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장아함경에 나타난 언어적 상호작용의 교육적 의미

        김수향 한국종교교육학회 2009 宗敎敎育學硏究 Vol.3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s of the Buddha’s verbal interactions, which is used in Buddha’s dialogues with his disciples in Dīghāma sūtra and how his method can be applicable to contemporary educational fields. The tests used was Edward & Mercer(1987)’s development criteria for class analysis which deals more on Qualitative Methods for Buddha’s verbal interaction in Buddha-disciples discussion. The results of Buddha’s verbal interaction showed. Firstly, the Buddha uses open questions at the interaction begin. Sometimes his disciples ask questions or ask gathas at the interaction begin. Secondly, format of Buddha’s questions consist of the application, inquiry, reasoning and meta questions rather than the confirmation and memorization questions. Thirdly, the Buddha’s feedback to the disciples interestingly indicates that Buddha shows his disciples the attitude of accepting and receiving disciples’ replies, invites different responses from other disciples by reserving instant answers or judgements to the disciples, and gives the disciples the confidence of solving the next problem by praising and encouraging them. Finally Buddha’s verbal interaction emphasized not only memorizing and one way teaching for simple knowledge but better knowing of inner self.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teachers should try to be a good teachers who can lead and direct the children to a better life.

      • KCI등재후보

        차별강화에 의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정신지체아동의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효과

        김수향 한국미술치료학회 2004 美術治療硏究 Vol.11 No.3

        본 연구는 부적응행동을 하는 정신지체아동의 문제행동들을 소거․감소시킬 목적으로, 대상아동에게 차별강화에 의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차별강화기법을 이용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정신지체아동의 부적응행동 감소에 효과가 있는가? 둘째, 차별강화기법을 이용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정신지체아동의 부적응행동의 지속적인 감소, 즉 유지에 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아동은 7.4세의 정신지체아동으로, 이 아동의 세 가지 부적응행동에 미치는 차별강화에 의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복식기초선 실험설계를 사용하였고, 아동의 표적행동들은 시간 간격별-부분 표집 기록법으로 기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차별강화에 의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대상 정신지체아동의 세 가지 문제행동 발생 빈도를 감소시키는 기능적 관계를 보여주었고, 아울러 이러한 결과의 유지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Maladaptive behavior is one of defining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In most cases, children with behavior problems such as maladaptive behavior show deficits in stimulus control and contingencies required under certain circumstances. Specially, self-injurious behavior is so dangerous, is one of maladaptive behaviors bothering personal-relationships and discrimination learning in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art therapy program using differential reinforcement were examined on three maladaptive behaviors in a child with mental retardation.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1. Is the intervention using art therapy program using differential reinforcement effective decreasing maladaptive behaviors in a child with mental retardation? 2. Is the intervention using art therapy program using differential reinforcement effective maintaining the reduced rate of maladaptive behaviors in a child with mental retardation? A multiple baseline design was employed to examine the treatment effects. The intervention using art therapy program using differential reinforcement decreased the frequency of problematic behaviors. The overall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intervention using art therapy program using differential reinforcement yields beneficial effects on the reduction of three maladaptive behaviors in a child with mental retardation.

      • KCI등재후보

        자기교수법을 병행한 미술치료가 학습장애아동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김수향 한국미술치료학회 2005 美術治療硏究 Vol.12 No.3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art therapy using self-instruction were examined on the self-concepts in a child with learning disabilities.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1. How does art therapy using self-instruction influence on the self-concepts in a child with learning disabilities? 2. How does art therapy using self-instruction influence on the general self-concepts in a child with learning disabilities? 3. How does art therapy using self-instruction influence on the school work self-concepts in a child with learning disabilities? 4. How does art therapy using self-instruction influence on the social self-concepts in a child with learning disabilities? 5. How does art therapy using self-instruction influence on the emotional self-concepts in a child with learning disabilities? Self-concept Test by S. Song(1992) was employed to examine the treatment effects. The intervention using art therapy using self-instruction increased the scores of the self-concepts. The overall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intervention using art therapy using self-instruction yields beneficial effects on the increase in a child with learning disabilities. Key Words : Self-concept, Learning disabilities, Self-instruction, Art therapy 본 연구는 읽기(독해)와 수학에 심한 장애를 보이며 충동적으로 오답을 하거나 회피행동을 보이고 부정적 자아개념을 가지고 있는 학습장애아동에게 자기교수법을 병행한 미술치료를 적용하여 그 대상아동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자기교수법을 병행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학습장애아동의 자아개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자기교수법을 병행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학습장애아동의 일반자아개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자기교수법을 병행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학습장애아동의 학습자아개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자기교수법을 병행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학습장애아동의 사회자아개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다섯째, 자기교수법을 병행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학습장애아동의 정서자아개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아동은 12.2세의 학습장애아동으로, 이 아동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자기교수법을 병행한 미술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초등학생용 성격진단 검사(송인섭, 1992) 중 자아개념부분을 발췌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기교수법을 병행한 미술치료가 대상 학습장애아동의 자아개념을 20점 향상시켰는데, 하위영역별로 보면 일반자아개념이 6점, 학업자아개념이 7점, 사회자아개념이 3점, 정서자아개념이 4점 향상되었다. 전반적으로 자기교수법을 병행한 미술치료가 대상 학습장애아동의 자아개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각 하위영역별 자아개념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영유아권리존중보육에 대한 보육교사와 예비보육교사의 개념도 분석

        김수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4 No.5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content and level of care-giving of children’s rights perceived by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 using concept map. A total of 222 subjects were selected, including 103 in-service and 119 pre-service teachers.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there were 23 super ordinate concepts of the care-giving of children’s rights. The in-service teachers were 21 super ordinate concepts of the care-giving of children’s rights and they drew up the right to protection at the most. And pre-service teachers were 19 super ordinate concepts of the care-giving of children’s rights and they drew up the right to survival at the most. Second, In the subcategories of care-giving of children’s rights, in-service teachers made out the right to protection systematically. While pre-service teachers drew up the right to survival systematically. Third, the distribution of the concept level ranged from 1.00 to 4.15. In-service teachers showed 3.16, and pre-service teacher 2.23 in average on the understanding level of care-giving of children’s rights. There was a statistical difference on the understanding level of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 In-service teachers with more education and training experiences showed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are-giving of children’s rights.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education and institutional arrangements in order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child-care teachers’ care-giving of children’s rights. 본 연구의 목적은 개념도를 사용하여 보육교사와 예비보육교사가 지각하는 영유아권리존중보육에 대한 내용과 그 수준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보육교사 103명과 예비보육교사 119명으로 총 222명이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와 예비보육교사의 상위개념은 총 23개 유형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 보육교사의 상위개념 유형은 21개로 보호권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예비보육교사의 상위개념 유형은 19개로 생존권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권리존중보육의 하위내용에 대한 개념형성은 보육교사는 보호권이, 예비보육교사는 생존권이 체계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유아권리존중보육에 대한 개념 수준의 분포는 1.00~4.15로 나타났고, 보육교사는 평균 3.16, 예비보육교사는 2.23으로 보육교사가 예비보육교사 보다 개념 수준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보육교사는 교육경력이 많고, 연수경험이 있을수록 개념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보육에 대한 전문성 향상을 위해 교육과 제도 마련에 대한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1950년대 후반 이승만 정권의 농업정책과 그 한계

        김수향 역사문제연구소 2020 역사문제연구 Vol.24 No.1

        This study examined the contents and limitations of Agricultural policies implemented by the Rhee Syngman regime in the late 1950s. The Rice Lien Program was intended to change the agricultural distribution structure and the government grain management system. However, the implementation was slow because the financing resources were not secured. Meanwhile, surplus agricultural products were brought to secure government-managed crops, maintain low-priced policies, and cover a defense budget, though, finally they hav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deteriorating farm households. As a result, by the end of 1957, the independent farmer system created by land reform, which had been propagandized on the biggest achievement of Syngman Rhee, was collapsing. Rhee Syngman's regime and the Liberal Party didn't overcome the agricultural crisis. Specifically, it accompanied the Anti-Usury project, which wasn’t implemented. The fundamental limitation of agricultural policy in the 1950s was the operation of the economy based on rural sacrifices. 본고는 1950년대 후반 이승만 정권이 추진한 미곡담보융자제도와 농촌고리채정리안의 내용과 그 한계를 살펴보았다. 미곡담보융자제도는 농업유통구조는 물론 정부양곡관리체계를바꾸는 제도였다. 그런데 융자에 드는 재원을 확보하지 못 해 시행이 더뎠다. 한편 정부관리양곡의 확보, 저곡가 정책 유지, 국방비 충당을 위해 도입된 잉여농산물은 농가수지를 악화시키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그 결과 1957년 말이 되면 이승만 정권이 내세웠던 최대 업적인 “농지개혁으로 창출된 자작농제도”가 붕괴되고 있었다. 이승만 정권과 자유당은 이 같은 농업위기를적극적으로 타개하기보다는 방관․조장하였다. 이를 잘 보여주는 것이 결국 실현되지 않은 농어촌고리채정리안이다. 1950년대 농업정책의 근본적 한계는 저곡가, 농촌 희생에 기반해 경제를 운용한 것이다. 그 결과 1950년대 농촌은 몰락해갔다. 이는 정부와 여당의 주요 지지기반이었던 농민의 이탈을 예견했다.

      • KCI등재

        환경영향평가에서의 대기질 확산모델 적용방법 개선 연구(II) - AERMOD 모델 적용방법을 중심으로 -

        김수향,박선환,주현수,소민섭,이내현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23 환경영향평가 Vol.32 No.4

        The AERMOD model was the most used, accounting for 89.0%,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ports published in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nformation Support System (EIASS) between 2021 and 2022. The mismatch of versions between AERMET and AERMOD was found to be 25.3%. There was the operational time discrepancy of 50.6% from industrial complexes, urban development projects between used in the model and applied in estimating pollutant emissions. The results of applying various versions of the AERMET and AERMOD models to both area sources and point sources in both simple and complex terrain in the Gunsan area showed similar values after AERMOD version 12 (15181). Emissions are assessed as 24-hour operation, and the predicted concentration in both simple and complex terrain when using the variable emission coefficient option that applies an 8-hour daytime operation in the model is lowered by 37.42% ~ 74.27% for area sources and by 32.06% ~ 54.45% for point sources. Therefore, to prevent the error in using the variable emission coefficient, it is required to clearly present the emission calculation process and provide a detailed explanation of the composition of modeling input data in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ports. Also, thorough reviews by special institutions are essential. 우리나라 환경영향평가서의 대기모델 적용 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2021년부터 2022년까지 협의가 완료되어 환경영향평가정보지원시스템(EIASS)에 공개된 환경영향평가서를 분석한 결과 AERMOD가89.0%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AERMET과 AERMOD의 버전 불일치는 25.3%로 나타났으며, 산업단지및 도시개발사업의 발생하는 오염물질 배출량 산정시 적용한 가동시간과 모델에 적용한 가동시간의 불일치는 50.6%로 나타났다. 군산지역의 단순 및 복잡지형에서 다양한 버전의 AERMET과 AERMOD 모델을면오염원과 점오염원에 적용한 결과, AERMOD 버전 12(15181) 이후부터는 동일한 값을 나타내었다. 배출량은 24시간 가동을 기준으로 산정하고, 모델에는 주간 8시간 가동을 적용하는 가변 배출계수 옵션을 사용할 때, 예측농도는 단순 및 복잡지형에서 면오염원은 32.06~74.27%, 점오염원은 14.85~43.13% 축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AERMOD 모델의 가변 배출계수 적용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환경영향평가서에 배출량 산정과정을 명확히 제시하고, 모델링 입력자료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구되며, 환경영향평가 전문 검토기관에서는 보다 철저한 검토가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교사 유형에 따라 전래놀이 인성교육프로그램이 만2세 영아의 인성과 기본생활습관에 미치는 효과

        김수향,안지령,이은희 한국아동부모학회 2020 아동부모학회지 Vol.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 유형에 따라 전래놀이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만 세 영아의 인성과 2 기본생활습관형성에 미치는 효과 차이를 분석하여 만 세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 2 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만 세 영아 명을 대상으로 담임교사가 인성교 . 2 80 육을 실시하는 실험집단과 외부 어르신 인성교육 강사가 실시하는 비교집단으로 구성하여 두 집단 모두 전래놀이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교사유형에 따른 프로그램 효과를 . 측정하기 위해 영아인성측정도구와 기본생활습관 측정도구를 활용하여 행동변화를 측정하 였다. 연구결과 전래놀이 인성교육 프로그램은 인성교육 교사유형 따라 만 세 영아들의 인성 , 2 및 기본생활습관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실험집단의 만 세 영아들이 비교집단보다 인성 . 2 에 있어서는 배려 질서 자기통제 사회적 관계 주체의식 기본생활습관은 정리정돈 규칙 ,, , , , , 적인 생활 예절 등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인성교육 프로그램 수행은 인성교 , . 육 프로그램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기반으로 하루일과 중 필요시 반복적으로 적용할 수 있 도록 담임교사에 의해서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시사하고 있다 나아가 본 연구결과는 . 세대 간 교류 인성교육 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traditional play character education program on personality and lifestyle of 2-year-old children by type of teache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0 two years old young children. The group consisted of an experimental group that conducted personality education and a comparative group that was conducted by an outside senior character education instructor. In order to measure the effect of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teacher type, the behavior change was measured by using the infant character measurement tool and the basic lifestyle measurement tool. Then, the collected data were quantitatively analyzed. As a result,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n 2-year-old children’s behavior by traditional play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revealed a difference in the development of personality and lifestyle by type of teacher. In particular, 2 year-old-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had higher personality considerations, order, self-control, social relations, subjective consciousness, and basic living habits than the comparative group.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performance of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should be carried out by the homeroom teacher so that it can be repeatedly applied when necessary during the course of the day based on a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data for intergenerational personality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