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안전에 관한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과정이 유아의 안전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수향 한국유아교육학회 2011 유아교육연구 Vol.3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안전에 관한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과정이 유아의 안전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안전에 관한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하여 경주시에 소재한 Y 유치원 유아 30명을 대상으로 곽은복(2000)의 안전문제해결사고검사를 통해 가장 높은 점수와 낮은 점수 12명을 제외한 18명을 두 집단(실험·비교)으로 선정하여 실험집단은 10주간 창의적 문제해결과정에 참여하였고, 비교집단은 일반적인 유치원 활동에 참여한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의 안전문제해결 수행능력은 어떠한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10주간의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을 비디오로 녹화하여 질적 분석하였고 두 집단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비모수 검증인 Mann-whitny U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들은 성적학대 안전, 안전하게 놀이하기, 화재안전에 대해서는 논리적이고 적절하게 문제해결을 수행하였지만, 낮선사람 안전, 환경오염 안전에서는 적절하게 문제를 수행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안전에 관한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과정은 유아의 안전문제해결 능력 및 안전문제해결 능력의 하위요인(운동안전, 낯선사람 안전, 성적학대 안전, 화재안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안전에 관한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과정은 유아의 안전문제해결 능력 증진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알 수 있었고, 유아들에게 낯선사람 및 환경오염 안전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Aiming to provide appropriate and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developing children's problem-solving abilities about safety, this study assesses the effects of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using children's safety picture-books on the safety problem solving abilities of kindergarten children.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eighteen 5 year-old children enrolled at "Y" kindergarten in Gyeongju. They were assigned 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test scores on Kwak, Eun Bog's (2000) Safety Problem-solving Thinking test. Each group had 9 children, one group was designated as the experimental group (E) and the other as the comparative group (C). The experimental group (E) was video taped for ten weeks while they participated in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in order to document response patterns and assess quality of performance. Safety problem solving ability test data were analyzed with "the "Mann-Whitney U Test". The findings and implications: 1. The children logically solved problems in the programs' safety subsets of sexual abuse, safety in play, and fife safety. But they were unable to solve problems in the safety subsets of stranger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2.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with children's safety picture-books has enhanced safety problem-solving ability and safety problem-solving ability's sub-factors :movement, strangers, sexual abuse, fir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with children's safety picture-books was an effective program to improve safety problem-solving ability and safety education. However, the findings with regard to the difficulty most of the children had in safety problem solving in the subsets of stranger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strongly suggest that more systematic and didactic safety instructions are necessary in these areas.
디지털 영상매체를 연계한 직업 관련 그림책 읽기활동이 유아진로인식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수향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8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7 No.4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digital image media utilizing job-related picture books on children's career awareness and self-efficacy. The subject of the present study were total 50 children of five years old(25 in an experimental group, 25 in a comparative group) from two classes of A and B kindergarten in G metropolitan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using SPSS 21.0 program. As a results of study, children who examine the effect of media, by identifying the effects of digital image media utilizing job-related picture books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career awareness and self-efficacy. These study results showed the effects of applying digital image media as an education method.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at it was necessary to apply digital image media as one of the education methods to improve children's career awareness and self-efficacy.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that can be used meaningfull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영상매체를 연계한 직업 관련 그림책 읽기활동이 만 5세 유아의 진로인식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대상은 G광역시에 위치한 A유치원과 B유치원 만 5세 유아 50명(실험집단 25명, 비교집단 25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집단 유아를 대상으로 디지털 영상매체와 연계한 직업 관련 그림책 읽기활동을 약 6주 간 주 2회씩 총 12회 실시하였다. 디지털 영상매체와 연계한 직업 관련 그림책 읽기활동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유아진로인식과 자기효능감 검사를 실험 처치 전과 후에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디지털 영상매체를 연계한 직업 관련 그림책 읽기활동은 만 5세 유아의 유아진로인식 증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디지털 영상매체를 연계한 직업 관련 그림책 읽기활동은 유아의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 및 직업 상담자의 역량진단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김수향,탁진국 한국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0 No.2
본 연구는 상담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 진로 및 직업 상담자에게 어떤 역량이 필요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이들의 역량을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담 대상자의 발달 단계에 따라 구분되는 역량이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이들의 역량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먼저 16명의 진로 및 직업상담자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고, 이를 토대로 문항을 개발한 후 척도의 타당도 분석을 위해 120명의 진로 및 직업상담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6개의 역량 요인과 49문항의 세부 역량 요소가 추출되었다. 역량요인은 ‘진로 및 직업 정보관리 능력’, ‘전문가 정신’, ‘진로 및 직업 상담능력’, ‘내담자에 대한 긍정적 태도’, ‘진로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능력’, ‘진로상담에 관한 전문지식’이다. 상담 대상별로 필요한 역량에 대해 분석한 결과, 청소년 대상 상담자는 진로 상담에 대한 전문지식이, 대학생과 성인 대상 상담자는 진로 및 직업 정보관리능력이 가장 높게 나왔다. 그리고 현재 진로 및 직업 상담자의 보유 역량 현황은 전체적으로 내담자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나 전문가 정신은 높으나 진로상담에 관한 전문지식과 진로 및 직업 정보관리 능력은 부족한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진로 및 직업 상담자에게 갖추어야 할 역량을 밝히고 역량 향상의 필요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후속연구에서는 필요한 역량과 연계된 교육과정의 연구와 상담 경력에 따라 구분되는 필요 역량에 대한 연구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 variety of competencies which are required for career and vocational counselors and identify which competencies are more important for these counselors depending on a developmental stage of clients. In order to develop preliminary item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16 current career and vocational counselors and other criteria variables were administered to 120 professionals working in an area of career counselors. The results of factor analyses showed that a six factor solution appeared to be the best in terms of interpreting the construct. Also 49 items were finally identified based on the results of factor analyses. Those extracted competency factors were ‘management skills of career and vocation information’, ‘Professional spirit’, ‘Career and vocational counseling skills’, ‘Positive attitude about client’, ‘Career program development and management skills’, and ‘Expert knowledge in career counseling’. The results of frequency analyses of in-depth interview showed that expert knowledge was the most required competence for the counselor group specializing for adolescents while information on career and vocational counseling was the most required competence for both counselor groups specializing for undergraduate students and adults, respectively. Also the career and vocational counselors have generally high level of competencies of ‘positive attitude about client’ and ‘professional spirit’ but have low level of competencies of ‘expert knowledge in career counseling’ and ‘management skills of career and vocation information’. Finally, limitations, future studie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유아-교사 관계 및 또래 유능감이 유아인성에 미치는 영향
김수향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9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8 No.3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teacher relationship, peer competence, and child personality.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193 children aged 3–5 years and their 26 teachers in G metropolitan city.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analysis using the SPSS 21.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hild personality correlated positively with child-teacher closeness and dependence and negatively with child-teacher conflict. Second, child personality positively correlated with sociability, pro-social behavior, and autonomy. Moreover, this result shows that peer competence provides a more powerful explanation than child-teacher relationship. This study suggests that both teachers and peers should be considered to improve child personality development. Peer competence, in particular, strongly affects child personality, followed by child-teacher relationship. It is therefore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in the practical understanding of child personality and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child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in the near future. 본 연구는 유아기 인성발달에 있어 교사와 또래의 영향력을 고려하여 유아-교사 관계와 또래 유능감이 유아인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3-5세 유아 193명과 그들의 담임교사 26명이었으며, 유아-교사 관계, 또래 유능감 그리고 유아인성발달 검사지를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1.0 프로그램을 통해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친밀한 유아-교사관계와 의존적 유아-교사관계는 유아인성과 정적인 상관이, 갈등적 유아-교사 관계는 부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또래 유능감의 하위 영역 중 사교성, 친사회성, 주도성 모두는 유아인성과 정적인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인성에 대한 유아-교사 관계와 또래 유능감의 설명력은 각각 35.7%와 50%로, 또래 변인이 교사 변인에 비해 유아인성에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유아인성에 있어 교사와 또래 변인의 영향력을 알아봄으로써 유아인성에 관한 실제적인 이해를 제공하고 향후 유아인성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과정의 효과 : 창의적 사고, 문제해결 수행능력을 중심으로
김수향,정대련 한국유아교육학회 2004 유아교육연구 Vol.24 No.5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과정이 유아의 창의적 사고와 문제해결 수행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경주 소재 H유치원 소속의 만 5세 유아 16명이었으며, 연구도구로는 Torrance의 TTCT 중 '언어' 검사와 Treffinger의 CPS 체크리스트가 활용되었다. 또한 창의적 문제해결과정에 대한 질적 분석이 추가되었다. 연구결과,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과정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창의적 사고에서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문제해결 수행에 있어서도 실험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긍정적인 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과정은 유아들의 창의적 사고와 문제해결 수행능력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이라고 결론지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s of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with picture-books on both creative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performanc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sixteen 5-year-old children in kindergarten "H" in Gyeongju, Kyungsang Province.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of 8 children participated in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with 12 picture-books, and the the control group was in the process of usual class after listening to the same books.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lasted for 12 weeks, the interactions in the classroom were video taped, and all dialogues were transcribed. The effects of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with picture-books were assessed by Torrance's TTCT(Verbal) and Treffinger's check lists of CPS. The children's creative thinking abilities were analyzed by the "Mann-Whitney U Test" and the children's responses in creative problem solving performance were interpreted. The results 1.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with children's picture-books enhanced the creative thinking in aspects of fluency, flexibility and uniqueness. 2.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with children's picture-books enhanced the children's problem-solving performance ability, in areas such as, analyzing problems, designing strategies, applying them properly, and generating new ideas. In conclusion,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with children's picture-books can help young children develop creative thinking and problem-solving performance ability.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as a tool for solving problems, should be encouraged at an early age so that it can become a natural and accepted part of children's intellectual functioning.
교사유형에 따른 전래놀이 인성교육 활동이 만 2세 영아의 행동변화에 미치는 영향: 인성과 기본생활습관 중심으로
김수향,안지령,이은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9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9 No.11
본 연구는 교사유형에 따른 전래놀이 인성교육 활동이 만 2세 영아의 행동변화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영아의 행동변화 중 특히 인성과 기본생활습관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만 2세 영아 8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연구실행을 위해 실험집단 46명, 비교집단 34명으로 구성하였다. 연구의 목적에 맞게 담임교사와 외부강사가 각각 인성교육을 실시 한 후, 영아인성측정도구와 생활습관 측정도구를 활용하여 만 2세 영아들의 행동변화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 전래놀이 인성교육 프로그램 교수자에 따라 만 2세 영아들의 인성 및 기본생활습관은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담임교사 집단의 만2세 영아들이 인성교육 강사 집단보다 인성발달에 있어서는 배려, 질서, 자기통제, 사회적 관계, 주체의식, 기본생활습관은 정리정돈, 규칙적인 생활, 예절 등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인성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기반으로 하루일과 중 필요시 반복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담임교사에 의해서 시행되는 것이 바람직함을 시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