects in this study are 279 middle school students in Busan metropolitan city, who include 154 boys and 143 girl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ternet addiction according to grade shows a statistical and meaningful difference. Third grade students shows lower addiction tendency than first and second grade. According to internet addiction level, the group of higher-level internet addiction shows lower self-control and mental health than the group of lower-level internet addiction. Second, self-control and mental health shows high correlation to internet addiction. Correlational analysis indicates that self-control is negatively related to internet addiction level and mental health is negatively related to internet addiction level as well. Third, The variance of self-control that indicate internet addiction tendency is R²=.055, mental health is R²=.447. Thus, self-control and mental health has a big impact on internet addiction tendency. These results suggest that we should include strategies such as coping skill training, self-control training and stress management to improve self-control and mental health in the development of prevention and counseling program for adolescents addicted to the Internet.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의 가족기능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성격강점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김종운(Kim, Jong Un),김미정(Kim, Mi 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가족기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격강점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부산광역시 소재 사립 D 대학교의 대학생 261명을 대상으로 하여 가족기능 척도, 성격강점 척도, 자기효능감 척도, 대학생활적응 척도에 대한 설문을 2015년 9월 14일부터 2주간 실시하였다. 가족 기능, 성격강점, 자기효능감, 대학생활적응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하였으며, 성격강점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Baron과 Kenny(1986) 가 제안한 매개효과 분석단계에 따라 순차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기능, 성격강점, 자기효능감, 대학생활적응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둘째, 성격강점은 가족기능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효과가 있었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가족기능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효과가 있었다. 이는 대학생이 적응적인 대학생활을 위해서 가족기능이 주는 영향력도 중요하지만, 대학생의 성격강점과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대학생활 적응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character-strengths and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unction and student adjustment to colleg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subjects were 261 students from D University located in Busan. Instruments used in the study were as follows: 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Evaluation Scale-Ⅲ(FACES-Ⅲ) scale, Character-Strengths Scale, Self-Efficacy Scale and Revised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RSACQ).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in family function, character -strengths, self-efficacy and student adjustment to college had a statistical correlation. Second, there is complete mediation effect of character-strength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unction and student adjustment to college. Third, there is complete mediation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unction and student adjustment to colleg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character-strengths and self-efficacy function as a complete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unction and student adjustment to college. Discussion and Conclusion are included a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based on the results.

      • KCI등재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이용하는 전문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와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김종운(Jong-Un Kim),이수련(Soo-Ryeon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1

        본 연구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이용하는 전문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 간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와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전문대학생 남녀 470명 을 대상으로 2017년 3월 5일부터 3주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각 변인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와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 정서표현성, 사회적지지, SNS 중독경향성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 간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성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는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전문대학생의 SNS 중독 예방과 해소를 위해 건강한 정서표현과 사회적지지를 강화할 수 있는 상담 및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proneness of college students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For this study, 470 college students in Busa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relationship among the major variable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vert narcissism, emotional expressiveness, social support, and SNS addiction proneness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Second, emotional expressiveness partia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proneness. Third, social support showe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pronenes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is particularly relevant to provide th foundational data for counseling and educational programs that it can strengthen the correct emotional expression and social support to prevent and relieve SNS addiction of college students.

      • KCI등재

        진로역량강화 프로그램이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학교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 및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김종운(Kim Jong Un),이태곤(Lee Tae G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역량강화 프로그램이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학교 초등학 생의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 및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 를 위해 부산 소재의 N초등학교에 다니는 6학년 학생 36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 비교집단, 통제집단에 각 12명씩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진로역량강화 프로그 램을, 비교집단에는 일반 진로상담 프로그램을 각각 12회기에 걸쳐 실시하였고 통 제집단은 아무런 처치를 가하지 않았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Version 21.0) 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하였고,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을 위해 Scheffé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역량강화 프로그 램을 실시한 집단은 비교집단과 통제집단에 비해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자기 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선호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진로역량강화 프로그램 을 실시한 집단은 비교집단과 통제집단에 비해 진로성숙도의 하위요인인 자기이 해, 일에대한태도, 독립심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셋째, 진로역량강화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은 비교집단과 통제집단에 비해 학습동기의 하위요인인 본질동기, 수 업동기, 계속동기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이를 통해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학교 초 등학생을 위한 하나의 진로상담 프로그램의 모델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 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areer competency empowerment program on self efficacy, career maturity and learning motivation of children at the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schoo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6 children who attended the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school in Busan.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groups (an experiment group, a comparative group and a control group) and each group had 12 children. Career competency empowerment program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areer counseling program was applied to the comparative group. Each program consisted of 12 session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One-Way ANOVA(Analysis of Variance) of SPSS/WIN(Version 21.0) statistics program. The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and discussions, were as follows: First, career competency empowerment program had a meaningful effect on the self efficacy of children at the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school. Also, it showed a significant result in self regulated efficacy and content difficulty of the self efficacy. Second, career competency empowerment program had a meaningful effect on the career maturity of children at the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school. Also, it had an influence on self understanding, attitude toward working and independent spirit of the career maturity. Third, career competency empowerment program had a meaningful effect on the learning motivation of children at the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school. Also, it had an influence on intrinsic motivation, instructional motivation and continuing motivation of the learning motivation. Based on the findings above, this study showed that career competency empowerment program helps children at the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school improve their self efficacy, career maturity and learning motivation.

      • KCI등재

        영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장 내외의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김종운(Jong-Un Kim),김영금(Kim-Young Gu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4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장 내외의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과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8년 2월 13일부터 3월 20일에 걸쳐 부산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근무 중인 영유아교사 26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처리 및 분석은 SPSS Ver. 22.0와 Hayes(2013)의 PROCESS macro for SPSS Ver. 2.16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 행복감, 회복탄력성, 직장 내 사회적지지, 직장외 사회적 지지는 모두 부적상관이 있다. 둘째, 영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장 내 사회적 지지는 부분 매개효과가 있다. 셋째, 영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장 외 사회적 지지의 부분 매개효과가 있다. 넷째, 영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의 부분 매개효과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영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행복감을 높일 수 있도록 개인 외적 변인인 직장 내외의 사회적 지지와 개인내적 변인인 회복탄력성의 특성에 기초하여 더욱 효과적인 전략과 개입에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영유아교사들의 행복증진 향상을 위한 다각적 영역에서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between job stress and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order to figure these out, 265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a daycare center in Busan were selected.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02.13 to 03.20. SPSS Ver. 22.0 and PROCESS macro for SPSS Ver. 2.16 of Hayes(2013) had been used in the data processing and analysis collec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job stress, happiness, resilience, social support of inside workpla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all ineligible. Second, in the influ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stress affecting happiness, social support of inside workplace has partial mediating effect. Third, in the influ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stress affecting happiness, social support of outside workplace has partial mediating effect. Fourth, in the influ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stress affecting happiness, resilience has partial mediating effect.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they could be used for more effective strategies and interventions based on personal external resources, social support both inside and outside of the workplace and the resilient nature of individual internal variables, in order to reduce job stress and increase the sense of happiness for early childhood teacher. Based on this, it is hoped that it will be used as a basic research material in various areas to promote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