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Polyacrylamide 수용액의 Dean 불안정성에 관한 연구

        김연숙,김종엽 ( Yeon Sook Kim,Chong Youp Kim ) 한국화학공학회 1996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34 No.4

        Experimental studies on the Dean`s instability of aqueous solution of polyacrylamide were performed for the flow in a curved channel with the aspect ratio of 1 : 35. The range of Dean number investigated was up to 100. The critical Dean number, wave number and pressure drop vs. Dean number were examined for distilled water to validate the experimental set-up and found to be in agreement with the values reported in the literatures. The nonlinear characteristics after the onset of instability were also in good agreement with the recent report. The critical Dean number decreased with polymer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relation Dn_c= 39 - 0.078c(Dn_c : critical Dean number; c : concentration) when c was smaller than 100 ppm. The wave number at the onset was smaller and in the range of 3-3.5. But it increased to the same value of 5.0 after the onset as in the case of Newtonian fluid. The present study reveals that both the base flow in the curved channel and Dean vortices become more unstable due to elasticity.

      • KCI등재

        구강내 만성염증병소에서 보이는 형질세포육아종의 면역조직화학적 관찰

        김연숙,이석근,Kim, Yeon-Sook,Lee, Suk-Keun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2011 Maxillofacial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 Vol.33 No.1

        Purpose: Chronic inflammatory gingival lesions occur as pyogenic granulomas or non-specific chronic suppurative lesions. Methods: Of the 59 chronic inflammatory gingival lesions examined, plasma cell granuloma (n=14), which showed an intense antibody-mediated immune reaction with the increased infiltration of plasma cells, was observed as a pseudotumor-like gingival overgrowth and myofibroblastic or fibrohistiocytitc proliferation of stromal cells with a heavy collection of plasma cells. The levels of CD3, CD20, CD31, CD68, RANKL, cathepsin G, cathepsin K, lysozyme, TNF${\alpha}$, MMP-2, and MMP-9 in the 14 cases of gingival plasma cell granuloma with immunohistochemical detection were measured to determine the pathogenetic progresses of the plasma cell granuloma compared to the common pyogenic granuloma (n=45) in the gingiva. Results: The gingival lesions of the plasma cell granuloma could be divided into three histological types, plasma cell predominant type (PPT, n=8), mixed inflammatory cell type (MICT, n=2), and sclerosed fibrosis type (SFT, n=4). The PPT showed a condensed infiltration of plasma cells into the perivascular spaces of the granulomatous lesion with frequent formation of Russel's body in their cytoplasm. The MICT showed the concomitant infiltration of many macrophages together with plasma cells, resulting in the diffuse destruction of stromal fibrous tissue. The SFT showed granulomatous lesions replaced gradually by thick collagenous fibrous tissue, resembling an inflammatory pseudotumor. The SFT expressed strongly the lymphocytic markers, CD3 and CD20, and the macrophage/monocyte markers, CD31 and CD68, but showed reduced expression of common inflammatory markers, TNF${\alpha}$, cathepsin G, lysozyme, MMP-2, and MMP-9, as well as the reduced expression of osteoclastogenic markers, RANKL and cathepsin K.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gingival plasma cell granuloma shows variable gene expression for cell-mediated immunity and stromal tissue degeneration, undergoing sclerotic fibrosis with a persistent inflammatory reaction.

      • 고속 인터넷 접속 방법들에 대한 성능 분석

        김연숙,김길용,이정태,Kim, Yeon-Sook,Kim, Gil-Yong,Lee, Jung-Tae 한국정보처리학회 2000 정보처리논문지 Vol.7 No.10

        The developmenl and ]Jopulmization of Internet changes our whole Life style. Nowadays, the research on the digital network in home(HAN, Home Area Network) is now under studying This technology is more and more required accordmg to development of digitalized household e1ecil1c allplmnces and the digItal data/control network The Intemet technology requirement in ome Area is also on the increase The Internat Icchnology now using in home is through ADSL modem and Cable modem. From now on, the prospect of the Home Area Network environment will be developed until FTTH(Fibcr To The Home) In this paper, we mcssure the network propagation perfonnance to verify which the user in home can enjoy the diiltal multimedia data throngh these high speedinternet technology. We also measme another performance when we use these high speed mternet technology as FTTH. 인터넷의 급속한 확산은 우리의 생활 전반을 뒤흔들고 있다. 특히, 가정에서의 네트워크 환경은 댁내 통신망(Home Area Network)이라는 이름으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중이다. 댁내의 가전기기들이 점차 디지털화 되고 네트워크 기술을 요구하게 됨에 따라 가정에서의 인터넷 사용 요구도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현재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고속 인터넷 기법으로는 케이블 모뎀과 ADSL 모뎀이 있다. 또 앞으로는 FTTH까지 발전할 것으로 전망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고속 인터넷 기법들을 가정에서 이용할 경우에 사용자들의 멀티미디어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지를 확인하기 위해 실제 제공받을 수 있는 성능을 측정하였다. 또 초고속 시험망을 이용하여 FTTH를 사용할 경우에 우리가 제공받을 수 있는 성능을 측정하였다.

      • KCI등재

        1930년대 김유정 소설에 나타난 ‘금(金)’과 경제적 상상력의 표상 -조선 후기 야담 <개성상인(開城商人)>과 비교를 중심으로-

        김연숙(Kim, Yeon-Sook),진은진(Jin, Eun-Jin) 우리문학회 2021 우리文學硏究 Vol.- No.71

        본 연구는 조선 후기 야담 <개성상인>과 1930년대 김유정의 소설에 나타난 ‘금(金)’ 서술방식을 통해 경제적 상상력이 드러나는 양상을 살펴보고자 했다. 본 연구에서 조선 후기와 1930년대의 ‘금’ 이야기에 주목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이다. ‘금’은 보물-귀한 존재-이자, 화폐적 가치로 환산되는 복합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 조선 후기는 자본주의적 사회경제로 이행하는 변화를 보여주며, 1930년대는 식민지배의 일상화가 고착되면서 자본주의적 풍조가 확산되었던 시기라는 중요성이 있다. 본 연구의 논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야담 <개성상인(開城商人)>에서 ‘금’은 귀한 보물임과 동시에 구체적인 수치로 계산가능한 재화로 서술되었다. 나아가 경제적 이익이 계산 가능하고, 그것을 축적하려는 개인의 경제적 욕망은 정당하다는 사실을 서술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경제적 가치와 이익에 대한 공통감각을 확인하고, 이를 공유하는 공동체 구성의 징후를 보여주었다. 둘째, 야담에서 ‘금’을 화폐적 가치로 계산하는 방식은 김유정 소설에서 더욱 복합적인 양상으로 드러났다. 김유정의 소설에서는 서로 다른 인물이, 서로 다른 시공간적 기준을 전제로 ‘금’으로 얻어질 이익을 계산한다. 이에 따라 사물과 ‘부(富)’에 대해 비교가 가능해지며, 인격적 범주에도 화폐적 가치가 개입함을 보여주었다. 셋째, ‘금’에 대한 욕망은 야담에서 구체적으로 서술되었으며, 김유정 소설에서는 그 탐욕이 무한증식하여 물신화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특히 김유정 소설에서 ‘금’은 무엇과도 교환가능한 절대적 수단이자 그 자체가 절대 목적이 되어버리는 전도된 양상을 드러내주었다. 넷째, 야담에서 나타난 경제적 상상력과 그로 인한 변화는 1930년대 식민지 자본주의에서 공허한 황금욕망의 파국으로 귀결되었다. 이런 의미에서 김유정의 ‘금’소재 소설들은 식민지 자본주의 현실에서 개인의 주체적 욕망 추구가 불가능함을 역설적으로 알려주는 것이었다. 결국 조선 후기의 야담은 ‘금’이라는 공통 척도가 마련되는 양상을, 김유정의 소설은 그 이후 부정적 극단으로 치달아간 모습을 드러내 준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consider the changes in economic imagination through the narrative method of the late Joseon Dynasty"s Yadam “Gaeseong Merchants” and the 1930s novels of Kim Yu-jeong. This study draws attention to the gold story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1930s for the following reasons: gold has complex characteristics that translate into treasure-precious existence-interest and monetary value. Additionally, the late Joseon Dynasty demonstrated a shift toward capitalism, and importantly the 1930s were a time when colonial rule became stronger and capitalism spread. The results of the discussion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gold was described as a precious treasure and a commodity that could be calculated and accounted by the Yadam “Gaeseong Merchant”. “Gaeseong Merchants” revealed that economic benefits are computable and that individuals’ economic desire to accumulate them is justified. This demonstrates signs of the formation of communities that share a common sense of economic values and interests. Second, the method of calculating and using gold as a monetary value in Yadam was more complex in Kim Yu-jeong’s novels, where different characters calculate the profits that gold will produce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y have different spatial and temporal standards. Consequently, it became possible to compare things with wealth and demonstrated that monetary value was also involved in human categories. Third, the desire for gold was specifically described in Yadam, and Kim Yu-jung’s novel’s, the greed grows infinitely and is described as worshipping God. Especially in Kim Yu-jung’s novel, the bizarre characteristics of gold becoming an absolute means and an absolute purpose that can be exchanged for anything were revealed. Fourth, the economic imagination in Yadam resulted in the destruction of empty golden desires in colonial capitalism in the 1930s. In this sense, Kim Yoo-jung’s gold novels paradoxically demonstrate that it is impossible to pursue an individual’s independent desire in colonial capitalism. Ultimately, Yadam in the late Joseon Dynasty illustrates that a common measure of gold is being developed, and Kim Yoo-jung’s novel indicates that this development has progressed to a negative extreme.

      • KCI등재

        레비나스의 죽음론에 관한 한 연구

        김연숙 ( Kim Yeon-sook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9 윤리교육연구 Vol.0 No.51

        이 글은 레비나스의 죽음에 관한 한 연구다. 철학적·종교적 전통에서 죽음은 무 또는 다른 존재로의 이행으로 이해된다. 죽음에 관한 철학적 논의에서 가장 주목받는 이 중의 한 사람인 하이데거는 죽음을 현존재의 종말이자 죽음 이후는 무라고 주장하고 있다. 현존재는 자신의 죽음의 확실성을 인식하고 불안을 느끼며 존재를 염려한다는 것이다. 레비나스는 죽음을 무로 보는 사유에 대해 재고한다. 이를 위해 무에 관한 다양한 철학적 논의들을 고찰한다. 이같은 고찰에 의거해 무의 개념을 다음과 같이 정리한다. 첫째, 죽음의 무란 아무것도 아닌 것으로 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인 변화의 한 양상이다. 둘째, 무의 개념은 엄밀히 말하자면, 존재가 생성되고 시작되는 시원의 의미를 함의 하기도 한다. 셋째, 무의 개념은 실질적으로 상태의 변화와 대체를 의미하기에 무란 말 자체가 거짓관념에 불과하다. 이런 논의들은 결국 죽음을 단순히 무로 규정짓는 것의 어려움을 보여준다. 죽음을 종말로 보는 견해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다른 견해가 있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첫째, 독배를 들고 죽어가면서 소크라테스는 오히려 죽음 이후에 만나볼 현인들에 대한 기대감을 표출한다. 이는 사후세계와 영혼불멸을 상정하는 것으로, 죽음이 곧 종말이 아닐 수 있을 여지를 보여준다. 둘째, 이성의 철학자인 칸트조차도 도덕과 행복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이치에 맞으므로, 영혼불멸이나 사후세계가 존재 하기를 희망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주장한다. 셋째, 유토피아적 희망의 원리에 입각한 블로흐는, 죽음의 불안은 노동하는 주체로서 자신의 과업을 완성하지 못하고 미완인 채로 떠나는 것에 대한 두려움에서 생기는 것일 뿐이라 본다. 즉, 죽음의 불안감은 무의 임박감이나 코나투스가 저지되는 것에 대한 두려움에서 오는 것과는 다르다는 것이다. 이런 검토 끝에 레비나스는 우리가 자신의 죽음에 대한 불안이나 존재염려에 급급하기에 앞서, 타자의 죽음 앞에선 이로서 타자의 운명과 삶에 대한 공경과 책임감을 가질 것을 역설한다. This article is a study of Levinas' death theory. In philosophical and religious tradition, death is understood as a transition to nothingness or another being. Heidegger, one of the most notable in the philosophical discussion of death, claims that death is the end of Dasein and there is no after death. Dasein is aware of the certainty of his death, feels anxious and is concerned about existence. Levinas rethinks the western traditional philosophical arguments about the concept of death as the end and nothingness. According to them, first, death is not the becoming of nothingness but really the change of state. Second, the concept of nothingness implicitly implies the meaning of the beginning which is generated and begun. Third, the concept of nothingness implies a change and substitution of the state. These discussions eventually show the difficulty of simply defining death as nothingness. As for the view of death as an end, it shows that there may be other views as follows. First, while dying with the poison, Socrates expresses the expectation of wise men to meet after death. It implies the postmortem world and the immortality of the soul, and it shows the possibility that death may not be the end. Second, even the philosopher of reason, Kant argues that it is rational to hope for the existence of the after death or immortal of the soul, since it is reasonable to balance morals and happiness. Third, Bloch, based on the principle of utopian hope, thinks that death anxiety arises only from the fear of leaving the task unfinished and incomplete as a working subject. In other words, the anxiety of death is different from the impatience of nothingness or fear of conatus blocked. After this discussion, Levinas urges us to have an responsibility for the fate and life of the other facing the death of the other, before I am in a state of anxiety about my death.

      • KCI등재

        레비나스의 ‘무한의 영광’에 관한 한 연구

        김연숙 ( Kim Yeon-sook ) 한국동서철학회 2016 동서철학연구 Vol.0 No.81

        이 글의 목적은 레비나스 텍스트 『존재와 다르게』에서 논의되는 ‘무한의 영광’의 의미를 규명하는데 있다. 무한의 영광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영감, 영광, 무한, 증언 등의 의미를 이해해야 한다. 더욱이 이러한 개념들은 타자 윤리학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데도 중요하다. ‘무한의 영광’의 의미규명은 주체와 타자 사이에서 발생하는 윤리적 사태를 구체적으로 직시하도록 한다. 그리고 주체의 심성을 일깨우고 각성시키는 타자에 의해 이루어지는 고무 작용과 타자에게 노출되어진 몸적 존재로서의 인간 주체성의 윤리적 의미를 심층적으로 드러낸다. 영감은 타자의 요청을 부여받은 주체의 주체성이 타자로 말미암아 쇄신되는 상태이다. 타자에게 영향받는 민감성의 주체성은 자신의 경계를 벗어나서 타자의 무한성에로 연결된다. 타인의 고통 앞에서 자신을 몰래 숨기거나 타인의 요청을 회피하지 않고 타자의 불행과 부름에 자신을 노출시키는 민감한 주체성은 ‘저 여기 있어요’라고 말한다. 이와 같은 타자를 위한 책임성에서 무한의 영광이 빛난다. 타자에게로 보내는 신호인 ‘저 여기 있어요’라는 말함은 윤리적 실천을 증거하는 무한의 증언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meaning of ``the glory of infinity`` in 『Otherwise than Being』 which shows the core principles of Levinas`` Ethics for the Other. Notwithstanding their importance to understanding ethics for the other, concepts in ``the glory of infinity`` that include inspiration, glory, infinity, and testimony have not been properly discuss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laborate the meanings of ethical situation between subject and the Other, that is, the awakening of our psychisme etc. Inspiration refers to a condition where the subject faces the demands of the face of the other and then the subjectivity experiences self-reformation. The subjectivity that possesses affectivity and susceptibility to the others has a link to the infinity of the other, moving trans and over the boundary of oneself. The glory of infinity shines when subject does not ignore sufferings and misfortunes of the other and responses to the Other. A sign to the other, the saying of ``Here, I am`` provides the testimony of infinity to ethical practice.

      • KCI등재

        타자를 위한 책임으로 구현되는 레비나스의 양심

        김연숙 ( Yeon Sook Kim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1 윤리교육연구 Vol.0 No.25

        마음의 선함, 즉 양심에 관한 레비나스의 논의는 매우 독창적이다. 그는 인간의 마음을 이성과는 다른 작용으로 보았으며, 몸과 마음 자체도 단순히 사적인 것이 아니라 타자에게로 연결되는 통로이자 타자를 위한 것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인간의 선함은 바로 타자와의 소통과 교류 속에서 구현됨을 해명한다. 전통적인 인식형이상학에서 감관은 이론적 인식도식에 따라서 내재적으로 구성되는 한에서만 의미를 지니게 되고, 감성은 감관에 의해 받아들이는 역할로 축약되어졌다. 그러나 레비나스는 몸적 존재에 기반을 둔 감성적 주체성의 인간은 타자에로 개시되고 묶이는 더 큰 구도 속에 위치한 존재로 보고 있다. 즉 신체성의 스키마는 단지 자기에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더 높은 구도 즉 타자에로 연결되는 것이다. 타자에로 노출된 감성적 주체의 수동성은 주체를 타자에게로 제시하며, 이로써 더 이상 자신을 은폐시키지 못하며, 타자의 얼굴로부터 오는 소환에 직면하게 된다. 타자로부터 오는 요청 앞에 세워지는 주체의 책임성은 나로 말미암지 않은 타자의 고통에 대해서까지 책임을 지는 구도이다. 이렇게 타자를 품고 있는 상태를 레비나스는 인간 푸쉬케의 선한 상태로 설명한다. Levinas`s discussion on conscience, the goodness of the psyche is very original. He explains that psyche is otherwise than reason, and body and psyche doesn`t belong to only individual, but way to the Other and for the Other. Furthermore, he explains that the goodness of human beings is embodied in communication and communion with the Other. In the western traditional gnoseologique, sensation is regarded as receive organ for inner constitution following to cognitive schema. But Levinas argues that the human beings as the subjectivity of sensibility based on the body is exposed to the Other and is situated in the better and bigger composition with the Other. In other words, the corperial schema is not limited to only ego but connected to the higher plot, i.e. the Other. The passivity of the subject which is exposed to the Other force to prohibit to hide in inner self and to face the assignation of the Other. The responsibility of the subject which is responsible to the Other` suffering not caused of me. Like this, the condition with the Other, it is explained as the goodness of psyche by Levinas.

      • KCI등재
      • KCI등재

        1970년대 대중소설에 나타난 개인과 가족의 존재 양상-조해일의 『갈 수 없는 나라』를 중심으로-

        김연숙(Kim, Yeon-sook),홍순애(Hong, Sun-ae) 우리문학회 2024 우리文學硏究 Vol.- No.82

        본고는 1970년대 대중소설 『갈 수 없는 나라』를 대상으로 70년대 대중소설에 나타난 개인과 가족의 양상을 살펴보고자 했다. 1970년대 베스트셀러이자 대중문화콘텐츠로 다양하게 활용되었던 『갈 수 없는 나라』는 추리소설적 특징 외에는 그동안 제대로 주목받지 못했다. 본고에서는 대중소설이 대중의 감정구조를 문화적 코드로 담아내는 방식임을 감안해서 종합 논의를 시도하고자 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갈 수 없는 나라』의 추리 서사는 개인 주체의 성립을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세계를 탐색하려는 개인 주체의 욕망이 드러났다. 특히 『갈 수 없는 나라』에서는 추리 분량도 많고, 거의 모든 등장인물이 추리를 실행하고 있었다. 한편 사건이 해결된 이후 개인 주체는 세계 내 존재로서 자기 삶을 선택하는 방식을 보여주었다. 둘째, 『갈 수 없는 나라』는 전후 근대 한국사회에 나타난 ‘재벌’이라는 기괴한 경제-가족공동체의 타락한 모습을 구체적으로 드러내고 있었다. 이때의 가족은 개인의 경제적 욕망이 집단적으로 구현되는 단위이거나, 세습을 통해 경제적 부를 영원화하는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었다. 『갈 수 없는 나라』에서는 타락한 가족공동체(재벌)을 징벌하는 주체로 ‘고아’를 내세우는 한편으로 순수 증여로서의 인간관계와 가족의 새로운 구성을 보여주었다. 이때의 가족관계는 혈연이나 이익에 따라서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이 주체적으로 선택한 관계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셋째, 『갈 수 없는 나라』는 감정 측면에서 정의를 사유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는 개인주체가 공통감정을 구성하는 방식이자, 윤리적 사유의 새로운 양상을 전망하는 것이다. 특히 이것은 1970년대라는 국가주도 시대, 가족 이기주의의 욕망이 표출되는 불합리한 현실 속에서 새롭게 등장한 청년세대의 욕망 표출이었다. 이에 대한 대중적 호응이 『갈 수 없는 나라』를 베스트셀러로 만들어냈던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representation of individuals and families in popular novels of the 1970s, by analyzing the popular novel The Country You Cannot Go. A 1970s bestseller and popular cultural content, The Country You Cannot Go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except for its mystery novel elements. Given the role of popular fiction in reflecting the emotional landscape of society as a cultural code, this article seeks to provide a comprehensive discus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ystery narrative in The Country You Cannot Go serves a means to establish individual subjectivity. Through the reasoning process, characters reveal their desire to explore the world. In particular, the novel features a lot of reasoning, with almost all characters engaging in it. Meanwhile, after the case is solved, individual characters demonstrate how they choose their paths in life within the world. Second, The Country You Cannot Go critiques the corruption of “chaebol,” an unusual economic and family community in postwar modern Korean society. It shows how families operate as units for the collective realization of individual economic desires and as a means of preserving wealth through inheritance. By highlighting the “orphan” as the agent of retribution against the corrupt chaebol family, the novel presents the possibility of reimagining human relations and family communities through “genuine acts of giving”. This family structure is particularly important because it is not rooted in traditional kinship or economic interests but rather is based on individual choice. Third, The Country You Cannot Go explores the concept of justice through emotions, showcasing how individual subjects form common feelings and anticipate a new kind of ethical thinking. In particular, this reflects the desires of the younger generation during the state-led era of the 1970s, as they navigate the challenging reality of family selfishness. This perspective contributed to the novel’s popularity and made it a bestselle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