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용완 ( Yongwan Kim ),김상민 ( Sangmin Kim ),박태양 ( Taeyang Park ),박기욱 ( Kiuk Park ),장민원 ( Minwon Jang ) 한국농공학회 201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0 No.-
환경용수는 전통적인 작물생육 뿐만 아니라 토양, 지하수, 하천 등에 대한 물순환 개선과 생태계 유지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농촌지역 용수 중 하나이다. 최근 환경용수는 하천의 물순환 건전화, 하천생태계의 복원 및 하천을 통한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제고하고 그 지역경제의 성장동력이 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그것의 수요와 필요성이 증가하면서 개념적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아직은 농촌지역의 소규모하천에 적용할 수 있는 명확한 기준과 기술적 뒷받침이 부족한 현실이다. 농촌지역 소하천 환경용수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기존농업용저수지의 활용방안도 모색할 수 있다. 농업용저수지의 농업용수를 제외한 나머지 용수를 이용하여 환경용수량을 확보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은 장기간의 실태조사를 통하여 환경용수의 방류 기준을 찾아야 한다. 여기서는 소하천의 시기별 조건별 하천유량을 조사하여 적정한 방류시나리오 시행을 통해 장기간 실태조사의 자료를 대체하려 한다. 본 연구는 농촌지역 환경 유지의 핵심인 소하천을 대상으로 실제유량을 모니터링하고 하천유지용수의 방류 기준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현재 경남지역을 대상으로 소하천의 구간별 유량을 조사하고 환경용수를 관리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고 있는 단계이며 앞으로 경남지역 소하천의 환경용수 결정을 위한 지표를 만들고자 한다. 경상남도 고성군 하이면에 소재하고 있는 하이저수지와 봉현저수지의 하류 소하천을 대상으로 2010년 5월부터 현재까지 총 5회에 걸쳐 하천의 실제 유량을 조사하고 있다. 하이· 봉현저수지 하류 소하천을 500m씩 나누어 구간별 흐름을 측정하였는데, 구간에 걸쳐 이앙전인 5월의 유량은 0㎥/s∼ 0,2㎥/s, 이앙이 한창인 6월에는 선행강수량 105.5mm인 조건에서 최소 0.2㎥/s, 최대 0.9㎥/s, 우기인 7월∼9월에는 최소 0.4㎥/s, 최대 2.2㎥/s로 구간내 매우 상이한 조사결과를 보였다.
김용완 ( Yongwan Kim ),장민원 ( Minwon Jang ) 한국농공학회 2011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1 No.-
최근 우리나라의 연평균기온은 12.8 ℃로 평년 12.3 ℃보다 0.5 ℃상승하며 21세기에 들어 기온이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한반도의 기후변화는 식물의 생육과 농산물 생산량과 품질 면에서도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아열대 작물의 재배 한계가 북상함에 따라 새로운 가능성이 넓어진 반면 한반도 기후에 적응해오던 온난성 작물은 재배면적이 감소하고 질도 저하되는 변화를 겪고 있다. 또한 급격한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기상의 반복과 악화는 2010년의 배추파동과 같이 식량 확보의 불안정성도 높이고 있다. 작물들의 재배적지 분석을 통해 기후변화에 따른 작물의 피해를 보다 줄이고 효과적인 작물재배가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재배적지의 판단은 기상조건, 토양조건, 물이용조건, 경제적요건, 환경적요건 등 여러 가지 조건들을 고려하여 결정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난지형마늘의 재배적지 변화 양상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현재는 2000년대의 기후학적 난지형마늘의 재배적지를 분석하고 토양조건을 중첩시켜 토양조건과 기후를 고려한 난지형마늘의 재배적지를 분석하고 있는 단계이며 앞으로 난지형마늘의 기후학적 재배적지를 선정하고 미래 기후변화에 따라 난지형마늘의 재배적지를 분석하여 재배적지의 변화를 보이고자 한다. 2000년부터 2010년까지의 기온자료를 발아기, 구비대기 그리고 겨울철 세 기간으로 나누어 정리하고 공간자료를 구축하여 각 기간의 난지형마늘 재배가능지역을 중첩하여 기후학적 재배적지를 분석하였다. 발아기와 구비대기는 산간지역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가능지로 분석되었고 겨울철의 동해조건을 적용한 분석결과는 경남지역과 전남지역에서 난지형마늘이 동해를 입을 확률이 적은 지역으로 분석되었다. 세 기간을 중첩하여 최종 기후학적 재배적지를 분석한 결과는 난지형마늘의 주요생산지인 남해와 무안, 해남지역과 진주시, 사천시, 나주시 등이 적지로 나타났다. 추후 연구를 통하여 토양조건과 물이용조건을 고려함으로서 재배적지 결과를 도출할 계획이다.
초고온헬륨루프 STS316 인쇄기판형 열교환기 예비 열해석
김찬수(Chan Soo Kim),송기남(Ki Nam Song),홍성덕(Sung-Deok Hong),김용완(YongWan Kim) 대한기계학회 2012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2 No.11
KAERI is operating a very high temperature Helium Experimental LooP(HELP)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bench-scale key-components for nuclear hydrogen production. A stainlee steel 316 printed circuit heat exchanger was installed in HELP. Its operation condition is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condition. Therefore, the thermal-stress analysis is required to assure the high temperature structural integrity. In this study, pre-thermal analysis at the effective heat-transfer region is performed to provide input data for the structural analysis. It was assumed that the conduction in the heat exchanger is negligible and the flow distribution of the channels is uniform. The calculated results show that the uniform flow distribution results in the non-uniform pressured drop distribution. In the future, the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analysis will be required at the uniform pressure drop distribution condition. The analytical results will be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in HELP.
장용석(Yongseok Jang),김용완(Yongwan Kim),손욱호(Wookho Son),김경환(Kyunghwan Kim) 한국HCI학회 2007 한국HCI학회 논문지 Vol.2 No.2
3D/가상환경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3D 인터랙션에 관한 연구는 이동(navigation), 선택(selection), 조작(manipulation), 시스템 제어(system control)와 같은 기본적인 4가지 형태의 상호작용으로 정의하고 광범위하게 연구되어 왔으며, 일반적으로 현실세계나 가상환경에서 작은 물체라도 상호작용하기에 적합한 기술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비직관적인 상호작용 방법은 최근 산업계에서 필요시 되고 있는 가상 훈련이나 가상 디자인/사용성 평가 시스템과 같이 사용자가 도구나 장치를 사용하여 간접적으로 물체를 조작해야 하는 비직관적인 상호작용 방법이 아닌, 자신의 손으로 직접 물체를 만지거나 조작할 수 있는 직관적인 상호작용 방법이 필요한 고품질, 고정밀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방법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직관적이며 자연스러운 상호작용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으로 고정밀 핸드 조작과 사실적 역ㆍ촉감을 제공하는 장갑형 핸드 인터페이스 장치 및 햅틱 장갑 장치와 6자유도 햅틱 장치로 구성된 핸드 햅틱 인터페이스를 제시하고자 한다. Several researches in 3D interaction have identified and extensively studied the four basic interaction tasks for 3D/VE applications, namely, navigation, selection, manipulation and system control. These interaction schemes in the real world or VE are generally suitable for interacting with small graspable objects. In some applications, it is important to duplicate real world behavior. For example, a training system for a manual assembly task and usability verification system benefits from a realistic system for object grasping and manipulation. However, it is not appropriate to instantly apply these interaction technologies to such applications, because the quality of simulated grasping and manipulation has been limited. Therefore, we introduce the intuitive and natural 3D interaction haptic interface supporting high-precision hand operations and realistic haptic feedback.
중재적 방사선 시술 시 환자선량에 대한 참고 준위 비교
박혁(Hyeok Park),김용완(Yongwan Kim),전주섭(Juseob Jeon) 한국방사선학회 2012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6 No.1
중재적 방사선 시술 시 환자의 피폭선량을 시술별로 분류하여 측정 및 평가하여 안전관리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검사는 시술별(TACE, EVAR, Iliac stent, Lower Limb, BAE, Embolization, PTBD, PTGBD, Abscess, Nephrostomy)로 투시시간, 면적선량, 영상획득이미지 수를 측정하였다. 시술별 분석결과 비혈관계 검사에서 전반적으로 낮은 값을 보였으며, 혈관계 검사에서는 IVC filter를 제외한 모든 검사에서 높은 값을 나타냈다. 투시시간은 EVAR가 24m30s로 가장 높았고, 면적선량 또한 EVAR가 236 Gy/㎠로 가장 높았다. 면적선량률은 TACE가 22.8 Gy/㎠로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토대로 중재적 방사선시술시 환자피폭선량에 대한 기준선량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and evaluate radiation dose on patients in interventional radiological(IVR) procedures classified by each procedure, and aid as data for safety management. Fluroscopy time(F-time), dose area product(DAP) and number of acquired images from each kind of procedure was checked. Non-vascular procedures showed low value, and vascular procedure showed high value in all procedures except in IVC filter. F-time was longest in EVAR, which showed also the highest DAP value of all procedures. DAP-rate showed high value in TACE. By this result, we attempt to establish standard guideline of radiation dose on patients in IVR procedure.
가상 근신(近身) 공간에서의 작업 성능과 사용자 존재감 향상을 위한 상호작용 신체 모델과 인터페이스
양웅연 ( Ungyeon Yang ),김용완 ( Yongwan Kim ),손욱호 ( Wookho Son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1 No.2
본 논문에서 우리는 가상현실 시스템의 구축에 있어서, 사용자의 직접 상호작용 (direct interaction)을 기본으로 하는 근신 공간(near-body space) 작업에서 사용자의 존재감 (Presence) 향상과 작업 성능 향상을 위하여, 사용자와 공간적 및 감각적으로 일치된 가상 인체 모델의 구현을 중심으로 현재의 기술 현황 및 연구 개발 방향에 대하여 기술한다. 이상적인 가상현실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 고려되어야 할 요소를 멀티모달 상호작용과 실감 일치형 인터페이스 개발 방법론의 관점에서 보면, 사용자가 접하는 가상 공간의 시각적 모델(visual perception)과 자기 동작 감각적(proprioceptive) 모델의 일치가 중요하다. 그러므로, 시각적으로 사용자의 움직임과 일치된 자신의 신체가 가시화 되어야 하고, 자연스러운 근신 공간 직접 상호작용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사실적인 햅틱 피드백 요소가 중요하며, 공간적 정보를 표현 함에 있어서 동기화 된 사실적 청각 피드백 요소의 지원이 중요하다. 앞의 주요 3 가지 감각 인터페이스 방법(sensory channel, modality)는 현재의 불완전한 인터페이스 기술의 한계를 고려하여 상호 보완적인 관계로 응용 환경에 최적화된 적용 방법이 연구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