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Prevalence of anatomical alar band

        김정석,김철순,차정열,김희진,황충주,Kim, Jung Suk,Kim, Cheol Soon,Cha, Jung Yul,Kim, Hee Jin,Hwang, Chung Ju Korean Academy of Esthetic Dentistry 2015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Esthetic Dentistr Vol.24 No.1

        Purpose: 입술 주위에는 여러 개의 근육이 모여있기 때문에 여러 근육의 작용에 의해 표정을 지을때, 다양한 표정과 노화에 따른 주름 등의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동물에서는 이러한 피부 및 근육이 몸 전체에 발달되어 있지만 사람에서는 얼굴에만 잘 발달되어 있고, 다른부위엔 목과 손바닥에 하나씩 있을 뿐이다. 해부학적인 연구에서 확인한 작은광대근의 변이중에 윗입술뿐만 아니라 콧방울로 갈라진 힘살이 콧방울 가쪽 부위에도 닿아서 형성되는 콧방울 가쪽 주름에 대해 alar band라 명명하였으며 이에 대한 임상적인 유병율을 알아보고자 한다. Materials & Methods: 교정 치료를 위해 경기도 개인치과의 교정과에 내원한 780명의 교정신환의 스마일 사진에서 alar band의 여부에 대해 알아보고, 측모두부방사선사진에서 골격의 형태 및 입술의 돌출, 성별, 연령 등과의 상관관계를 평가하였다. Results: 일반적 특성에 따른 alar band의 관련성에 대해서 살펴본 결과 성별에 대해서 남자는 18.5%, 여자는 27.9%로 나타나 남자보다 여자의 경우 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연령에 대해서는 가진 경우가 0-9세는 19.4%, 10-19세는 16.9%, 20-29세는 31.2%, 30-39세가 39.5%, 40-49세가 56.5%로 나타나 20대에서 40대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SN_NP에 대해서는 normodivergent facial type을 가진 경우가 26.2%, hyperdivergent facial type을 가진 집단이 22.0%, hypodivergent facial type을 가진 경우는 32.2%로 나타나 hypodivergent facial type을 가진 집단의 경우가 더 발생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Upper LIP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Lower lip에 대해서는 alar band를 보인 경우가 정상하순 안모를 가진 집단은 26%, lower lip protrusion은 14.7%, retruded lower lip은 33.3%로 나타나 retruded lower lip의 경우 발생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즉, 성별, 연령, lower lip돌출정도에서 alar band와의 유의한 관련성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Conclusions: alar band는 해부학적인 연구에서 27.8%에서 보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25.6%에서 확인할 수 있었고, 임상적인 사진에서는 여자, 나이가 들수록, 하순이 함입될수록 유의하게 더 보였으며 향후 심미 치료에서 이 부위에 보톡스 등의 심미치료를 할 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Due to the presence of various muscles around lips, variety of facial expression can be made and changes from aging process such as wrinkles can develop on the facial skin by the action of multiple muscles. In animals, skin and muscles are developed in the entire body. On contrast, they are well developed only in the face and just one is present in the neck and the palm. Alar band was defined as outer wrinkle formed by zygomaticus minor muscle, which is common in Korean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clinical prevalence of alar band. Materials & Methods: Subjects were chosen from 780 new patients who visited private clinic in Gyeonggi province for orthodontic treatment. Presence of alar band was examined from the smile extraoral photos. Correlation among skeletal form, lip protrusion, gender, and age were evaluated. Results: Prevalence of alar band was higher in women (27.9%) than in men (18.5%)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 With respect to age, prevalence of alar band was 19.4% in age 0-9 y, 16.9% in age 10-19 y, 31.2% in age 20-29 y, 39.5% in age 30-39, 56.5% in age 40-49. Prevalence was gradually increased from patients in their 20s to patients in their 40s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 (p<0.001). Concerning SN_NP, prevalence was 26.2% in normodivergent facial type, 22.0% in hyperdivergent facial type, and 32.2% in hypodivergent facial type. Hypodivergent facial group had higher prevalence but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not observ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found regarding upper lip. However, prevalence of the alar band was 26% in patients with normal lower lip, 14.7% in patients with pretruded lower lip, and 33.3% in retruded lower lip. The prevalence was higher in patients with retruded lower lip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 Conclusions: 27.8% on previous anatomical study and this study showed 27.8% prevalence of alar band in clinical smile photographs. Clinical photograph study showed that alar band was more prominent in women, older people, and people with retruded lips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This will provide valuable diagnostic information for esthetic consideration.

      • KCI등재

        고속가공에서 상태 감시를 위한 계측시스템의 신호특성

        김정석,강명창,김전하,정연식,이종환,Kim, Jeong-Suk,Kang, Myung-Chang,Kim, Jeon-Ha,Jung, Youn-Shick,Lee, Jong-Hwan 한국기계가공학회 2003 한국기계가공학회지 Vol.2 No.3

        The high speed machining technology has been improved remarkably in die/mold industry with the growth of parts and materials industries. Though the spindle speed of machine tool increases, the condition monitoring techniques of the machine tool, tool and workpiece in high speed machining ate incomplete. In tins study, efficient sensing technology in high speed machining is suggested by observing the characteristics of cutting force, gap sensor and accelerometer signal also, machinability of high-speed machining is experimentally evaluated sensing technique to monitor the machine tool and machining conditions was performed.

      • SCOPUSKCI등재

        란탄족(III)족 이온과 Diaza-18-crown-6-diisopropionic Acid의 착화합물에 관한 연구

        김정석,이창헌,한선호,서무열,엄태윤,박진하,Jung Suk Kim,Chang Heon Lee,Sun Ho Han,Moo Yul Suh,Tae Yoon Eom,Jin Ha Park 대한화학회 1992 대한화학회지 Vol.36 No.6

        이온성 거대고리 리간드, diaza-18-crown-6-diisopropionic acid(K22DAP)를 합성하였다. 이 화합물의 양성자화 상수와 몇 가지 란탄족원소와의 안정도 상수를 전위차적정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양성자화 상수는 log$K_1$ = 9.05, log$K_2$ = 8.37, log$K_3$ = 1.88 및 log$K_4$ = 0.99이고, La(III), Nd(III), Gd(III) 및 Lu(III)와의 안정도 상수 (logKML)는 각각 11.14, 11.43, 11.74 및 10.88이었다. 거대고리 이온운반 물질로서 K22DAP를 사용하고 TTA(thenoyltrifluoroacetone)를 추출제로 하여 란탄(III)족 이온의 추출성질을 연구하였다. pH 8.0의 수상에서 La(III)과 Nd(III)이온은 주로 삼성분착물 Ln(K22DAP)TTA를 형성하였다. An ionizable macrocyclic ligand, diaza-18-crown-6-diisopropionic acid(K22DAP) has been synthesized. Protonation constants of this compound and stability constants with some lanthanides were determined by potentiometric titration method. The protonation constants are log$K_1$ = 9.05, log$K_2$ = 8.37, log$K_3$ = 1.88 and log$K_4$ = 0.99. The logarithmic values of stability constants with La(III), Nd(III), Gd(III) and Lu(III) are 11.14, 11.43, 11.74 and 10.88 respectively. Extraction behavior of Ln(III) ion was investigated using TTA(thenoyltrifluoroacetone) as extractant in the presence of K22DAP as macrocyclic ionophore. It was observed that Ln(K22DAP)TTA is the dominating species in aqueous complexes of La(III) and Nd(III).

      • 사무소 건축에 적용 가능한 바이오필릭적 표현 연구 - 건축 표피를 통하여 -

        김정석(Kim, Jung-Suk),김민경(Kim, Min-Kyung) 대한건축학회 2022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42 No.1

        Since humans intrinsically feel intimacy with nature, they have been constantly trying to incorporate nature into buildings, one of the basics of life, food, clothing, and shelter. This study is a way to link architecture and biophilic design a little more, focusing on the Forms & Patterns and Material Connection with Nature elements of the previous study, Biophilic Design Pattern 14 Natural Analogu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diversity and methods in how architects apply biophilic design through a study on the methodological approach of expression.

      • KCI등재후보

        유리의 투명성과 화려한 색상을 이용한 사무공간 환경개선 방안 연구

        김정석(Kim Jung-suk),오효영(Oh, Hyo-yong)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1 조형디자인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연구자가 거주하는 도시주거공간에 대한 문제점을 자각하고 그것에 대한 개인적개선 의지에서 출발하였다. 특히, 한국의 근대화 과정에서 획일적으로 대량 복제된 사무공간이 오늘날 도시주거자의 주거 및 생활공간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에 본 연구의 중요성이 있다. 연구자는 획일화되고 비 개성적인 도시의 사무공간을 물리적, 심리적으로 확장시키고 다면화된 공간으로 변화시키는 유리조형물을 만들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유리와 빛이 공조하여 만드는 반짝임, 색의 화려함, 다면의 공간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유리조형물을 오목 또는 볼록한 형태로 구성하였고, 조형물 내부와 외부에 인공조명을 설치하였다. 이렇게 장식적 효과를 갖는 조형물을 실제 사무공간에 설치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실제로 설치되지 못한 작품은 가상의 공간에서, 또는 다른 유리작가들의 작품설치 사례를 통해 그 효과를 가늠해 보고자 하였다. 벽면에 설치된 작업들은, 퓨징 기법을 통해 만들어진 패턴화된 색유리들이 빛의 반사와 굴절을 통해 다면적으로 시각적 화려함을 부여하는 장식기능을 함으로써 공간에 다양성과 활력을 부여해 준다. This study was initiated to personally improve the problems in the city living space of this researcher, which he himself found out about directly. In particular, this study has significance because the business spaces that have been replicated across Korea during its modernization play a very important role as housing and living spaces for city dwellers today. This researcher endeavored to make a glass artwork that expands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office spaces, which are usually uniform and have no individuality. This researcher, in order to maximize shininess from glasses and lights, the splendor of colors, and multi-dimensional spaces, constructed a glass artwork with concave and convex shapes and installed artificial lightings inside and outside of the artwork. And by installing an artwork that has a decorative effect in real residential and office spaces in this way, the researcher tried to analyze the effects and to estimate, in virtual spaces, the effect of artworks which are not installed. Glass artworks installed on walls infuse spaces with diversity and energy through decorative effects that give a multi-dimensional feeling, and enhance visual splendors through the reflection and refraction of lights coming from patterned colored glasses made by the fusing method.

      • KCI등재

        데일 치훌리(Dale Chihuly)가 현대 유리예술 발전에 끼친 영향 분석

        김정석(Kim, Jung-suk),정문수(Jung, Moon-su)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5 조형디자인연구 Vol.18 No.3

        19세기 후반 미국에서 재료의 발전과 생산기술이 혁신적으로 향상되면서 유리가 일상생활과 밀접해질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었다. 이와 더불어 1960년대 초부터 시작된 스튜디오글라스운동(Studio Glass Movement)을 통해 유리가 공예가, 디자이너, 조각가들에게 예술표현의 한수단으로 여겨지게 되면서 더욱 친숙한 존재로 다가올 수 있었다. 이 운동을 성공적으로 이끈 중심에 데일 치훌리(Dale Chihuly)가 있다. 그는 우리에게 화려한 샹들리에와 거대한 규모의 유리 조형물을 옥외에 설치하는 유리조형작가로 더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는 스튜디오글라스 운동을 전 세계로 확산시키는데 큰 공헌을 한 교육자이자 현대유리를 탄생시킨 선구자이다. 본 연구에서는 그의 다양한 업적 중 소규모 유리공방체제, 교육기관 설립, 그리고 다양한 분야와의 융합과 교류를 통한 유리영역의 확립에 기여한 그의 활동을 중점적으로 조사하려고한다. 이 세 가지 요소가 현대유리 발전에 큰 기여를 했을 뿐 아니라 앞으로 한국유리의 활성화를 위해 중요한 지침서가 되기 때문이다. The innovative improvements in materials and manufacturing technologies of the USA in the late 19th century led to a chance for us to more easily experience glass in daily life. Along with the change, since the early 1960’s when Studio Glass Movement was first introduced, the movement has been regarded as one of the ways of how glass artists, designers and other artists in different fields would present their art using glass, and that was what increased the popularity of the modern glass art even more. Dale Chihuly made a contribution to the success of the movement as a key participant of the event. To the general public, Dale Chihuly is more popular as a glass art designer who sets up glamorous chandeliers and huge glass artworks outside. However, he should be actually recognized as both an educator and a pioneer who devoted oneself to spreading Studio Glass Movement to the other parts of the world as well as who created the modern glass. Of various accomplishments that Dale Chihuly had made, this study aims to have an in-depth discussion on his careers and achievements particularly in relation to the small-scale glass handwork system, the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institutes and the development of the field of glass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field with other ones. The study decided to focus on such accomplishments because as far as the study understands, not only did those three factors make an impressive contribution to the growth of the modern glass but also they can be used as important guidelines to increase the popularity of glass in Korea.

      • KCI등재후보

        국내외 유리공방 분석을 통한 유리공예 활성화 방안 연구

        김정석(Kim, Jung-Suk),이지혜(Lee, Ji-Hye)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3 조형디자인연구 Vol.16 No.1

        본 연구자는 한국의 유리를 활성화하기 위해 유리공방을 정착시키는 것이 최적의 방안이라고 생각한다. 이를 위해 한국의 현실에 맞는 유리공방 체제가 무엇인지 조사하고 이를 정착시키기 위한 제도적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우선, 유리발전의 초기 단계에 있는 한국은 유리발전의 구심점 역할을 할 수 있는 공방의 정착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소규모의 개인공방들이 발전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특히 유리가 다른 영역에 비해 많은 시설 및 공간의 투자와 유지비를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작가지원, 연구 및 교육기능을 갖춘 공방이 활성화되는 것이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를 위해 미국, 일본, 유럽의 대형 공방을 중심으로 레지던시 프로그램, 체험학습, 상품 및 재료개발 등의 운영에 대해 살펴보고 한국의 공방과 비교하고자 한다. 특히 유리발전의 중심지 역할을 하며 소형 공방 확산에 큰 기여를 한 필척 유리학교(Pilchuck Glass School), 코닝 박물관(Corning Museum of Glass), 토야마 유리공방(Toyama Glass Studio), 그리고 산학협동 체계가 잘 갖추어진 유럽의 공방 중 한국유리의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되는 사례들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이를 근거로 하여 한국 공방과 해외공방을 비교 분석 하였으며 한국 실정에 적합한 유리공방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works from the perspective that the best way to revitalize Korean glasses is establish stronger glass studios. On this basis, it aims to determine what system would currently fit in Korea, and suggest institutional measures that could be devised to settle the system. First of all, as Korea is just taking the initial steps in the development of a glass-blowing cultu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good glass workshops that can be the nucleus in the development of a stronger glass culture. The settlement of workshops should allow the establishment of a basis for the growth of small-scale private studios. In particular,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glass production requires larger facilities, spaces and investment than other areas, a realistic measure the revitalization of workshops that support artists and provide research and education- should be devi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large sized studios in the US, Japan and Europe in terms of their operations, including residency programs, hands-on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products and materials, and compare them with Korea’s. This research has particularly focused on Pilchuck Glass School, a center for glass development that has greatly contributed to the spread of small-sized studios; Corning Museum of Glass; Toyama Glass Studio; and examples among the European workshops with a well-established culture of academic-industrial cooperation that seemed helpful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glass. Based on the research, this study conducted a SWOT analysis for Korean and foreign studios, and suggested realistic measures to develop Korean glass studios.

      • KCI등재

        뉴미디어 아트와 계급구조의 재생산

        김정석(Kim Jung-Suk)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7 한국문학과 예술 Vol.22 No.-

        이 글은 새로운 예술 형식으로 각광받고 있는 뉴미디어 아트가 현대 한국 사회에서 갖는 의미를 가늠해 보기 위한 것이다. 부르디외에 의하면 문화상품에도 독특한 논리를 가진 경제가 존재한다. 경제 부양에 있어서 문화산업의 역할이 커진 작금에 대중들의 문화소비는 중요한 관심거리가 되었다. 그런 차원에서 문화의 상품화와 더불어 많은 대중들이 손쉽게 다양한 문화를 소비하게 되었다는 것은 긍정적인 일이만, 여전히 고급문화와 저급문화의 구분이 존재하고 그들이 소비하는 문화에 따라 각자의 사회적 계급이 구별됨으로써 차별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 대해서는 반성의 필요가 있다. 디지털 시대를 맞이하면서 문화는 콘텐츠화를 통해 상품으로써의 변화를 시도했고, 예술 역시 새로운 미디어를 끌어들여 표현방식과 향유방식에의 변화를 시도했다. 고전적인 의미의 예술이 고상함을 벗어던지고 대중들의 곁으로 다가오고자 했던 이래로 오늘날만큼 손쉽게 대중들이 예술을 접할 수 있는 시기는 없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현대의 예술이 대중들에게 쉽게 이해되고 향유될 수 있는 것이 되었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특히 일반 대중들이 흔히 사용하고 있는 디지털 기술을 도입한 뉴미디어 아트는 때때로 이해하기 어려울 정도로 난해하며, 때때로 아무런 의미 없음을 감춘 채 예술이라는 명칭 뒤에 숨어 스스로의 가치를 왜곡시키기도 한다. 그러한 현상 뒤에는 예술가와 감상자 사이의 오인(誤認)을 통한 암묵적 동의가 작용하고 있으며, 이는 경제적 자본과 긴밀한 관계를 갖고 있다. 그렇게 볼 때 예술 작품은 예술가에 의해 만들어지고 예술가는 자본에 의해 만들어지는 순환 속에서, 자칫 현대예술은 계급 구분을 결정짓고 상대적 박탈감 혹은 허무감을 양산해내는 자본주의적 아방가르드가 될 위험성을 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This essay is based on an attempt to measure the meaning of new media art, which has been recognized as a new art form in our society. In the opinion of Bourdieu, there is also an economy with a unique logic in the area of cultural products. In these times that the role of the cultural industry has grown in terms of economic stimulation, the cultural consumption of the public has become an important concern. It is positive that with the commercialization of culture, many people have easily consumed various cultures. But it is necessary to reflect on the fact that there is still a distinction between high culture and low culture and that discrimination is achieved by distinguishing the social class according to the culture that people consume. In the digital era, each culture tried to change as a product through commercialization, and the art accepting new media modified the way of expression and enjoyment. Since the art of classical meaning was to throw away the sophistication and to approach the masses, there was no time for the public to see art easily more than these days. But even so, it is difficult to say that contemporary art has become something that can be easily understood and enjoyed by the public. In particular, new media art, which uses digital technology that is commonly used by the general public, is sometimes difficult to understand. And sometimes, hiding empty of meaning, it distorting the value of oneself. Behind such a phenomenon, there is some tacit agreement through misunderstanding between the artist and the viewer. And that collusion of these days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accumulation of capital. Because under the circumstance that art works are created by artists and artists are created by capital, contemporary art becomes a capitalist avant-garde that determines class distinctions and produces relative deprivation or impulse.

      • KCI등재

        마이스터 요제프 알버스가 현대 건축유리 발전에 끼친 영향

        김정석(Kim, Jung-suk)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8 조형디자인연구 Vol.21 No.4

        요제프 알버스가 책임자로 있던 바우하우스 유리공방은 5년이 채 안 되는 짧은 기간 동안 운영되었다. 그렇지만 이 기간 동안 그는 전통적인 스테인드글라스의 형식과 제작 방식에서 벗어나 기하학적이고 추상화된 패턴과 유리의 물성을 강조한 새로운 스타일을 창조하였다. 이와 함께 그로피우스의 도움을 받아 진행된 유리공방 프로젝트는 교회를 대상으로 한 스테인드글라스가 아닌 상업시설과 개인주택의 창문을 디자인하고 설치하는 것이었다. 이는 성경의 말씀을 유리화(琉璃畵)로 전달하고 유리의 화려하고 투명한 색상들이 빛에 투영되면서 교회를 더욱 성스럽게 만드는 도구로 여겨지던 스테인드글라스에 대한 고정 관념을 탈피한 혁신적인 것이었다. 그의 이러한 노력은 스테인드글라스를 현대의 ‘건축유리’(Architectural Glass Art)라는 확장된 영역으로 발전시키는 초석이 되었다. 하지만 유리분야에서의 그의 업적은 모더니즘을 이끈 작가로서의 다재다능한 능력과 교육자로서의 성과에 가려져 왔다. 본고는 유리공방 및 바우하우스가 문을 닫을 때까지의 그의 활동을 살펴보고 유리 작품을 분석함으로써 유럽에서 건축유리가 발전하는데 끼친 그의 역할을 재조명하고 나아가 한국의 건축유리 분야 활성화 모색에 기여하고자 한다. The Bauhaus glass workshop which was headed by Josef Albers was operated for a short period of less than 5 years. However, during the period, he created a new style that emphasized geometric and abstract patterns and glass properties free from the traditional stained glass format and production method. The glass workshop project carried out with the help of Gropius was to design and install windows for public facilities and private houses rather than stained glass for churches. This was a innovative breakthrough from the stereotypes of stained glass, which was considered a means of making the church more sacred as it conveyed the Bible words by glass and its splendid and transparent colors were reflected in the light. His efforts as such have become a cornerstone to develop the stained glass into an extended area of the modern Architectural Glass Art . His achievements in the field of glass, however, have been hindered by his versatility as a modernist writer and his performance as a n educator. This paper is to examine his activities until the closing of the glass workshop and Bauhaus, and analyze the glass works to shed new light on his roles in developing the architectural glass art in Europe to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Korea s architectural glass a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