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비재배가 벼 생육 및 미질에 미치는 영향

        김세종,원종건,안덕종,박소득,최경배,Kim, Se-Jong,Won, Jong-Gun,Ahn, Duok-Jong,Park, So-Deuk,Choi, Kyeong-Bae 한국작물학회 2006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51 No.suppl1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dentify rice varieties suitable for growing under low N-fertilization levels. Eighteen rice varieties were grown at 5.5 kg and 11 kg/10a nitrogen levels in 2004-2005 in Taegu, Korea. Several varieties like Ilmibyeo, Nampyeongbyeo, Sindongjinbyeo, Dongjin 1 and Donganbyeo yielded more than 470 kg/10a. Low N-fertilization level (5.5 kg/10a) decreased yields of Junambyeo and Donganbyeo by more than 10%. However, the decrease in yield was not significant in Surabyeo and Hwayeongbyeo compared with the 11 kg/10a N-fertilizer treatment. Improved grain quality, chemical properties and palatability was noted in some rice varieties. In terms of rice yield and grain quality, Donganbyeo, Ilmibyeo, Ilpumbyeo, Dongjin 1, Saechoocheongbyeo and Saegyehwabyeo were selected as premising rice varieties for growing under low N-fertilization levels. 본 시험은 벼 질소 소비 재배시 생육 및 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일품벼 등 18종을 공시하여 관행 질소량 11.0 kg/10a와 소비 질소량 5.5 kg/10a로 구분하여 수행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소비 재배시 관행 재배에 비해 출수기는 1일 빠르거나 같았고, 초장은 $1{\sim}7cm$ 정도 작았으며, 경수, SPAD 치는 같거나 비슷한 경향이었다. 지상부 건물중은 새계화벼가 5.5kg/10a 시용시 주당 5.7 g적어 가장 큰 감소를 보였다. 수량은 470 kg/10a 이상 생산할 수 있는 품종은 일미벼, 남평벼, 신동진벼, 동진1호, 동안벼였다. 그러나 소비재배시 관행에 비해 수량 감소가 13% 이상 큰 품종은 주남벼, 동안벼였으며 수량 감소가 적은 품종은 수라벼, 화영벼 등이었다. 쌀 품위 및 식미 향상 품종은 화영벼, 추청벼, 일미벼, 일품벼 등 11품종이었다. 소비재배해서 쌀 수량 및 식미가 좋은 유망 품종은 동안벼, 일미벼, 일품벼, 동진1호, 새추청벼, 새계화벼였다.

      • KCI등재

        용융(熔融) Bi-Pb-Sb계(系) 합급(合金)의 산화(酸化)에 의한 Sb과 Pb 제거(除去)

        김세종,손인준,손호상,Kim, Se-Jong,Son, In-Joon,Sohn, Ho-Sang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2 資源 리싸이클링 Vol.21 No.4

        본 연구에서는 비철제련의 공정 부산물에서 얻어진 Bi-Pb-Sb 3원계 합금 용탕의 산화반응에 따른 Sb과 Pb의 제거거동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N_2+O_2$ 가스를 침지 노즐을 통해 1173 K의 합금 용탕 중에 취입하여 Sb을 산화물과 금속상의 혼합물로 분리 회수할 수 있었다. 그리고 923 K의 Bi-Pb 2원계 용탕에 $N_2+O_2$ 가스를 취입하면 Pb가 산화되어 슬래그상으로 제거될 수 있으나, Bi도 동시에 산화되어 Bi를 정제할 수 없었다. In this study, behaviors of removing Sb and Pb by oxidation of molten Bi-Pb-Sb alloy which is a by-product of non-ferrous smelting process was investigated. The molten alloy was oxidized at 1173 K by bubbling $N_2+O_2$ gas through a submerged nozzle. The Sb was removed and recovered as mixed phase of $Sb_2O_3$ and metal Sb. In the case of bubbling $N_2+O_2$ gas into molten Bi-Pb alloy at 923 K, Pb was oxidized and removed to slag. But Bi could not be refined due to simultaneous oxidization of Bi with Pb.

      • KCI등재

        무당벌레 소화기관으로부터 산성 단백질 분해효소를 생산하는 Staphylococcus sp. CB2-3의 분리 및 특성

        김세종,황경숙,Kim, Se-Jong,Whang, Kyung-Sook 한국미생물학회 2011 미생물학회지 Vol.47 No.3

        무당벌레 소화기관으로부터 단백질 분해 우수세균 6균주를 분리하였다. 단백질 분해세균의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해석하여 계통학적 특성을 검토한 결과, Staphylococcus sciuri subsp. sciuri (3균주), Bacillus subtilis (1균주), Bacillus thuringiensis (2균주)로 확인되었다. 이들 균주 중 pH 5.0 배지에서 58.5 U/ml의 높은 효소 활성을 나타내는 Staphylococcus sp. CB2-3을 최종 선발하였다. 효소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pH 4.0-6.0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어 산성 단백질 분해효소임이 확인되었다. 효소의 최적 반응 온도는 $40^{\circ}C$ 이었으며, $30-50^{\circ}C$의 범위에서 80% 이상의 효소 활성을 유지하였다. Staphylococcus sp. CB2-3 균주의 생육과 효소 활성을 위한 최적의 배지성분을 조사하였다. 탄소원으로 0.5% 솔비톨을 첨가하였을 때 효소 활성이 2배로 증가되었으며, 질소원으로 0.5% 탈지유를 첨가한 경우 효소 활성이 2.5배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기염류로는 KCl, $K_2HPO_4$, $FeSO_4$를 첨가하였을 때 효소 활성이 가장 높은 반면에 2가 금속이온인 $Co^{2+}$, $Zn^{2+}$, $Mn^{2+}$, $Cu^{2+}$를 첨가하였을 때는 균의 성장과 효소 활성이 심하게 저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Six protein-degrading bacteria were isolated from digestive organ of Harmonia axyridis. These isolates were categorized as Staphylococcus sciuri subsp. sciuri (3 strains), Bacillus subtilis (1 strain), and Bacillus thuringiensis (2 strains) by 16S rRNA gene sequence analysis. The Staphylococcus sp. CB2-3 was selected as a protease-producing bacterium which showed the highest protease activity of 58.5 U/ml at the pH 5.0 medium. The optimal pH and temperature of protease activity were pH 5.0 and $40^{\circ}C$, respectively. This acid protease had a relatively high stability of 80% between $30-50^{\circ}C$ at broad temperature range. The opimal medium compositions of carbon, nitrogen and mineral source for cell growth and protease activity were investigated. When sorbitol (0.5%) was used as carbon source, enzyme activity was increased about 2 times than that of the basal medium. When skim milk (0.5%) was used as nitrogen source, activity was increased about 2.5 times than that of the control. Cell growth and enzyme activity were increased by mineral source such as KCl, $K_2HPO_4$, $FeSO_4$, but was completely inhibited by divalent ions such as $Co^{2+}$, $Zn^{2+}$, $Mn^{2+}$, $Cu^{2+}$.

      • KCI등재

        닭우모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처리한 토마토 근권토양 내 세균군집의 계통 해석

        김세종,한송이,황경숙,Kim, Se-Jong,Han, Song-Ih,Whang, Kyung-Sook 한국미생물학회 2013 미생물학회지 Vol.49 No.4

        As a result of conducting a cultural experiment of tomato using chicken feather protein hydrolysate (CPH) which was mass produced by keratin protein degrading bacterium Chryseobacterium sp. FBF-7 (KACC 91463P), we found that the stem and the root of tomato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growth. For the purpose of phylogenic interpretation, a comparison was drawn between the effect of CPH, a treated CPH and untreated, on the changes of bacterial populations by 454 pyrosequencing based on 16S rRNA gene sequences. Tomato rhizosphere soil untreated with CPH (NCPH) showed 6.54 Shannon index from 3,281 sequence reads, and the rhizosphere soil treated with CPH (TCPH) showed 6.33 Shannon index from 2,167 sequence reads, displaying that it does not affect the diversity. Bacterial populations were composed of 19 phyla in the rhizosphere soil, and the phylum Proteobacteria occupied 40% of total bacterial populations. Bradyrhizobium, Agromonas, Nitrobacter, and Afipia (BANA group) which belong to Bradyrhizobiaceae were abundant and commonly detected in both the treated and untreated soils, suggesting the dominance of bacterial group in rhizosphere soil. The results obtained showed that CPH treatment does not affect the indigenous bacterial populations present in the rhizosphere soil. 케라틴 단백질 분해 세균 Chryseobacterium sp. FBF-7(KACC 91463P)을 이용하여 대량생산한 닭우모 단백질 가수분해물(CPH)을 토마토에 처리한 결과, 토마토 줄기와 뿌리의 생장이 현저하게 증가되었다. 닭우모 가수분해물을 처리한 토마토 근권토양 내 세균군집 변동에 대한 계통학적 해석을 위하여 16S rRNA 유전자 서열을 기반으로 454 pyrosequencing을 수행하였다. 가수분해물을 처리하지 않은 토마토 근권토양(NCPH)의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3,281 reads)과 가수분해물을 처리한 토마토 근권토양(TCPH)의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2,167 reads)은 각각 6.33과 6.54의 다양성 지수를 나타내어 세균군집의 다양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각 토마토 근권토양에는 총 19개의 문(phyla)의 세균이 존재하였고, 이중의 약 40%가 Proteobacteria이었다. Proteobacteria의 Bradyrhizobiaceae에 속하는 Bradyrhizobium, Agromonas, Nitrobacter 그리고 Afipia (BANA group)는 NCPH와 TCPH의 모든 근권토양에서 우점을 이루어 닭우모 가수분해믈 처리에 의해 토양 토착세균 군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공통눈물소관 폐쇄에서 두 개의 실리콘관을 삽입한 코경유 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의 수술 결과

        김세종,김상덕,Se Jong Kim,Sang Duck Kim 대한안과학회 2007 대한안과학회지 Vol.48 No.9

        Purpose: To evaluate the surgical results of endonasal dacrocystorhinostomy with two silicone intubation in common canalicular obstruction. Methods: Forty patients (57 eyes) who complained of tearing due to common canalicular obstruction underwent endonasal dacryocystorhinostomy. In this study, We randomly divided patients into two groups. One group underwent one-silicone tube intubation (29 eyes, group A) and the other group underwent two-silicone tube intubation (28 eyes, group B). After surgery, we compared the success rates and the causes of surgical failure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ith regard to age, sex, duration of silicone intubation, or follow-up time. The primary success rates of the group A and the group B were 65.5% (19/29) and 85.7% (24/28) [(P=0.078)], respectively. the final success rates after the revisional surgery were 76.4% (21/29) and 92.8% (26/28) [(P=0.043)] respectively. Primary causes of surgical failure in the group A were: membranous obstruction of the internal ostium (6), common canalicular re-obstruction (2), sump syndrome (1), and functional obstruction (1). The main causes of surgical failure in the group B were: membranous obstruction of the internal ostium (2), and granuloma formation (2). Conclusions: We believe that endonasal dacryocystorhinostomy with two-silicone tube intubation might be an excellent alternative treatment modality in order to improve success rates in common canalicular obstruction.

      • KCI등재

        비용.수익 리스크 기반 태양광사업 발전차액지원 기준가격 산정 프로세스 모델

        김세종,구교진,Kim, Se-Jong,Koo, Kyo-Jin 한국건설관리학회 2010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1 No.1

        정부의 신 재생에너지 분야 투자확대정책과는 달리 08년 발전차액지원 기준가격이 인하된 이후 태양광사업의 추진 건수가 대폭 감소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는 전세계적 금융위기에 따른 재원조달의 어려움이 근본적 원인이기도 하지만, 현행 발전 차액지원 기준가격체계가 적정하지 못한데도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입지와 형식별로 여러 대안을 설정하고, 비용 및 수익의 변동 리스크를 반영하는 기준가격 산정모델(Cost & Benefit Risk Based Purchase Price Process Model : CBRP3 Model)을 제안한다. 발전설비 대안별로 투자비와 발전량의 변동데이터를 산출하여 재무템플릿에 입력한 후 시뮬레이션을 실행하여 대안별 발전원가의 확률분포를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준가격체계를 도출한다. 도출된 기준가격체계와 현행 발전차액지원 기준가격체계를 비교하고, 향후 연구과제를 제시한다. Since the cut-down of the purchasing price of the feed in tariff(FIT) in 2008, the numbers of photovoltaic projects get decreased, contrary to investment expansion policy of government on renewable energy. The root cause of the decrease is the irrationality of the current purchasing price structure of FIT as well as the adversity of fund raising due to the global financial crisis. This study proposes the FIT calculating model (Cost & Benefit Risk Based Purchase Price Process : CBRP3) reflecting the fluctuation of cost and benefit risks. The first step is to establish the photovoltaic generation alternatives, and to calculate each distribution data of the investment and the power generation quantity. The FIT for each alternative is, then, assessed through simulations. Finally the proposed FIT scheme is compared to the present FIT scheme and future study subjects are deri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