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사역사건 유발에 대한 다른 세계관 : 유생성과 행위자성

        김은일 한국언어과학회 2014 언어과학 Vol.21 No.1

        This paper discusses the acceptability of inanimate subjects in the transitive clauses describing causative events. Inanimate subjects are not allowed in Korean while they are in English. It argues that this typological difference reflects two contrasting viewpoints on instigating causative events. Korean focuses on the participant's inherent properties such as animacy while English focuses on the participant's actual role such as agentivity in a given situation. In Korean, inanimate entities are not allowed in the subject position regardless of their actual role in a given situation because they are not considered to have the inherent properties, viz. mental and physical capacities, to instigate causative events. In English, however, inanimate subjects are permitted in a situation in which inanimate entities play an agentive role like humans despite their lack of the inherent properties to instigate causative events. This paper also shows that the contrasting viewpoints are reflected in the typological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English in instrumental/associative and goal/recipient case marking system

      • KCI등재

        국문장편소설 서사 확장 원리의 한 면모 –<명주보월빙> 연작의 캐릭터 설정 양상을 중심으로–

        김은일 민족어문학회 2022 어문논집 Vol.- No.9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principle of narrative expansion of Korean full length novels through character setting. Existing studies have discussed 'repeated presentation of character type' as the principle of narrative expansion. However, this study focused on the ‘differentiation’ of the characters. Accordingly, the Myeongjuboweolbing series, which has the largest volume of a series of Korean full length novels, was selected as the main research subject. There are more than 1,500 characters in the Myeongjuboweolbing series. Therefore, the narrative world is vast. In addition, the Myeongjuboweolbing series is a complex form of the Samdae-rok novels and the Yangmun-rok novels. Character setting aspects are arranged in double. It can be divided into ‘split double’, ‘duplicate double’, and ‘transform double’. First, the split double are two characters with opposite qualities such as ‘beautiful/chubby’ and ‘good/evil’. The two characters are differentiated, but ultimately have an integrated meaning. Like the twin brothers Yun Kwang-cheon and Yun Hui-cheon in Myeongjuboweolbing, this is a character who opposes a ‘hero/gentleman’. Second, the duplicate double imitates the parent generation character when setting the descendant generation character. These are Yun Wung-rin in YunHaJeongSammunchui-rok and Yun Kwang-cheon in Myeongjuboweolbing. Third, the transform double uses the same character differently through devices such as reincarnation or transformation. A typical example is Sin Myorang in Myeongjuboweolbing rebirth as Yeo Su-jeong in YunHaJeongSammunchui-rok. In summary, Aspect of the principle of narrative expansion of a series of Korean full length novels can be confirmed through a differentiation strategy through double character setting. 본고는 <명주보월빙> 연작의 캐릭터 설정 양상을 통해, 국문장편소설 서사 확장 원리의 한 면모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명주보월빙> 연작은 약 1,500여 명이 넘는 캐릭터가 등장하여 방대한 서사 세계를 구현하고 있으며, 삼대록과 양문록의 복합적인 형태로 서사의 종적 횡적 확대 양상이 모두 나타나며, 후대의 작품으로 기존 국문장편소설의 관습이 종합적으로 나타난 작품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 국문장편소설의 대표성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국문장편소설의 서사 확장 원리는 주로 사건 중심의 확장에 초점이 있었다. 그에 비해 캐릭터를 통한 서사 확장에는 크게 주목하지 않고, 다만 ‘유형적 캐릭터의 반복 제시’로 범박하게 논의되어 있을 뿐이었다. 그러나 이 글에서는 ‘유형적’으로 묶여 있는 캐릭터들 간의 내적 차이를 만들어 내는 원리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사건의 구조적 반복 속에서도 각기 다른 서사가 진행될 수 있었던 것은 캐릭터 간의 차이에 기인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에 캐릭터 간의 차이를 부여하는 방법으로 짝패 설정에 주목하였고, 이를 ‘분할형 짝패’, ‘모방형 짝패’, ‘전환형 짝패’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분할형 짝패 캐릭터는 둘 이상의 캐릭터로 표현되지만, 통합적 의미를 형성하여 궁극적으로는 한 캐릭터로 통합해도 되는 경우에 해당한다. 모방형 짝패 캐릭터는 자손세대 캐릭터를 설정할 때 부모세대 캐릭터의 기질, 성격, 습성 등에서 일부분을 모방하여 압축하거나 분배하는 등 변주를 꾀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전환형 짝패 캐릭터는 환생이나 변신, 개과천선과 같은 장치를 통해 동일 캐릭터를 다르게 활용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짝패 캐릭터 설정은 차별적인 캐릭터의 대조를 통해 유사한 서사라도 그 양상이 달라지게 하면서 서사의 확장을 꾀한다. 그러면서도 전·후편의 연계성을 확보한다. 또한, 짝패 캐릭터 설정은 또 다른 후속편을 위한 확장성을 만드는 장치로 기능하기도 한다. 즉, 짝패 캐릭터 설정을 통한 차별화 전략은 연작형 국문장편소설의 서사 확장 원리의 한 면모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조경시공 관리에서 사다리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전도 안정성 평가 -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삼각지지형 이동식 사다리를 대상으로 -

        김은일,권윤구,이기열 한국조경학회 2023 韓國造景學會誌 Vol.51 No.5

        본 연구는 조경시공 및 관리분야에서 수목관리, 전지 등과 같은 고소부위 작업을 위해 주로 사용하는 삼각지지형 이동식 사다리의 전도 안정성을 평가한 것이다. 산업현장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이동식 사다리에 포함되는 삼각지지형 이동식 사다리는 작업 특성에 따라 바닥지지 형태가 일반적인 A형의 사면지지가 아닌 삼각지지 방식이고, 작업 높이도 이동식 사다리와 비교하여 2배 이상 높기 때문에 떨어짐과 함께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전도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삼각지지형 이동식 사다리를 대상으로 관련 기준인 ANSI-ASC A14.7과 EN 131-Part 7에서 규정하고 있는 전도 안정성 평가를 기반으로 하여 작업 높이에 따른 전도모멘트와 저항모멘트를 계산할 수 있는 수식을 각각 유도하여 계산한 후, 이 값을 상호 비교하여 전도에 대한 안전율 및 전도 방향에 따른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각 기준에 따른 전도 안정성 평가 결과, EN 131-Part 7의 규정을 적용하면 후면방향 8단과 측면방향으로 6단 이상의 삼각지지형 이동식 사다리는 전도에 대해서 불안정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ANSI-ASC A14.7의 규정에 의하면 방향에 상관없이 모든 단수에서 전도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This study evaluated the overturning stability of portable tripod ladders used for high-altitude work such as tree management and pruning work in landscaping construction and management. Portable tripod ladders, which are included in general mobile or portable ladders frequently used in industrial sites, are supported in a triangular support structure, not a 4-point support like common A-type Ladders. In addition, since the working height is more than twice that of a mobile or portable ladder, the possibility of an overturning accident that threatens the safety of workers with a fall accident is high. Therefore, based on the overturning stability test specified in ANSI-ASC A14.7 and EN 131-Part 7, which are related standards for about 130 types of portable tripod ladders sold and used in Korea. An equation to calculate each moment according to working height was derived. Then, each calculated moment was compared to evaluate the safety factor for overturning and stability. As a result of the overturning stability evaluation according to each standard, when the provisions of EN 131-Part 7 were applied, portable tripod ladders with 8 steps in the rear direction and 6 steps or more in the side direction were evaluated as unstable against overturning, but according to ANSI-ASC A14.7 regulations. It was evaluated that the stability against overturning was secured in all directions and number of steps.

      • KCI등재

        의료문화의 사회학적 의미로서 감염병 환자의 헌법적 해석

        김은일 한국의료법학회 2020 한국의료법학회지 Vol.28 No.1

        In the past, health and sickness of individual members of society have been more accountable to individuals, but modern society places more weight on social responsibility as well as individual responsibility. It means that the whole society is healthy only when the members of society are healthy. Thus, interest in public health, public health, is also increasing. Among them, infectious diseases are closely related to social phenomena from the past, and have a significant connection in recognizing and establishing the concept of public health. And in the modern society, social events about infectious diseases continue to be noticed. In this series of social phenomena, the recognition of infectious patients and the ways of responding to infectious diseases are increasing compared to the past, while the medical treatment is increasing and social perception and prejudice are not much different from the past. Everyone in society has the potential to be infected at any time. Thus, most members of society may have fears and prejudices about infectious diseases. However, while being infected with an infectious disease may be a short-term temporary condition, there are cases of chronic infectious diseases that require long-term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Because infectious diseases can transmit infectious diseases to others, they are suffering from social constraints and reduced economic capacity. Therefore, these infectious patients are trying to form a medical culture that seeks solutions in the culture by expanding awareness of social responsibility. Thus, there is a need to discuss the search for alternatives to social responsibility in the subordinate concept of infectious patients as socially underprivileged. 사회의 구성원 개인에 대한 건강과 질병은 과거에는 개인의 책임이 더 크게 차지하였지만 현대 사회는 개인의 책임뿐만 아니라 사회적 책임도 많은 비중을 두고 있다. 즉 사회 구성원 개개인들이 건강해야 사회 전체가 건강하다는 의미이다. 그래서 공중보건이라는 공적 의료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그 중 감염병은 과거부터 사회적 현상과 밀접한 관련 있어 공중보건이라는 개념을 인식하고 확립하는데 상당한 연관이 있다. 그리고 현대 사회에서도 지속적으로 감염병에 대한 사회적 사건들이 발생하여 주목받고 있다. 이런 일련의 사회적 현상들 속에서 감염병 환자에 대한 인식과 감염병에 대한 대응방식을 과거와 비교하면, 의학은 발전하여 치료 가능한 감염병은 증가하고 있지만 사회적 인식과 편견은 과거와 큰 차이가 없어 보인다. 사회 구성원 누구나 언제든지 감염병 환자가 될 수 있는 잠재적 가능성은 지니고 있다. 그래서 감염병에 대한 공포와 편견을 사회 구성원 대부분이 가지고 있을 수 있다. 하지만 감염병에 이환되어 환자가 되는 것이 단기적인 일시적 상황일 수도 있지만 만성 감염병으로 장기적으로 치료와 재활을 받는 경우도 있다. 또한 감염병이 타인에게 감염병을 전염시킬 수 있다는 이유로 사회적 제약과 경제적 능력감소로 이어져 고통받는 현상이 생기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감염병 환자는 사회적 책임이라는 인식을 확대하여 문화 속에서 해법을 찾는 의료문화를 형성하고자 한다. 그래서 감염병 환자를 사회적 약자라는 포섭된 개념 속에서 사회적 책임에 대한 대안을 찾고자하는 논의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