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치어기 넙치 사료내 ${\beta}-1,3$ 글루칸의 첨가가 성장 및 비특이적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김영철,김강웅,이승형,박건준,강용진,배승철,Kim, Young-Chul,Kim, Kang-Woong,Lee, Seung-Hyung,Park, Gun-Jun,Okorie, Okorie Eme,Kang, Yong-Jin,Bai, Sung-Chul C. 한국양식학회 2006 韓國養殖學會誌 Vol.19 No.4

        본 실험은 치어기 넙치에 잇어서 ${\beta}-1,3$ 글루칸을 사료내 첨가시 성장, 비특이적 면역반응 및 질병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사료내 ${\beta}-1,3$ 글루칸을 수준별 첨가하여 실시였다. 실험어는 평균무게 3.2 g인 넙치 치어를 사용하였으며, 기초사료에 ${\beta}-1,3$ 글루칸을 대조구, ${\beta}-1,3$ 글루칸 0.01, 0.025%, 0.05% 및 0.1%를 각각 첨가하여 총 5개 실험구로 3반복배치하여 6주간 실시하였다. 총 6주간의 성장 실험결과, 면역증강물질인 ${\beta}-1,3$ 글루칸의 첨가에 따르는 사료효율과 단백질전환효율에 있어서 ${\beta}-1,3$ 글루칸 0.1%를 공급한 사료구가 대조구와 다른처리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냈다(P<0.05). 증체율과 일간성장율에 있어서는 ${\beta}-1,3$ 글루칸 0.1%를 공급한 사료구가 대조구, ${\beta}-1,3$ 글루칸 0.01%, 0.025%를 첨가한 구보다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었지만 ${\beta}-1,3$ 글루칸 0.05%구와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비만도에 있어서는 ${\beta}-1,3$ 글루칸 0.05%와 0.1%를 첨가한 구가 대조구와 첨가구보다는 유의적으로 높았다. 헤마토크리트치는 ${\beta}-1,3$ 글루칸 0.05%와 0.1%첨가한 실험구가 대조구와 ${\beta}-1,3$ 글루칸을 0.01%와 0.025%를 첨가한 실험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혈청내 GOT에 있어서 ${\beta}-1,3$ 글루칸 0.05%와 0.1%를 첨가한 실험구가 대조구, ${\beta}-1,3$ 글루칸 0.01%와 0.025%를 첨가한 실험구보다 유의하게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비특이적 면역반응 결과에 있어서는 ${\beta}-1,3$ 글루칸을 0.05%와 0.1%를 첨가한 실험구가 혈청의 lysozyme 활성 및 두신 phagocyte의 chemiluminescent(CL) 반응에서 대조구, ${\beta}-1,3$ 글루칸 0.01%와 0.025%를 첨가한 실험구보다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보체대체활성의 경로에 있어서는 전실험구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공격 실험 결과에서는 ${\beta}-1,3$ 글루칸을 첨가한 실험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초기폐사율이 낮음을 확인할수 있었으며, 상기 결과를 토대로, 넙치 치어의 경우 ${\beta}-1,3$ 글루칸을 0.05% 이상 0.1% 미만을 사료에 첨가하는 것이 성장, 사료효율 증진, 항산화능 및 질병저항성에 가장 좋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을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beta}-1,3$ glucan on growth and immune responses in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fed the white fish meal based diets for 6 weeks. Five experimental diets supplemented with ${\beta}-1,3$ glucan at 0, 0.01, 0.025, 0.05, 0.1 % (Control, $G_{0.01},\;G_{0.025},\;G_{0.05}\;and\;G_{0.1}$, respectively) of diet on a dry-matter basis. Five experimental diets were formulated to be isonitrogenous and isocaloric to contain 50.0% crude protein and 16.7 kJ available energy $g^{-1}$. Fish averaging $3.2{\pm}0.1\;g\;(mean{\pm}SD)$ were randomly distributed in each aquarium as triplicate groups of 15 fish. Weight gain (WG, %), specific growth rate (SGR, %), and feed efficiency (FE, %) of fish fed $G_{0.1}$ diet were foun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fish fed Control, $G_{0.01},\;G_{0.025}\;and\;G_{0.05}$ diets (P<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fish fed control, $G_{0.01},\;G_{0.025}$. Chemiluminescent responses (CL) of fish fed $G_{0.1}$ diet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fish fed the other diets. Serum lysozyme activities of fish fed $G_{0.05}$ and $G_{0.1}$ diets were higher than those of fish fed control, $G_{0.025}$ and $G_{0.05}$ diets. Fish fed $G_{0.1}$ diet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cumulative mortality than did fish fed control diet throughout the challenge test (P<0.05).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based on growth rate, feed efficiency, non-specific immunity and protection against microbial infections the optimum dietary ${\beta}-1,3$ gulcan could be greater than 0.05% but less than 1.0% in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ilvaceus.

      • KCI등재

        Induced systemic resistance and plant growth promotion of a phosphate-solubilizing bacterium, Enterobactor intermedium 60-2G

        김영철,김철홍,김길용,조백호,Kim, Young-Cheol,Kim, Chul-Hong,Kim, Kil-Young,Cho, Baik-Ho Korean Society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2002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35 No.4

        인산가용 미생물인 Enterobacter intermedium 60-2G의 식물생장촉진 능력과 흑성병균인 Cladosporium cucumerinum에 대한 유도전신저항성 능력을 오이와 오이 흑성병균을 모델로 확인하였다. E. intermedium 을 처리한 오이는 물을 처리한 control에 비해 C. cucumerinum에 의한 흑성병의 병징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또한 E. intermedium를 처리한 오이는 식물 생장촉진효과도 보였다. Strain 60-2G은 Fusarium oxysporum와 Magnaporthe grisea을 포함한 여러 식물 병원 곰팡이에 대해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인산가용능력을 가진 E. intermedium 60-2G는 식물의 생육을 증진시키는데 관여하는 여러가지 유익한 형질을 가진 아주 유용한 생물적 방제균임을 밝혔다. A phosphate-solubilizing bacterium, Enterobacter intermedium 60-2G, was examined for plant growth-promotion and induction of systemic resistance using a model system of cucumber and scab disease, caused by Cladosporium cucumerinum. Compared with a nonbacterized control, treatment of cucumber with E. intermedium significantly reduced the severity of scab disease after challenge-inoculation with C. cucumerinum. Treatment of cucumber with E. intermedium also enhanced cucumber growth. The 60-2G strain showed a stro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everal plant pathogenic fungi including Fusarium soysporum and Magnaporthe grisea. These results suggest the E. intermedium 60-2G is a promising candidate as a biological control agent displaying multiple beneficial properties to promote plant health.

      • KCI등재

        초소형 전자칼럼을 위한 마이크로 자기장 디플렉터 연구

        김영철,김대욱,안승준,김호섭,박성순,박경완,황남우,Kim, Young-Chul,Kim, Dae-Wook,Ahn, Seung-Joon,Kim, Ho-Seob,Park, Seong-Soon,Park, Kyoung-Wan,Hwang, Nam-Woo 한국광학회 2007 한국광학회지 Vol.18 No.6

        We have fabricated a magnetic micro-deflector for a microcolumn system and tested its performance by operating it in the low energy region. The micro-deflector is composed of Cu coils around cylindrical cores with $500{\mu}m$ diameter. The diameter of the Cu coil itself is $100{\mu}m$. Two pairs of deflectors designed for a 2-dimensional scan, that is X and Y deflection, are fixed on an insulating plate. The low power performance of a magnetic micro-deflector attached to a microcolumn system has been tested and the magnitude of deflection is measured to be ${\sim}100{\mu}m/A$, which offers the possibility for practical applications of the magnetic micro-deflector. 초소형 전자칼럼을 위한 마이크로 자기장 디플렉터를 제작하여 저에너지 영역에서 디플렉터의 동작 특성을 확인하였다. 마이크로 디플렉터는 지름이 $500{\mu}m$의 원통형 코어에 감겨진 $100{\mu}m$ 지름의 Cu 코일로 구성되어 있다. 두 쌍의 디플렉터는 $10{\times}10mm$ 크기의 절연 기판에 고정되어 전자빔을 2차원 스캔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마이크로 자기장 디플렉터를 부착한 초소형 전자칼럼을 저전력으로 시험 구동한 결과 $100{\mu}m/A$의 편향 결과를 얻어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초소형 전자 칼럼 설계를 위한 전자 방출원 연구

        김영철,김대욱,안승준,김호섭,장원권,Kim, Young-Chul,Kim, Dae-Wook,Ahn, Seung-Joon,Kim, Ho-Seob,Jang, Won-Kweon 한국광학회 2002 한국광학회지 Vol.13 No.4

        저전압(~1 ㎸)에서 구동되어 수 ㎁의 전류를 얻을 수 있는 초소형 전자 칼럼(microcolumn) 설계를 위한 프로브(probe) 빔의 직경이 최소가 되는 전자 광학계의 조건을 조사하였다. 프로브 빔의 최소 직경은 전자 방출원의 특성에 의존하는데, 동일 조건의 광학계에 대하여 thermal field emitter(TFE)인 경우 ~20 ㎚인 반면 cold field emitter(CFE)인 경우 ~10 ㎚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We examine the adjustment of the semiconvergent angle and current for the miniaturized micro column working at low voltage but producing maximized current. Our study shows that the minimum electron beam sizes are 10 ㎚ for the cold field emitter (CFE) and 20 ㎚ for the thermal field emitter (TFE) at a given condition.

      • KCI등재

        간단한 지수함수를 패턴 밀도 함수로 이용한 LGP 패턴 설계

        김영철,김대욱,오태식,이용민,안승준,김호섭,Kim, Young-Chul,Kim, Dae-Wook,Oh, Tae-Sik,Lee, Yong-Min,Ahn, Seung-Joon,Kim, Ho-Seob 한국광학회 2010 한국광학회지 Vol.21 No.3

        전산모사를 통하여 LGP 출력 분포를 조절할 수 있는 패턴 밀도 함수를 찾고 그 효과를 조사하였다. 패턴 밀도 함수, 즉 패턴 간격은 [Pexp(-y/70)+Qexp(+y/25)]R로 조사되었다. 이 함수를 이용하여 패턴의 간격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반구형 패턴이 장착된 도광판을 설계하여 도광판 출력 분포를 분석한 결과 출력 분포가 등간격 패턴에 의한 출력 분포에 비하여 확연히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 함수를 피라미드 패턴에 적용하여 도광판의 출력을 조사하였는데, 반구형 패턴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출력 분포가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A pattern density function using simulation analysis for controlling LGP output distribution was proposed. The pattern density function was found as [Pexp(-y/70)+Qexp(+y/25)]R. We analyzed the LGP output distribution of a hemi-sphere pattern using the function and then found that its output distribution was clearly improved as compared with that of the equi-distance pattern. We found that the density function works well for the pyramid pattern case as well as.

      • KCI등재

        공황장애 환자에서의 갑상선 지표

        김영철,Kim, Young-Chul 대한수면의학회 1995 수면·정신생리 Vol.2 No.1

        The author compared indices of thyroid function in 76 patients with panic attack and 80 control subjects. And SCL-90-R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sychiatric symptoms and thyroid indices in the patients with panic attack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No siginificant differences in T3, T4 or TSH were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But T3 level was significantly lower in male panic patients than male controls(p<0.005). 2) The T3 level was significantly lower in male panic patients who had higher depression socre than average in SCL-90-R(p<0.025). 3) The TSH level was significantly lower in patients with higher anxiety(p<0.001) and phobia(p<0.05) score and in female panic patients(p<0.001) with higher anxiety and phobia score than average in SCL-90-R. 4) The phobic symptom(p<0.001) was siginificantly higher and the T3 level(p<0.005) was lower in the male than the female patients with panic attack.

      • KCI등재

        외상성 뇌손상 후의 불안장애

        김영철,Kim, Young-Chul 대한생물정신의학회 2000 생물정신의학 Vol.7 No.1

        외상성 뇌손상으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범불안장애, 공황장애, 강박장애, 공포장애 등의 불안장애가 비교적 흔히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빈발하는 불안장애인데 비해 의사들로부터 적절하게 관심을 받지도 못했으며 치료받지도 못하였다. 외상성 뇌손상 후 불안장애는 뇌손상 자체에 의해, 뇌손상과 기능상실에 대한 환자 또는 간호인의 반응에 의해 증상이 발생하기도 하고 지속되기도 한다. 의사는 이들 환자들을 진단하고 치료하기 위해서는 우선 뇌손상의 기전과 양상에 대해 지식이 있어야 하며, 불안증상을 호소하는 외상성 뇌손상 환자를 이해하고 수용하고 지지해주는 태도를 취해야 하며, 불안증상이 뇌손상에 의한 것인지 통상적인 불안 증상인지 확인해야 한다. 이들 뇌손상 환자들은 약물의 부작용에 아주 취약하기 때문에 약물치료시에는 약물의 작용기전은 말할 것도 없고 부작용에 대해 잘 알고 있어야 한다. Traumatic brain injury(TBI) is generally considered to be a risk factor for psychiatric disorders, especially depression and anxiety disorder. Despite the anxiety disorders are frequent sequelae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the patients have not been payed medical attention and treated by doctors properly. The factors of precipitating and sustaining the anxiety disorders after TBI are brain injury itself, and the patient's or caregiver's response to the disability after TBI. To diagnose and treat them effectively, the knowledge about the mechanisms of and symptoms after TBI have to be needed. Psychiatrist should be a supportive and good listener to the patients who are complaining anxiety symptoms and differentiate whether the psychiatric symptoms are due to TBI or not. Because the TBI patients are very sensitive to drug side effects, doctors have to be familiar with the side effects as well as the mechanisms of action of the common psychotropics.

      • KCI등재

        수면의 공황증

        김영철,Kim, Young-Chul 대한수면의학회 1997 수면·정신생리 Vol.4 No.1

        Nocturnal panic involves sudden awakening from sleep in a state of panic characterized by various somatic sensation of sympathetic arousal and intense fear. Many(18-71%) of the spontaneous panic attacks tend to occur from a sleeping state unrelated to the situational and cognitive context. Nocturnal panickers experienced daytime panics and general somatic sensation more frequently than other panickers. Despite frequent distressing symptoms, these patients tend to exhibit little social or occupational impairment and minimal agoraphobia and have a high lifetime incidence of major depression and a good response to tricyclic antidepressants. Sleep panic attacks arise from non-REM sleep, late stage 2 or early stage 3. The pathophysiology and the similarity of nocturnal panic to sleep apnea, dream-induced anxiety attacks, night terrors, sleep paralysis, and temporal lobe epilepsy are discussed.

      • KCI등재

        홍차추출물 함유 누드팩의 Hairless 마우스 피부주름 형성 억제효과

        김영철,박은예,김상남,유용기,박미순,이귀영,이석준,장병수,Kim, Young-Chul,Park, Eun-Ye,Kim, Sang-Nam,Yoo, Yong-Gi,Park, Mi-Soon,Lee, Gui-Yeong,Lee, Suk-Jun,Chang, Byung-Soo 한국현미경학회 2011 Applied microscopy Vol.41 No.2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hibitory effect of nude pack containing black tea water extract (NPBT) on skin wrinkle formation in hairless mice. Skin wrinkles were induced by UVB irradiation to the backs of hairless mice for 5 weeks. And at the same time, NPBT was applied topically. Wrinkle formation, histological changes,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3 (MMP-3) and protein activities of MMP-2 and MMP-9 were observed or analyzed. Wrinkles for the control group were formed as a pattern of deep furrows and thick crests. Whereas wrinkles for the NPBT treated group were formed as a pattern of shallow furrows and thin crests, and their wrinkle areas were significantly (p<0.001)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Collagen fibers were arranged irregularly and sparse in density and some elastic fibers were degenerated in the control group, while they were almost intact in the NPBT treated group. MMP-3 mRNA expression in the control group was significantly (p<0.001) higher than the normal group, and that of NPBT treated group was significantly (p<0.001)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The NPBT treated group showed remarkably lower protein activities of MMP-2 and MMP-9 than the control group. NPBT could have a considerable inhibitory effect on skin wrinkle formation in hairless mice. 홍차함유 누드팩의 피부주름 형성 억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SKH-1 hairless 마우스 등 부위에 UVB를 5주간 조사하여 주름을 유발시키고 이와 병행하여 홍차함유 누드팩을 도포한 실험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육안적인 피부주름 양상 비교에서, 대조군은 정상군에 비해 주름 능선의 두께가 굵고 간격이 넓으며 주름이 깊게 형성된 반면, retinoic acid를 도포한 양성대조군과 홍차함유 누드팩 도포군은 대조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주름 능선의 두께가 얇고 간격이 좁은 양상을 띠었으며 주름 총넓이 수치가 유의하게(p<0.001) 낮았다. (2) 피부의 조직학적 관찰에서, 대조군은 정상군에 비해 진피층내 교원섬유의 배열이 불규칙하고 양이 많이 줄어들었으며 변성된 탄력섬유가 군데군데 엉겨 있는 탄력섬유증이 관찰된 반면, 양성대조군과 홍차함유 누드팩 도포군은 대조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교원섬유의 배열이 규칙적이고 밀도가 조밀하며 변성된 탄력섬유의 양이 줄어 있었다. (3) 피부조직의 MMP-3 mRNA 발현량 측정 결과, 정상군에 비해 대조군은 유의하게(p<0.001) 높았으며 양성대조군과 홍차함유 누드팩 도포군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p<0.001) 낮았다. MMP-2와 MMP-9 단백질 활성 측정 결과, 대조군은 정상군에 비해 현저하게 높은 반면, 양성대조군과 홍차함유 누드팩 도포군은 대조군보다 현저하게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홍차함유 누드팩 도포군은 hairless 마우스에서 세포외 기질단백질의 분해 억제와 피부주름 형성 억제효과를 보였음을 확인하였다.

      • 패턴인식용 VLSI 펄스형 디지탈 다계층 신경망의 구조및 동작 특성

        김영철,이귀상,Kim, Young-Chul,Lee, Gyu-Sang 대한전자공학회 1996 전자공학회논문지-B Vol.b33 No.1

        대규모 병렬처리가 가능하고 칩당 뉴론 집적도가 높은 펄스형 디지털 다계층 신경망 구조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신경망에서는 대수적인 신경망연산이 의사-랜덤 펄스 시퀀스(pseudo-random pulse sequences)와 단순 디지털 논리 게이트를 이용하여 확률적 프로세스로 대치되었다. 확률적 프로세스의 결과로 나타나는 신경망 연산의 통계적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랜덤잡음의 영향과 연산의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이진인식 문제를 적용하여 제안된 신경망의 성능을 평가하고 제시한 통계적 분석결과의 정당성을 검증하였다. Gate 레벨과 register transfer 레벨로 기술된 신경망의 VHDL 모델의 시뮬레이션 결과는 개발된 통계적모델로 예측된 인식추정치와 실제 인식률이 거의 일치함을 보였으며, 또한 숫자인식률에 있어서도 일반 Back-Propagation 신경망의 인식률과 거의 차이가 없음을 보였다. In this paper, a pulse-mode digital multilayer neural network with a massively parallel yet compact and flexible network architecture is presented. Algebraicneural operations are replaced by stochastic processes using pseudo-random pulse sequences and simple logic gates are used as basic computing elements. The distributions of the results from the stochastic processes are approximated using the hypergeometric distribution. A statistical model of the noise(error) is developed to estimate the relative accuracy associated with stochastic computing in terms of mean and variance. Numerical character recognition problems are applied to the network to evaluate the network performance and to justify the validity of analytic results based on the developed statistical model. The network architectures are modeled in VHDL using the mixed descriptions of gate-level and register transfer level (RTL). Experiments show that the statistical model successfully predicts the accuracy of the operations performed in the network and that the character classification rate of the network is competitive to that of ordinary Back-Propagation netwo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