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고유 담수어종 참갈겨니(Zacco koreanus) 개체군의 계통지리학 및 집단유전학 연구

        김유림,장지은,최희규,이혁제,Kim, Yu Rim,Jang, Ji Eun,Choi, Hee-kyu,Lee, Hyuk Je 한국환경생물학회 2020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8 No.4

        본 연구는 동해유입하천(강릉 연곡천, 양양 남대천), 한강수계(섬강, 속사천), 낙동강수계(길안천)에 서식하는 참갈겨니(Zacco koreanus) 개체군을 대상으로 채집된 110개체로부터 미토콘드리아 DNA COI 유전자(mitochondrial DNA cytochrome oxidase I)를 분자마커로 이용하여 계통지리학적 분석을 수행하고, 추가적으로 강릉 연곡천 상·중·하류 개체군을 대상으로 집단유전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계통지리학 분석 결과, 동해유입하천과 한강수계의 참갈겨니 개체군은 동일한 단일계통을 나타내었고, 낙동강수계의 개체군은 상이한 계통으로 분기됨을 나타내었으며, 다른 수계 계통과의 유전적 거리 수치 범위가 평균 4.0%(3.7~4.2%)로서 동일종 이상 수준을 보여 잠재종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참갈겨니가 서식하는 수계에 따른 형태학적 차이는 연구된 바 있으나 DNA 염기서열의 변이를 이용한 분자유전학적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므로 본 연구 결과는 향후 낙동강수계 참갈겨니 개체군의 계통분류학적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추후 집단유전체학 및 생태학적 분석을 통하여 관찰된 낙동강수계 계통이 다른 종, 잠재종 혹은 단순히 큰 수준의 종내 변이를 나타내는지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강릉 연곡천 상·중·하류에 서식하는 개체군의 집단유전학 분석을 통해 중류의 개체군이 상대적으로 높은 다양성을 나타냈으며 상·중·하류 개체군 간의 유전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상·중·하류 개체군 간 유전자 확산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하며 하천의 개체군 간 연결성을 판단할 수 있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하지만 생태학적 시간 스케일의 연구에 더 적합한 분자마커를 이용한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We conducted a phylogeographic analysis of Korean endemic Zacco koreanus populations inhabiting the East-flowing river (Gangneung Yeongokcheon; GY, Yangyang Namdaecheon; YN), the Han River (Seomgang; SG, Soksacheon; SS), and the Nakdong River(Gilancheon; GA) using the mitochondrial DNA cytochrome oxidase I (COI) gene (619 bp). Population genetic analysis was further performed to assess the population connectivity for the GY river where there is a large number of human-made artificial weirs with several fishways. The phylogeographic analysis revealed that while the populations of the East-flowing river and those of the Han River formed a monophyletic lineage, the Nakdong River individuals represented a distinct lineage with 3.7-4.2% (mean=4.0%) genetic distance from the other lineages. The population genetic analysis of the GY showed that a mid-stream population harbored relatively higher mitochondrial diversity relative to up- and down-stream populations, and there was no genetic differentiation between these three populations. The latter findings might suggest high genetic connectivity between the populations via genetic flow along the fishways. However, an analysis using faster-evolving genetic markers, such as microsatellites, is needed to confirm the findings of high population connectivity. Our study suggests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f cryptic species in Z. koreanus in the Nakdong River basin. However, further study with more individual samples as well as additional markers or even more advanced genomic tools is required to test our hypothesis. Ecological or phenotypic analyses should be conducted to test whether the observed Nakdong River lineage represents a different or cryptic species, or simply hidden, but excessive, intraspecific diversity.

      • KCI등재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을 한 초임중등과학교사의 과학 탐구에 대한 이해

        김유림,최애란 한국과학교육학회 2019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9 No.2

        Despite the continuing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scientific inquiry, research studies have commented that authentic scientific inquiry is not implemented in school science classroom due to a lack of understanding of scientific inquiry by the teach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understanding of scientific inquiry developed by beginning teachers through open-ended questionnaire and semi-structured interview. They voluntarily set up the goal of inquiry-based classes, planned inquiry-based classes, shared and reflected their teaching experience i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for more than a year. It appeared that participant teachers understood scientific inquiry as ‘what scientists do’, ‘process how students do science’ and ‘science teaching methods.’ All teacher participants described scientific inquiry as ‘what scientists do’, and understood ‘the process of doing scientific investigation to solve problems related to natural phenomenon’ and ‘the process of constructing scientific knowledge using scientific practice.’ Two participant teachers seemed to understand scientific inquiry as a ‘teaching method’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how scientists or students do science. Participant teachers had a limited understanding of scientific inquiry that it is the same as laboratory works or hands-on activities prior to engaging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but they developed an understanding of scientific inquiry that there are various ways to conduct scientific inquiry after engaging i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과학 교육에서는 탐구 중심 과학 수업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 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사들의 과학 탐구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교육 현장에서 과학 탐구 수업이 그 의미대로 실행되지 못하고 있다고 여러 선행 연구에서 언급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사학습공동체에서 과학 탐구 수업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자발적으로 설정하고 1년 이상 과학 탐구 수업 계획, 실행 경험 공유, 반성을 함께 한 5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과학 탐구에 대해 어떠한 이해를 갖고 있는지, 과학 탐구에 대한 이해가 어떻게 변화되었다고 인식하는 지를 개방형 설문과 개별 면담 자료를 통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모든 교사들은 과학 탐구를 ‘과학자가 하는 일’로 설명하였으며 구체적으로는 ‘자연 현상에 대한 궁금증을 과학적 탐구 기능을 수행하여 해결하는 과정’, ‘과학 실천을 하여 과학 지식을 구성하는 과정’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또한, 학생들이 과학자의 탐구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과학 탐구라고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참여한 두 명의 교사는 과학 탐구가 과학자 또는 학생이 과학을 하는 과정이라는 이해를 기반으로 과학 탐구를 교수-학습 방법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교사들은 교사학습공동체 활동 전에는 과학 탐구가 실험과 동일하거나 손으로 조작하는 활동이 필수라는 탐구에 대한 제한적인 이해를 가지고 있었으나 교사학습공 동체 활동을 통해 다양한 방법의 과학 탐구가 있으며, 실험을 수행하는 것뿐만 아니라 모형을 개발하거나 사용하여 현상을 설명하고, 학생들 간 증거 기반의 논의에 참여하는 것도 중요한 과학 탐구 과정이 라는 발전된 이해를 가지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Study on the Integration of Fabric Pilling Generation and Evaluation System

        김유림,김성민,Kim, Yurim,Kim, Sungmin The Korean Fiber Society 2016 한국섬유공학회지 Vol.53 No.5

        An integrated pilling formation and evaluation system has been developed to evaluate the fabric pilling automatically and objectively. A pilling generation system was made using custom 3-D printed parts to generate pilling under consistent abrasion condition. A CCD camera was used to capture the images of specimen before and during the abrasion to observe the chronological changes that occur during the pilling generation process. Image analysis technique was used to measure and grade the pilling objectively.

      • KCI등재

        Refractory Duodenal Crohn’s Disease Successfully Treated with Infliximab

        김유림,박영숙,박은경,박대림,최규식,안상봉,김성환,조윤주 대한장연구학회 2014 Intestinal Research Vol.12 No.1

        Crohn’s disease (CD) may involve any part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from the mouth to the anus. Approximately >90% of cases occur in the small bowel and colon. Upper gastrointestinal involvement, especially duodenal manifestation, is relatively rare. Therefore, adequate medical treatment for duodenal CD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We report a case of CD with duodenal involvement. A 46-year-old man with Crohn’s ileocolitis presented to our hospital with right upper quadrant pain. An endoscopy showed a deep excavated ulcer with deformity at the duodenal bulb, and he was initially treated with azathioprine (1 mg/kg), Pentasa (3.0 g/day), and a proton pump inhibitor for 1 year. However, the deep ulcer did not heal. Therefore, infliximab infusion therapy was initiated, and the duodenal lesion completely resolved on follow-up esophagogastroduodenoscopy. We report a case of duodenal CD that completely resolved following infliximab infusion,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 KCI등재

        A Rare Case of Primary Hyperparathyroidism Associated with Primary Aldosteronism, Hürthle Cell Thyroid Cancer and Meningioma

        김유림,Young Woo Jang,Jin Taek Kim,성수아,Tae Seok Lee,Won Mi Lee,Hyo Jeong Kim 대한의학회 2012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Vol.27 No.5

        Multiple endocrine neoplasia type 1 (MEN1) syndrome includes varying combinations of endocrine and non-endocrine tumors. There are also a considerable number of atypical MEN1 syndrome. In this case, a 68-yr-old woman was referred to the Department of Endocrinology for hypercalcemia. Five years ago, she had diagnosed as primary hyperaldosteronism and now newly diagnosed as parathyroid hyperplasia with laboratory and pathologic findings. Hürthle-cell thyroid cancer was also resected during the parathyroid exploration and small meningioma was found on brain MRI. Her general condition has markedly improved and her adrenal mass and meningioma are being closely observed now. We could find the loss of heterozygosity of the MEN1 locus in parathyroid glands, suggesting a MEN1-related tumor, but not a germline mutation. Considering a variety of phenotypic expression and a limitation of current molecular analysis, periodic follow up will be needed in patients with a MEN1-like phenotype.

      • KCI등재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을 한 초임중등과학교사의 과학 탐구 수업에 대한 인식

        김유림,최애란,Kim, Yurim,Choi, Aeran 대한화학회 2019 대한화학회지 Vol.63 No.5

        본 연구는 교사학습공동체에서 과학 탐구 수업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자발적으로 설정하고 1년 이상 탐구 수업 계획, 실행 경험 공유, 반성을 함께 한 5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과학 탐구 수업에 대하여 어떠한 인식을 갖고 있는지 개방형 설문과 개별 면담 자료를 통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 참여 교사들은 과학 수업에서 학생들이 스스로 탐구를 수행함으로써 교육 과정에 제시된 과학 핵심 개념을 형성하는 것이 과학 탐구 수업의 목표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의 참여교사들은 학생들이 과학 수업에서 탐구를 수행하면 '과학 핵심 개념 학습', '과학에 대한 흥미 향상', '과학적 사고력 함양', '과학의 본성 이해' 등의 과학 교육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참여 교사들은 과학 탐구 수업에서 교사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뿐만 아니라 과학 탐구 수업에서 학생들이 탐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교사가 어떠한 역할을 해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수업에서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탐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교사는 '핵심 개념 설정', '과학 실천 기반 교수-학습 내용 재구성', '학생의 수준 고려', '발문 및 피드백 제공', '과학적 개념 설명', '학생들의 활발한 논의 유도'하는 역할을 해야한다고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beginning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f inquiry-based science instruction using open-ended questionnaire and semi-structured interview. Participants of this study voluntarily set up a goal of inquiry-based science instruction, planned inquiry-based science lessons, and shared and reflected their teaching experiences in their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for more than a year. Participant teachers recognized students' construction of core scientific concepts through performing scientific inquiry as a goal of science inquiry instruction. Participant teachers indicated that goals of science education such as 'learning scientific core concepts', 'improving students' interest of science', 'improving scientific thinking', and 'understanding the nature of science' can be achieved through students' active engagement in scientific inquiry. Participant teachers recognized not only the importance of teachers' role, but also what roles science teachers should play in order to enable students to perform scientific inquiry. Participant teachers emphasized teachers' roles such as 'identifying core concepts', 'reorganizing science curriculum', 'considering student ability', 'asking questions and providing feedbacks to students', 'explaining scientific concepts', and 'leading students' argumen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