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인칭 대명사 you와 호칭어 번역에 나타난 변환 현상

        김세정,진실로 한국통번역교육학회 2015 통번역교육연구 Vol.13 No.1

        This study aims to show the translation shift of the English second person pronoun 'you' in various discourse situations. While English uses one form of 'you' regardless of social relationship between addresser(s) and addressee(s), Korean has more than one second person pronominal forms. Most Korean second person pronouns are not polite enough for older people and are therefore inappropriate. Because the use of pronouns is very limited in Korean, the English 'you' requires shifting into the appropriate address terms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ddresser(s) and addressee(s), namely the 'discourse tenor'. Getting the tenor of discourse right in translation depends on degrees of formality. Korean address terms are influenced by power such as age and social status, whereas in English, intimacy takes precedence. The different address system between Korean and English is usually motivated by formal/informal discourse tenor and specific situations. Korean has more complicated hierarchy for second person pronouns and address terms than English does.

      • 플라스틱 기판용 투명 폴리이미드 필름의 화학구조적 영향 및 이미드화 공정 연구

        김세정,이장주,백상현 한국공업화학회 2015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5 No.0

        최근 경량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중요시됨에 따라 기존의 유리기판을 대체할수 있는 투명한 고분자 기판소재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폴리에테르술폰 (PES),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이미드(PI) 등 여러 고분자 중 강직한 방향족 주쇄를 바탕으로 한 우수한 열적, 화학적 특성을 보이는 PI가 가장 주목을 받고 있으나, 일반 PI의 경우 본질적인 유색성으로 인하여 실제 디스플레이 기판 소재 적용에 많은 제약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사슬 내에 4,4``-(hexafluoroisopropylidene) diphthalic anhydride(6FDA)를 기반으로 4,4``-diaminodiphenyl ether(ODA), 2,2``-bis(trifluoromethyl)benzidine (TFMB) 등 여러 종류의 diamine을 이용한 PI 필름을 제조하여 단량체의 화학적 구조에 따른 필름의 열 및 광특성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와 더불어 다양한 조건(온도 및 환경, 열처리 방법 등)에서 PI 필름의 제조를 통하여, 투명 플라스틱기판에 적합한 열처리 방법(이미드화 공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 KCI등재

        하곡 정제두 연구 현황과 과제

        김세정 한국양명학회 2022 陽明學 Vol.- No.65

        2022 is the 501st year Yangming studies were introduced into the Korean peninsula. Yangming studies were criticized – by Lee Hwang – as heresy or despoiler of the orthodox way, and thus were restricted and ostracized for more than 400 years. After that time, Jeong Je Du, despite the dissuasion of his master Yun Jeung and his colleague Park Se Chae, positively accepted Yangming studies and renewed them under the name Ha-gok studies, and paved the way for the formation of Gang-hwa school. Because of him, Yangming studies could sustain their existence in Joseon. The theoretical achievement Jeong Je Du bequeathed is shown in the book titled “Ha-gok collection”. Research on Jeong Je Du’s thoughts with priority given to that collection started in 1970, and during those 50 years, great success was achieved. Until 2019, research on Jeong Je Du’s thoughts has been conducted including 7 books, 5 translations, 15 PhD. theses, 25 MA. theses, and 186 academic papers: in total, 246 works. In this study, the author put those achievements in order and made an “Appendix: List of academic research on Ha-gok Jeong Je Du”, and then, these works were listed, dividing them by periods into parts named ‘books’, ‘theses’ and ‘academic papers’,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trends,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each period. Research on Jeong Je Du can be divided into 4 periods as follows. First, the period from 1970 to 1980 can be called the ‘period of establishing foundation’ since it laid the foundation for the research on Jeong Je Du. In that period, the time of 1970s is the ‘time of sowing seeds’, and the time of 1980s can be called the ‘time of germination’. Second, the period of 1990s is a ‘period of taking root’. Third, the time of 2000s can be called a ‘period of developing’. And fourth, the time of 2010s can be called a ‘period of intensifying and diversifying research on Jeong Je Du’. Based on those achievements, to make the research on Jeong Je Du move steady advances, the following outstanding issues must be resolved. First, “Ha-gok collection” must be authenticated and completely translated into the modern Korean language. Second, there must be academic works entirely re-examining Ha-gok studies from the academic aspect; and at the same time, based on those considerable achievements, and at the same time there must be popular books on Ha-gok studies for common readers so that they can easily understand them. Third, it is necessary to link the research achievements to various problems of the present society to actively put them into practice. 2022년은 한반도에 양명학이 전래된 지 501년이 되는 해이다. 양명학은 이황에 의해 이단ㆍ사문난적이라는 굴레가 쓰인 이후 400여 년간 기나긴 배척을 받았다. 그런 여건 아래에서 정제두는 스승 윤증과 동료 박세채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양명학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하곡학(霞谷學)’으로 새롭게 발전시켰음은 물론 ‘강화학파(江華學派)’ 형성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정제두가 있었기에 조선에서 양명학은 그나마 명맥을 유지할 수 있었다. 정제두의 학술적 성과는 『하곡집』에 남아있으며, 1970년대부터 『하곡집』을 중심으로 하여 정제두의 사상과 학술에 관한 연구가 시작되어 지난 50여 년간 많은 연구 성과를 이끌어내었다. 정제두에 관한 2019년도까지의 연구 성과는 저서 7종, 원전 번역서 5종, 박사학위논문 15편, 석사학위논문 25편, 학술논문 186편으로, 총 246종에 달한다. 본 논문에서는 정제두를 다룬 연구 성과들을 정리하여 <부록 : 하곡 정제두 연구 문헌 목록>을 만들고, 이 목록에 수록된 자료들을 바탕으로 시기별로 ‘저서’와 ‘학위논문’과 ‘학술논문’으로 나누어 정제두 관련 연구의 시기별 경향과 특성과 의의에 대해 고찰하였다. 정제두 관련 연구는 다음과 같이 크게 네 시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 1970-1980년대는 정제두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는 ‘토대 마련 시기’이다. 1970년대는 정제두 연구의 ‘파종 시기’라면, 1980년대는 정제두 연구의 ‘발아 시기’에 해당한다. 둘째, 1990년대는 정제두 연구가 뿌리를 잡는 ‘착근 시기’이다. 셋째, 2000년대는 ‘정제두 연구 성장 시기’이다. 넷째, 2010년대는 ‘정제두 연구 심화와 다양화 시기’이다. 그 동안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정제두 관련 연구가 한 발 더 앞으로 나아가고 도약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 첫째, 『하곡집』 정본화 작업과 『하곡집』 완역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방대한 정제두 관련 연구 성과들을 토대로 학술적 차원에서 하곡학을 총체적으로 재조명하는 학술서가 나와야 한다. 아울러 일반 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하곡학 관련 대중서가 나와야 한다. 셋째, 현대사회의 다양한 시대문제와 관련하여 정제두 연구를 보다 적극적으로 활성화활 필요가 있다.

      • KCI등재

        Native Language Effect on Production of Merged Vowels in Korean Language

        김세정,오미라 21세기영어영문학회 2015 영어영문학21 Vol.28 No.4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honetic realizations of Korean vowels /ㅔ/ and /ㅐ/ produced by Chinese and English learners of Korean at beginner and advanced levels of proficiency. Further, it tests the extent to which acoustic similarity between L1 and L2 sounds is crucial in predicting easy/difficult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L2 sounds. Although Korean vowels /ㅔ/ and /ㅐ/ used to be two separate phonemes in Korean, Korean speakers no longer distinguish them due to the merger of these two vowels. The results from this production study reveal two findings. Firstly, the L1 influence on L2 production is partially supported for learners of Korean in that English learners of Korean do not differentiate Korean [에] and [애] in durational and spectral cues in their production. Secondly, the advanced Chinese learners exhibited hypercorrection in that they produce the Korean vowel /ㅔ/ very distinctively from /ㅐ/.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coustic similarity alone cannot predict the likelihood of easy/difficult production of L2 sounds contra Flege’s (1995) Speech Learning Model (SLM) and Escudero et al.’s (2004) Second Language Linguistic Perception Model. They indicate that teaching method also plays a crucial role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 KCI등재

        영양집중지원팀 활동의 효과 분석 -내과중환자실입원환자를 대상으로-

        김세정,이윤미 한국자료분석학회 2015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7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NST (nutrition support team) group with the non-NST group and to examine how the NST’s intervention influences clinically important end points of critically ill patients. NST group (n=50) who admitted to medical ICU from September to October 2014, was provided support by nutrition support team management. Non-NST group (n=50) who admitted to medical ICU (intensive care unit) from May to July 2014, was not. The assessment of nutritional status based on serum albumin and total lymphocyte count showed that 84.0~86.0% of those enrolled were at malnutrition. Changes in biochemistry index and mortalit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lengths of ICU stay (p=.007), hospital stay (p=.031) between two groups. In NST group, higher ratio of energy delivery resulted in significant decrease of length of ICU stay (p=.023)). Also higher ratio of protein delivery resulted in significant decrease in lengths of ICU stay (p=.031), hospital stay (p=.006). In conclusion, most critically ill patients were receiving less energy and protein than they required.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for providing proper nutritional support to patients through more systematic NST activities and advertisement. 본 연구는 영양집중지원팀(NST) 활동에 대한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B시의 P대학병원의 내과중환자실에 입원한 19세 이상의 환자를 대상으로 전자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영양집중지원팀의 관리를 받은 환자군(NST군) 50명과 영양집중지원팀의 관리를 받지 못한 환자군(Non-NST군) 50명의 영양지원현황, 생화학지표, 합병증발생, 병원재원일수와 중환자실 재실일수, 사망률을 비교하였다. 자료분석방법은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카이제곱검정, t-검정, Pearson 상관계수로 분석하였다. NST군과 Non-NST군의 생화학지표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합병증발생은 신기능 이상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7.679, p=.021). 병원재원일수는 NST군 25.66일, Non-NST군 38.40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t=-2.207, p=.031), 중환자실 재실일수도 NST군 12.96일, Non-NST군 20.76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2.747, p=.007). 사망률에서는 NST군과 Non-NST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NST군에서 영양요구량 대비 에너지 공급(r=-0.322, p=.023)과 단백질 공급(r=-0.380, p=.006)이 증가할수록 병원재원일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영양집중지원팀의 관리를 받은 NST군이 병원재원일수와 중환자실 재실일수가 짧은 것으로 나타나 중환자의 영양집중지원팀의 역할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영양집중지원팀의 활성 도모를 위해 적극적인 지원과 관심이 필요하겠다.

      • KCI등재

        김유정 소설에 나타난 해학적 요소의 번역 양상

        김세정 한국통번역교육학회 2016 통번역교육연구 Vol.14 No.3

        This paper analyzes and examines the translations of humorous elements in Korean modern short stories, ‘Spring, Spring’ and ‘The Camelias’. This study categorized humorous elements into total of three according to language variation: slangs, personal dialect and onomatopoeia. These aesthetic elements by oral narration represent the writer's stylistic features. The three elements are deeply embedded in the source culture and it is hard to find a target language variant with a similar expressive function. The expressive functions of slangs, personal dialect and onomatopoeia tend to be lessened to some extent or completely missing in the target texts. It is because such expressions in the original are often generalized, paraphrased, or omitted with the different system of language variation, resulting in the change in humor effects in translated texts. Therefore, in translating humorous works, translators should try to compensate for the omission and generalization in other parts of the text by adding new rhetorical expression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