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GM 수용성의 인과구조에 관한 다중집단 분석

        김종미(Kim, Jong Mi),정석창(Chung, Seok Chang) 한국공공관리학회 2015 한국공공관리학보 Vol.29 No.4

        본 연구는 소비자, 공급자, 전문가로 구분된 집단별로 GM의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요인들의 인과경로와 강도의 비교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이론적으로 수립된 구조방정식 모형이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통계적으로 검증하는 다중집단분석(multi-group analysis)을 하였다. 분석결과 6개의 가설이 3집단에서 채택되었고, 3개의 가설은 각각 다른 한 집단에서만 채택되었다. 구체적으로 세 집단 모두에서 기관의 신뢰수준과 위해성인식이 GM수용성에 미치는 인과경로와 강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지식수준과 정보매체의 이용수준은 집단별로 각각 다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소비자 집단에는 정보매체의 이용수준이, 공급자집단에서는 지식수준이 수용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보이지만, 전문가집단에서는 두 요인 모두 유의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기관신뢰나 위해성인식이 GM수용성에 직접적인 영향요인이라는 것에 대한 기존 연구들이 매우 견고함을 입증하였다. 또한 객관적 지식수준이나 정보매체의 이용수준이 GM수용성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은 집단의 특성에 따라 유동적이지만, 매개변수를 통한 유의한 영향요인이라는 새로운 연구결과를 얻었다. We found the correlation between casual routes or level of acceptance of genetic modification (GM) and confidence degree and awareness of harm of three groups, namely, consumer, supplier, and professional. We use multi-group analysis methods to establis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at represents the difference by each group. In this study, six hypotheses were accepted in all three groups, and three hypotheses were accepted in each group. Results show that awareness of health hazard (subject factor) and confidence degree affect the of GM in all three groups. The knowledge level and utilization level of media (object factor) vary among the groups. Utilization level of media and acceptance of GM are correlated in the consumer group, whereas knowledge level and acceptance of GM are not correlated in the supplier group. In the professional group, no correlation is found between utilization level of media and acceptance of GM, as well as between knowledge level and acceptance of GM. This study indicates that confidence degree and awareness of harm (e.g., health hazard) directly influence the acceptance of GM.

      • KCI등재

        Issues in Humanities Therapy

        김종미(Kim Jong-Mi)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인문과학연구 Vol.0 No.24

        새로운 학문으로서 인문치료가 급부상하고 있는 시점에 인문치료의 현황에 비추어 본 문제점을 진단해 보고 그 해결책을 응용언어학의 관점에서 제시하고자 한다. 인문치료의 내용과 기능은 언어학ㆍ문학ㆍ철학ㆍ사학ㆍ예술을 학제적으로 새롭게 통합하며, 인문치료의 목적은 사람들의 정신적ㆍ정서적ㆍ신체적인 병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한 것이다. 인문치료의 역할은 현대인의 마음의 건강과 행복한 삶을 위한 이론적ㆍ실천적 활동을 하는 것이며, 특히 자살률이 세계적으로 높은 한국에서 그 필요성이 강조된다. 실제로 인문치료가 임상적 활동으로서 학생, 아동, 출소자, 군인, 알콜 중독자, 새터민들에게 한국에서 실천된 바 있다. 인문치료의 방법은 기존인문학 각 분야 및 연계 학문들의 치료적 기법을 유기적으로 통합 사용하며, 그 구성소로서는 언어와 음성치료, 의사소통장애의 치료, 글쓰기 치료, 이야기 치료, 시 치료, 독서 치료, 음악치료, 심리극 치료, 철학상담 등이 있다. 이 중 언어와 의사소통영역의 임상적 평가 결과와 성과 입증이 가장 많이 축적되어 있으므로, 본고에서는 그 중 한 분야인 발음치료의 방법론을 활용하여 인문치료의 평가와 성과 입증에 활용할 것을 제시한다. 현재까지 연구된 바, 인문치료의 전망은 밝으나, 평가와 성과 입증을 한 연구 결과가 없는 점에 대해 인문치료의 효용성을 대상자의 만족도, 전문가의 평가, 학술적으로 유의미한 결과에 걸쳐 다각도로 입증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인문치료의 효용성을 입증함으로써, 인문치료가 일반인 및 기관의 호응을 얻어 현대인들의 정신적, 정서적, 물리적 고통을 실제로 예방하고 치유하는 활동으로 활용도가 높아지게 된다. As a clinical application, Humanities Therapy interweaves linguistics, literature, philosophy, history, and arts, as a de novo approach to prevent and treat patients with various degrees of mental, emotional and physical disorders. This therapy has been empirically implemented in Korea on students, children, prisoners, soldiers, alcoholics and refugees, where the suicide rate is one of the highest in the world. Techniques used are speech correction, journal writing, story-telling, poem recitation, reading literature, listening to music, performing psychodrama, and philosophical counseling. Because the clinical procedures and methodology used in speech and communication therapy are well known, they have functioned as the model approach for the other components in Humanities Therapy. So far, the results are promising and suggest that Humanities Therapy can be used effectively to cure mental and physical disorders and to improve the level of client satisfaction, professional assessment, and objective evaluation of the therapy.

      • KCI등재
      • KCI등재

        멘토링에 대한 초등 초임교사의 인식

        김종미 ( Jong Mee Kim ) 한국초등교육학회 2009 초등교육연구 Vol.22 No.4

        이 연구는 교사경력 2년 이내의 초등학교 초임교사를 대상으로 멘토링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것이다. 초임교사들은 교직적응과 전문성 향상을 위해 멘토링이 필요하며, 이에 대해 교직원들의 인식이 제고되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단위로 일 년간 멘토와 멘티가 수시로 직접 만나서 멘토링이 이루어지는 것을 선호하였고, 성별에 상관없이 같은 학교의 동학년 교사이면서 멘티가 담당하는 학교행정업무에 대해 경험이 있는 교사를 멘토로서 원하였으며, 멘토 1인이 2~3명의 멘티와 짝 짓기 하는 것을 적절한 것으로 보았다. 10년 정도의 교직경력이 있는 교사 중에서 동료교사의 추천과 추천된 교사의 동의로 멘토를 선발하는 것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멘토들이 신뢰감, 친화력, 열정을 가지고 조언자, 상담자, 협조자 등의 역할을 하는 것을 보다 중요하게 꼽았으며, 멘토 역할에 대한 보상으로 전문자격을 주는 것을 가장 선호하였다. 또한 멘토링을 통해 학생 생활지도, 학급경영, 인간관계, 상담기술, 학교 행정업무 처리 및 교수 학습지도 등이 보다 중요하게 다루어지기를 원했다. 학교현장에서 멘토링의 저해요인으로 시간부족, 멘토링 프로그램 부재, 멘토에 대한 보상 부족 등을 보다 중요한 것으로 지적했고, 멘토링의 활성화 방안으로 멘토와 멘티의 학교업무 경감, 멘토에게 보상 제공, 멘토링 프로그램 개발 등을 보다 중요한 것으로 꼽았다. 멘토링 효과를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멘티의 직무만족도 조사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of 228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Kyeongsangnamdo, with less than two years of career, focuses on analysis of their perceptions on mentoring. They felt mentoring was vital to their career adaption and professional growth, and wanted teaching staff to reconsider its importance. They preferred their mentors to be in the same grade and to have experience in the kind of administrative works they are in charge of. One mentor and 2~3 mentees matching was most preferred, and gender-matching was not a consideration. Regarding selection of mentors, beginning teachers wanted their mentors to be selected amongst teachers with 10 years career by means of recommendation from colleagues and approval by the recommended one. Beginning teachers wanted role of adviser and counsellor from their mentors. Trust, befriending and enthusiam were considered to be important qualities mentors need. As incentives for the mentor role, awarding of mentor license was considered to be the most appropriate. Beginning teachers wanted student guidence, class mangem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counselling skill to be covered more extensively through mentoring. As strategies to activate mentoring, reduction of administrative work, compensation for mentors, mentoring program development were thought to be important factors. The preferred method of mentoring effect evaluation was mentees` job satisfaction test.

      • KCI등재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역량이 보육교사의 직무수행 효능감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김종미 ( Kim¸ Jong-mi ),부성숙 ( Pu¸ Sung-sook ) 한국아동교육학회 2021 아동교육 Vol.3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역량이 보육교사의 직무수행 효능감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어린이집에 재직하고 있는 보육교사 261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역량이 높을수록 보육교사의 직무수행 효능감과 직무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원장 직무역량의 중요성을 입증하였다. 둘째,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역량은 보육교사 직무수행 효능감의 모든 하위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역량의 하위요인 중 원장의 문제해결 능력, 위생 및 안전관리 순으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역량은 보육교사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역량의 하위요인 중 원장의 문제해결 능력, 비전 및 목표관리 순으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역량은 보육교사의 직무만족 보다는 직무수행 효능감에 더 큰 영향력을 미치고, 직무역량의 하위요인 중 원장의 문제해결 능력, 위생 및 안전관리, 비전 및 목표관리 역량이 보육교사의 직무수행 효능감 및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역량 향상을 위한 개인적, 사회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job competency of child care center directors on the job performance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child care teachers. To achieve this objective, this study selected 261 teachers who worked for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Gyeonggi-do and collected data using a questionnaire. This study analyzed the collected data using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Firs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job competency of child care center director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ll sub-factors of the job performance efficacy of child care teachers and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except for work satisfac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job performance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child care teachers increased with the higher job competency of the director. Second, the job competency of child care center directors significantly affected all sub-factors of the job performance efficacy of child care teachers. Among sub-factors of job competence, directors’ problem-solving ability positively affected it the most, followed by directors’ hygiene and safety management. it was found that the job competency of child care center directors significantly influenced all sub-factors of the job satisfaction of child care teachers. Among sub-factors of job competency, directors’ problem-solving ability had the largest positive impact on the job satisfaction of child care teachers, followed by directors’ vision, and goal management.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job competency of child care center directors affected the job performance efficacy of child care teachers more than their job satisfaction. It was also found that, among the sub-factors of job competency, directors' problem-solving ability, hygiene and safety management, vision, and goal management competency positively affected the job performance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child care teachers.

      • KCI등재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의 관점에서 본 중국어 어휘의 정반대립구조

        김종미 ( Jong Mi Kim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09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17 No.2

        본 논문은 한국과 중국을 유교문화권, 고맥락 동양문화권으로 분류하는 거시적 문화연구에서 진일보하여 언어의 차이는 세계관의 차이라는 언어상대론적 입장에서 우리말과 다른 중국어의 특징을 분석하여 중국 문화의 특징을 실증적으로 도출하고자 연구되었다. 중국 한족은 상고시대부터 세계를 상호 대립과 조화로 파악하는 음양 이원론을 발전시켜 왔다. 음양론은 세계를 대립적인 두 측면의 `동시적인 존재`로 파악하는 갈라짐과 교차반복의 운행법칙이다. 상반상성, 음양대대를 중시하는 중국 한족의 민족심리는 중국어 어휘, 특히 장기간 습관적으로 사용됨으로써 중국문화를 응집하게 된 성어(成語)에 집중적으로 표현되었다. 100개의 정반대립구조의 성어를 분석한 결과 2언+2언의 4언구로 주술구조, 동사목적어 구조를 형성하여 형식상의 정반대립을 용이하게 하였다. 성어분석을 통해 추출한 중국문화의 특징은 새옹지마, 고진감래와 같이 인생의 행복과 불행을 동시적으로 포용하는 세계관과 표면상으로는 순종하고 암암리에 배반하거나 실력을 감추고 기회를 기다리며 어리석은 듯 보이고자 하는 커뮤니케이션 방식이다. 어휘의 정반대립구조는 어법의 정반의문문으로 확인되며, 현대 중국 대중문화 속의 드라마, 가요 제목 및 광고 문구에도 자주 차용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써 중국어를 통해 분석한 중국 문화가 한국어 및 한국문화와 구별됨을 인지하여 중국과의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을 원활히 하는데 일조하기를 기대하였다. The Chinese people have developed Yin-Yang dualism in their world view since antiquity. This world view is also reflected in their language practices. Following this lead, the current paper examined binary oppositions prevalent in the Chinese language and discussed some implications from intercultural communicative standpoint. In fact, binary opposition was found to be a great characteristic of the Chinese language structure, affecting the Chinese popular culture in general including advertising and popular songs.

      • 청취진단의 환류 방식에 의한 영어 음성학 수업

        김종미(Kim Jong-mi)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6 江原人文論叢 Vol.16 No.-

        본고는 대학의 영어 음성학 관련 수업시간에 「청취진단의 환류방식」을 실시하여 수강생들의 발음과 청해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교수 방법을 상술하였다. 「청취진단의 환류방식」이란 학습자의 녹취 발음을 교수가 듣고, 학습 목표별로 정형적인 틀에 따른 피드백의 해당 항목에 표기하여 학습자에게 자습내용으로 주는 방안으로, 기존 논문에서 평가 방식의 일환으로 고안되었던 것을 본고에서는 듣기 지도와 병행하는 발음수업 방법으로서 확장 적용 시키게 되었다. 본고는 「청취진단의 환류방식」을 실제로 34인의 학부 학생들을 대상으로 적용한 수업의 전 과정을 상세히 서술하였으며, 동종의 4개 강좌에 걸친 결과와도 상응함을 보고하였다. 본 수업에서 듣기지도는 발음교재를 사용하여 다양한 영어음을 식별하게 하였으며, 발음지도는 영어 음운 현상을 고루 반영한 22 단어와 26 문장의 발음을 학습자에게 들려주고, 수업전 발음에 대한 피드백을 주어 자신의 발음오류를 집중적으로 연습하도록 시켰다. 「청취진단의 환류방식」을 적용한 결과, 수강생들의 청해 실력은 TOEIC 듣기 평가에서 2개월만에 495만점 중 평균 80.7점, 즉 16.3%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p<.001), 수강생들의 발음 실력은 원어민의 청취 평가에서 평균 34분만에 8.0%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5). 그리고, 학습자들도 자신의 발음이 2개월만에 52.7% 향상되었다고 답함으로써, 수강에 대한 높은 만족도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반영하였다(p<.001). 따라서, 「청취진단의 환류방식」은 수강생들의 발음과 청해 실력을 향상시키는 새로운 수업 방법이라 할 수 있겠다. The auditory feedback approach (AFA) has been employed to improve the teaching method for English pronunciation and listening comprehension in a college classroom setting. The AFA has been proposed by Kim (2005) as an evaluation method, but extended as a classroom teaching method in this paper. The AFA consists of the initial recordings of learners' pronunciation after listening to the model speech, subsequent feedback by the instructor, pronunciation practice by learners, and the final recordings of learners' pronunciation for an improvement evaluation. Thirty-four Korean students in an English pronunciation class at Kangwon National University were instructed with the AFA as a sample case study; and the procedure and test results were recapitulated in four other classes with the AFA to ensure the general application of the AFA. The procedure included both listening and pronunciation practices that involved phonologically-balanced listening to the speech of a pronunciation text book, and phonologically-balanced recording with a list of 22 words and 26 sentences that were objectively selecte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AFA, both the learners' listening comprehension and pronunciation production were improv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tandardized TOEIC test, and the perception tests by native speakers and learners. The TOEIC listening score was improved (p<.001) by 16.3% (80.7 points in 495 scale) on average, after two months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AFA. Learners' pronunciation, as evaluated by 24 native speakers, was improved (p≤.05) by 8.0% after 34 minutes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AFA. On the other hand, learners themselves evaluated their pronunciation and it was improved (p<.001) by 52.7% after two months of the instruction, The result indicated a great satisfaction with the classroom instruction.

      • 조선후기 『산릉도감의궤(山陵都監儀軌)』 백호도(白虎圖) 연구

        김종미(Kim, Jong-Mi) 역사문화연구소 2014 역사문화논총 Vol.- No.8

        Since Baekho-do in Sanneungdogam-Uigwe drawn at a state funeral in the late Joseon Dynasty had a clear production era and was drawn by the best painters, it is significant data by which the directions of development of the late Joseon Dynasty paintings can be judged. This paper comprehensively looked into Baekho-do in Sanneungdogam-Uigwe in the late Joseon Dynasty to conduct an inquiry into the phase of its changes. Baekho-do in Sanneungdogam-Uigwe in the late Joseon Dynasty can be broadly classified into three types: ‘ Jingnipho’, ‘ Jwaho’ and ‘Chulsanho,’ which show six stages of the process of changes, that is, ‘Jingnipho A-type’, ‘Jwaho-type’, ‘Jingnipho B-type’, ‘Chulsanho A-type’, ‘Chulsanho B-type’ and ‘Chulsanho B′-type.’ The oldest Baekho-do, Wonjongyejang Baekho-do (1627) was drawn as Jingnipho in a diagonal line, which shows flame pattern and plumage. It shows that its tradition expressed as mystical creature and guardian since mural paintings of the Goguryeo ancient tombs had remained in the 17th century. Later, in Baekho-do in Injojangneung (1649), Jwaho-type Baekho-do without flame pattern and plumage was drawn, of which the body proportion is accurate and realistic. The mid-17th century is an important period when even Baekho-do guarding the space of the dead did not express flame pattern and plumage, but pursued realism. However, the 17th century seems to show a process of seeking for a model of Baekhodo: e.g. it turned back into Jingnipho with flame pattern drawn in 1674. Meanwhile, in Queen Inhyeon Baekho-do in the beginning of the 18th century (1701), Baekho-do in the form of Chulsanho drawn at the time in three countries in East Asia appeared for the first time. Queen Inhyeon Baekho-do (1701) shows the posture coming down the mountain, the curved body and shading between the toes, which are a step higher level of paintings; however, flame pattern appears, which shows the tradition of Sasin-do remained until this time. In Queen Jeongseong Baekho-do (1757), Baekho-do without flame pattern appeared. Finally, a model of Baekho-do in Sanneungdogam-Uigwe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established. This is a result of the reflection of ‘a realistic view of things,’ a characteristic of paintings in Jingyeong era. This period is a time with works that form the climax of Baekho-do: e.g. describing a streamlined flow to the end of the tail such as slender waist, strong lower body and swinging tail. Later, the tradition of tiger pictures in Joseon Dynasty declined: e.g. deepened formal expression in Baekho-do. Baekho-do in Sanneungdogam-Uigwe showing a change into Sasu-do in a form of a tiger in Sasin-do that expresses flame pattern and plumage is in the same vein with the change in the view of paint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ich shows a constant change.

      • KCI등재

        중국의 외국어로서의 중국어교육에 대한 현황과 전망

        김종미(Kim Jongmi) 한국열린교육학회 2008 열린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중국에서 이루어진 외국어로서의 중국어교육의 발전과정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중국어 교육의 시금석을 삼고자 하는 목적으로 씌어졌다. 중국에서 중국어 교육은 중문과에 속하는 전통적인 중국어 교육 계열과 외국어로서의 중국어 교육 계열의 두 갈래로 양분된다. 중국에서 외국어로서의 중국어 교육은 대외한어교육, 제2언어로서의 중국어 교육 혹은 국제 중국이 교육이라는 명칭으로 불린다. 외국어로서의 중국어 교육은 1950년대 형성되어 1980년대 이후 크게 발전하였는데 이 시기의 특징은 하나의 새로운 학문 분과로 정착했다는 점과, ‘국가 대외한어교학 영도소조 판공실’이 결성되어 국가적 차원의 지원과 지도를 받았다는 점이다. 현재 중국 110여개 중점대학에 대외한어전공이 개설되어 있는데, 가장 영향력 있는 교육기관은 북경대학과 북경언문화대학이다. 양교 모두 석ㆍ박사 과정이 있고 각각 HSK, BCT 국가고사를 개발하여 명성이 높다. 양교 석사학위 교과과정 및 2007년 새롭게 확정한 “국제중국어교사표준”의 분석을 통해 외국어로서의 중국어교육 교사가 되기 위해서 “제2언어 습득론”과 “문화 상호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해와 적용을 중시하며, 중국의 외국어로서의 중국어교육은 영어 TESOL의 방향을 따라 발전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우리나라 중국어 교육도 외국어로서의 중국어 교육에 대한 접근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최근 이화여대에서 개발한 “EPTeCSOL(Ewha-Peking Teaching Chinese to Speakers of Other Languages) 과정이 효과적인 중국어 교육의 한 모델이 될 것임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how China established Chines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and how this education system was developing. Through this analysis, Chinese language education in Korea can have better understanding of this education system and can use it as basis. In China, teaching Chinese as a foreign language is also called as Educating Chineseasa Second Language or The International Chinese Education for Foreigners.<BR>  As the foreign language program, this program initiated in 1950’s and after 1980’s it began to accelerate its development. The significance of this period was that this foreign language began to settle down as its own separate educational program and it was also considered as ‘The Office of Chinese Language Council International’ and therefore, began to receive financial assistances from the government.<BR>  Currently, about 110 universities around China have created this program ‘Teaching Chinese to Foreigners’. Among these universities, the most influential universities are Beijing University and Beijing Language and Culture University. Both Universities have bachelor and master programs and also they are wellknown for creating National Chinese Tests such as HSK and BCT.<BR>  These universities’ master programs and newly structured 2007’s “Standards for Teachers of Chinese to Speakers of Other Languages” emphasizes how important it is for teachers who instruct Chinese to foreigners to understand and apply “Second Language Acquisition” and “Inter Cultural Communication”. As Chinese as a foreign language, Chinese education is improving as it follows the footstep of English TESOL.<BR>  This trend implied that it is important for Chinese education in Korea to follow this new education system. Recently, Ewha University established EPTeCSOL(Ewha-Peking Teaching Chinese to Speakers of Other Languages), which visions the effective and standard teaching Chinese program in Korea in near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