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 후기 문예 미학의 문학 사상사적 의의

        김성룡 ( Kim Seong-ryong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09 고전문학과 교육 Vol.18 No.-

        중세 후기에는 문학과 도가 일치해야 한다는 도문일치의 문학 사상을 반성하고 그 대신에 문학이 갖는 독자적인 가치를 미적인 즐거움을 주는 것에서 찾고자 하는 경향이 생겨나 발전했다. 문예(文藝)는 이러한 경향을 대표하는 문학의 가치를 표현한 말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문예의 독립적 지위가 사회의 여러 직능 중의 하나로서 인정되는 것과 문인을 평가하는 기준도 인격적 평가로부터 벗어나 문학 자체에 대한 평가로 변화하는 현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은 특히 17, 18세기에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 시기에는 인물성동이론 등 심성론에서 중요한 진전이 이루어졌다. 또 미적 감동을 중시하는 경향이 발전해 산수유기와 척독 등의 문예 취향의 글쓰기가 발전했다. 이러한 분위기에 힘입어 신운, 성령과 같은 미적 관념이 발전할 수 있었다. There appeared many of changes in 17th Century of Yi Dynasty. One of the most important changes was the literary thoughts. From the early Yi Dynasty almost all of the gentry who was as an illustrious official as well as a man of intellectual thought that the literature might be related to the Tao at least. But the intellectuals in 17th century thought that the literature might not be related to the Tao. Instead the literature might have its own aesthetic value. This changes in literary thoughts corresponded with the various changes in the philosophical thoughts. The most distinguished changes of the branches of learning was the philosophy of mentality. In brief they thought that the Seong[性] embodied the idea of Tao and the Jeong[情] embodied the idea of Human. The former was more important than the latter. But philosophers were skeptical about the values and the relations between these two notions. Some philosophers might think that the latter would be more important to the ordinary human being. The notion of Cheon Gi Ron accumulated the knowledges of human mentalities and also provoked the study of human mentalities. Through this notion they asserted that Tao and literature were different with each other and they should express their spontaneous emotions through literature without philosophical or moral control. The intellectuals who valued Belles Letters understood the changes which appeared in the various fields of Yi Dynasty. They accept the human emotions freed from moral controls and they thought that the literary works were not a kind of philosophy or moral but a kind of art. The brothers of Kim Chang Hyup[金昌協 1651~1708] and Kim Chang Hup[金昌翕 1653~1722] took a remarkable position in these changes. Soon after, Sin Yu Han[申維翰 1681∼?], Cho Ku Myung[趙龜命 1693~1737], Yu Han Jun[兪漢雋 1732~1811] succeeded. From Park Je Ka[朴齊家 1750~1805], through Kim Jeong Hui[金正喜 1786~1856], and at last to the modern literary men, the literature of Belles Letters establish its status as one of the branches in the division of social labor.

      • KCI등재후보

        천명론(天命論)의 등장과 도문일치(道文一致)의 문학 사상

        김성룡 ( Kim Seong-ryong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06 고전문학과 교육 Vol.12 No.-

        In this article I investigate the major theme of literary thoughts through the late Koryo dynasty to the early Yi dynasty. Destiny is the major theme from person to the state. At first glance, as there were too many of accidents during those days so the theory of destiny must flourished. But the theory of destiny, especially the theory of Heaven's command is the character of Far Eastern Asian thought. It was generated from the late Chin dynasty. But what I'm concerned about in this article is the correlative anthropocosmology which this theory is based. There were many of intellectuals who devoted his life to investigating this theme. At some sense this theme is the major theme through the Medieval Age of Far East Asia. From the early Confucians to the neo-Confucians most of them investigate the norm and the meaning of this theme. In Korea in the middle of Koryo dynasty the thought of this theme became profound religious thought. Many of Koryo and Yi neo-Confucians investigate this theme. Through the ruin and the foundation of a state the confucians need the prime mover of human history. And they thought that the literature would in some sense the symbols of this prime mover. First of all the intellectuals must realize the symbols of Heaven's sign according to the political affairs. There must many of signs from sky to the earth. So the intellectuals must be able to read the signs. Second the intellectuals must express the Heaven's will through the literary works. They might decorate the heaven's will or might issue the heaven's warning to the king. These two ways were related together. And these were also the literary intellectuals works. So theory of destiny, especially the theory of Heaven's command became the cosmology of neo- Confucians and also the literary thought. In this point this 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eory of destiny and the special period of the late Koryo and the early Chosun dynasty.

      • KCI등재

        한국 고전문학교육학의 특수성과 보편성

        김성룡 ( Kim Seong Ryong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3 고전문학과 교육 Vol.25 No.-

        고전문학교육학의 학문적 터전은 고전 문학 작품에 대한 미적 의사 소통과 고전 문학 교육의 교육 공학적 설계라는 양 축을 근거로 설정될 것이다. 최근 교육과정 개정은 정치적 필요에 의해 이루어진 혐의가 짙다. 교육과정의 개정은 교육 현장의 경험과 이론의 발전을 토대로 이루어져야 한다. 고전문학교육학이 하루속히 정립되어 이러한 소용에 부응해야 한다. 이 글은 고전문학교육학의 학문적 터전을 마련하기 위한 일환으로 그동안의 한국 고전 문학 교육을 반성하고 동아시아 각국의 고전 문학 교육의 현장을 살펴서 한국고전문학교육학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찾아보려는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학술 발표의 총론으로서 고전문학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추구하고 현실적 대응력을 갖출 것을 촉구하고 있다. Today we Koreans have at least three Educational Curricula, 2007 Revision, 2009 Revision and 2011 Revision Educational Curricula. Whenever the Educational Curricula have been revised, many of professors and researchers carefully investigate and considered what sort of contents should have been chosen according to the aims of the revision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But they neglected social consensus and feedback to the educational practices. In this conference I hope to survey the processes of establishment of classic education in Korea. And also I hope I can speculate the situation of today's classic education in Korea and compare the classic educations of several countries. I hope this make can extend and deepen my thoughts. These articles will be very useful in revising educational curriculum, developing teaching method and sophisticate the theories and histories of classic education. I think that comparative study of classic educations of East Asia will indicate the new theories and methods to Korean classic educational academy. The theory and methods of Korean classic education will indicate those to the East Asian academy as well. Because the East Asian classic educations get the same problems.

      • KCI등재

        일반논문 : 지식의 교환으로 본 문학 연구와 문학 교육의 소통

        김성룡 ( Seong Ryong Kim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5 국어교육 Vol.0 No.151

        In this article I present some considerations on the communications between literary study and literary education considering this as theexchanges of literary knowledges. I think the problems of communications happened because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justification of the literary education and that of literary study. The concepts of literature,literary knowledge, and literary education of our culture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western culture. But our educational establishments of modern ages are based on the western traditions. We conceive the conceptof knowledge on two traditions. On our traditional culture, we conceive it as a knowledge how to make and a knowledge how to explain. On western culture, we conceive it as justified knowledge and we think that it has process how to conceive the object, the capacity how to do it, and the capacity how to express it through language. In our traditional understanding knowledge there become the educational orientation to the learning and to the introspection. In the western there become the educational perspectives on the hierarch and objection. In our traditional education the goal of literary education is making literary works but in the western traditional education is reading literary works. Our modern age we received the western cultural establishments including education. The main goal of literary education has become to reading. Knowledges of literature has become to one of humanities by the understanding about the arche of the human and the world with the introspective thought. Literary education is one ot the social sciences that is calculating the utility of the investment of social commodities. The literary study and the literary education are based on quite different justification. I declare that we restore our literary educational traditions. The spontaneousness and intention of literary study are combined to those of the aesthetic experience and to be the same categories. The rationality of humanities and rationality of social science fuse together to one horizon. In this respect the study of literary education will be a new humanities of our time.

      • KCI등재

        국어과 교과서 고전 문학 작품의 위계 근거 연구

        김성룡 ( Seong Ryong Kim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4 청람어문교육 Vol.50 No.-

        최근 몇 년 사이에 국가 교육과정이 여러 차례 개정되었다. 개정에 따라 중등교육 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과서도 새로 제작되었다. 국어 교육은 교과서에 의존하는 바가 매우 크다. 특히 문학 작품 교육은 기능이나 성취 목표를 중심으로 하여 진행되는 것보다는 작품 자체에 대한 이해를 목표로 하여 진행하는 것이 국어 교육에서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 교과서가 개편되고 교육과정이 혼재함에 따라 다양한 교과서에서 고전 문학 작품이 서로 다른 학령에 걸쳐 나타나고 있다. 교육은 학습과 달리 사회적 재화가 투자되는 공적 행위이다. 그러므로 효율과 표준이 중요하다. 고전 문학 작품의 학령 표준을 세우는 것이 필요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 글은 본질론적 논의나 방법적 구안이라는 고전 문학 교육학적 논의를 지금까지의 논의와는 다른 각도에서 제안하려고 한다. 현재의 중등학교 교과서에는 11개의 고전 시가 작품, 12개의 고전 산문 작품은 특히 3개 학령 이상에 걸쳐서 분포하고 있어서 적절 학령을 설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우선 현장 교육 전문가는 이러한 작품에 대해서 어느 학령이 적절하다고 생각하는지 설문하였다. 그 결과 23개의 고전 문학 작품의 적절 학령에 대한 최빈값과 평균값을 구할 수 있었다. 두 번째로 적절 학령을 산출하는 데에는 11가지의 평가 요소가 작동할 것으로 생각했다. 이 11개의 평가 요소 중에서 학령 산출에 가장 상관도가 높은 것을 찾았다. 고전 시가의 경우 상관도 산출에서 유의미한 요소로서는 ‘표현 방법의 복잡도(r=.416)’이었으며, 고전 산문의 경우는 ‘사용한 어휘(r=.470)’, ‘표현방법의 복잡도(r=.468)’였다. 11개의 평가 요소를 통해서 학령 적합도 추정 회귀식을 세웠다. 그 결과 고전 시가 작품은 학년 수준 적합도 = .207(평가기준2)+.203(평가기준3)+.143(평가기준6)+.114(평가기준4)+.105(평가기준10)+7.272이고, 고전 산문 작품은, 학년 수준 적합도 = .337(평가기준2)+.223(평가기준3)+.132(평가기준10)+.091(평가기준11)+.080(평가기준4)+.086(평가기준12)+.064(평가기준5)+6.506임을 알았다. 통계 그 자체는 객관적인 것이 아니다. 그러나 통계는 주관적 판단에 대한 공론의 장을 열어둠으로써 주관적 판단의 객관화를 실현하게 하는 유용한 도구이다. 이 글이 고전 문학 교육에 관한 공론을 형성하는 데 일조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During these few years there are three times of national curriculum revisions in Korea. Accordingly there have been three types of textbooks which are used in the secondary education. Education Korean language is depend largely on textbooks. It should be paid special attention that the efficiency of the education literature is better when the aim of literary education is on the text itself not on the literary competence. The Korean classical literary works which were printed in these textbooks should have been verified on the point of hierarchical arrangement. But unfortunately there are no reasonable hierarchical arrangement of these classical literary works. There have been very few discussions about the hierarchical arrangement of classical literary works. Now in Korea 11 Korean classical poetry and 12 Korean classical proses are printed in at least three school years different textbooks. It is necessary that the way of calculating the appropriate school years of a classical literary work. I designed a questionnaire. And I conduct a survey through this questionnaire to the 214 secondary school teachers. From this survey I get some meaningful results. First I get the mode and the mean value of the appropriate school year of these 23 works. I get the strong correlation features from the 11 activating features[F2~F12]. In Korean classical poetry the feature of ‘complexity of the expression technique’, and in Korean classical prose the feature of ‘used words’ and that of ‘complexity of the expression technique’ are most strong correlation features to the appropriate school year of the a text. I get two multiple regression equations through the use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echniques. The appropriate school year of a certain Korean classical poetry = .207F2+.203F3+.143F6+.114F4+.105F10 +7.272, and the appropriate school year of a certain Korean classical prose = .337F2+.223F3+.132F10+.091F11+.080F4+.086F12+ .064F5+6.506

      • AI설계를 위한 FSM 도구의 설계

        김성룡 ( Seong-ryong Kim ),윤성희 ( Sung-hee Yoon ),김명세 ( Myung-se Kim ),오삼권 ( Sam Kweon Oh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1 No.2

        가상현실에 생성되는 NPC(Non-Player Character)의 인공지능을 설계 하는 AI 디자이너가 NPC 행동 패턴을 효율적으로 모델링을 할 수 있게 도와주는 FSM(Finite-State Machines) 도구를 제시한다. 이 도구는 FSM 각 상태와 상태의 변이에 따른 여러 가지 행동 패턴을 쉽게 모델링 할 수 있으며, AI를 디자인하는 디자이너가 가상현실 속에 존재하는 NPC의 AI를 설계 하고 프로그래머가 AI를 구현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줄여준다. 또한 행동 패턴의 FSM 구조가 일반화 되어 재사용성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AI를 하드코딩으로 구현 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 KCI등재

        미디어 시대의 문학교육 : 복합 감각 시대의 문학교육

        김성룡 ( Seong Ryong Kim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1 문학교육학 Vol.36 No.-

        Which is the role of literary education in these times? For what purpose we teach literary works to young generation? Every one says that we are all under the multi sensory system. Media present several kind of films and dramas animations ets. all of them are based on the multi sensory system, especially visible and audible sensory system. On the contrary literary works can`t show us the literary world. We decode signs and imagine the literary world. Senses are more comfortable to us than the signs. We moderns adapted ourselves to the multi sensory system which the media have presented. In these conditions, the literary education would cease to its traditional way of education and should try to find out new way of sensory-oriented education. Or at least we should try to find out the way of transforming literary works to the other multi sensory art forms e.g. films, dramas, comics etc. But the value of literature is not to present amusement. Media is subjected to capital, and it also obedient to the masses. Masses has given a blind power to the media. Capital has obtained profits from the masses through media. Only literature can be free from the capital and the masses. Literary workers and literary educator also must give attention to the media capital system and blindness of masses. Under the multi sensory system and under the reign of media, we must find out the revolutionary power from the literary works and must educate the power of negation through literary work.

      • KCI등재

        시학과 글쓰기:표절(剽竊)과 환골탈태(換骨奪胎)사이

        김성룡 ( Seong Ryong Kim ) 한국작문학회 2008 작문연구 Vol.0 No.6

        현대에는 시문(詩文)의 표절은 재화(財貨)의 약탈과 같은 것으로 간주된다. 중세 시대에는 표절에 관해서는 이중적인 태도가 나타난다. 중세의 사대부들은 표절을 파렴치한 범죄 행위라고까지는 생각하지 않았지만 표절에 의해서 만들어진 시문이 어떤 한 인격의 능력과 덕망을 측정할 수 있는 시료로서의 구실을 하는 데에는 역부족이라고 생각했다. 첫째 표절은 시문 제작 수법의 하나로서 인정했다. ‘용사(用事)’란 시문 제작에 있어서 옛날 일을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용사를 allusion이라고 번역하는 이도 있으나 남의 글을 인용하는 것이 아니라, 옛날의 것, 역사적인 것을 인용하는 것이므로 차이가 있다. 보한집(補閑集) 에는 실제의 작품을 들어 고사를 사용하는 방법, 곧 용사의 방법을 분류했다. 이렇게 다양한 용사 분류는 용사가 시문 제작의 수법으로 널리 활용되었기 때문이다. 용사는 더 나아가서는 시문을 아름답게 꾸미는 기능을 갖는다. 용사가 없는 시는 시라고 보아줄 만하기는 해도 좋은 시라고는 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 어떤 시는 시적 내용이나 그 형식의 면에서 시라고 판단하는, 시라고 분류하는 기준에 합할 수는 있어도, 용사가 없으면 좋은 시라고 평가하는, 시의 미적인 규범에는 합할 수 없다고 여겼다. 용사는 시적 평가, 시의 미적 규범을 판단하는 가치적, 평가적 표지가 된다. 용사는 고려부터 조선말에 이르기까지, 한시가 한시인 한, 평가적이고 규범적 기준을 정하는 아주 중요하고도 주요한 변별적 표지로서 기능해 왔다. 시학으로서 용사는 낡은 시편이 갖고 있는 언어 자산, 언어의 우주로부터 어구를 뽑아서 새롭게 교직해내는 텍스트 제작의 문법이 된다. 용사는 수사학의 일종이지만 동시에 텍스트 생성 문법 일체를 지칭하는 용어이므로 나는 용사의 이론을 텍스트 재생산의 시학 원리라고 지칭한다. 하늘 아래 새로운 것은 없다. 이념, 의경, 표현의 층위 어느 것도 새로운 것은 없다. 지금까지 나온 모든 문장은 비록 유한한 수의 문장으로 이뤄졌다고 해도 앞으로 나올 만한 문장은 이미 거의 사용한, 충분히 큰 수의 집합이라고 생각한다. 생산된 텍스트는 인류의 언어 우주를 풍성하게 한 공동의 재산으로 보아야 하므로 표절 시비는 너무도 잗다란 일이다. Plagiarism is regarded as a kind of literary piracy. We all agree with this opinion. In the middle age the valuation of using sentences or phrases of some other`s was different from today. Taking sentences or phrases from other authors is a kind of rhetoric, allusion, in order to enhance the poetic meanings. But in Korean Literature in the middle age, it was not a sort of rhetorics but poetics. Because any author can produce or create his works using the other`s works. So to the authors in middle age the allusion was poles apart in their opinions. It was a kind of plagiarism so it must be abandoned in order to take the peculiarity and originality of the authors. But it was also a very important method of creating literary works. First it was a kind of very important and very effective producing method. And second it was a kind of a criterion to evaluate poetic works. During the middle age almost all of the literacies were enthusiastic consistently to learn this method of poetic production in the atmosphere of despising this method. At last the method was despised as a kind of literary piracy. But is it really a kind of literary piracy? Supposing that we could rewrite all of the literary works from the first word to the latest works in one book, then we could not escape from duplicate the same phrases and sentences. We can never escape from the universe of the language which was already formed by creators of many generations. So in some sense finding out whether using sentences or phrases of some other`s or not is valueless thing.

      • KCI등재

        정서(情緖)와 문학교육

        김성룡 ( Kim Seong-ryong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0 고전문학과 교육 Vol.20 No.-

        이 글은 문학 교육에서 정서의 관련 양상에 대한 개괄적 이해, 즉 문학 교육에서 정서 문제의 의의를 살핌으로써 이 분야에 대한 후속의 논의를 촉구하고자 한다. 정서(情緖)란 마음의 복잡한 가닥들이라는 뜻이며 이 글은 문학과 정서의 문제, 즉 그 정체성에 관한 물음에 대한 해명을 시도하였고, 또한 문학 교육을 통한 정서 교육의 효율성에 관한 물음에 대해 답을 제출하고자 했다. 춘추시대의 학자들이나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은 마음의 문제를 탐구하기 시작했으며 그 과정에서 문학의 가치를 마음, 정서의 문제와 연결시켰다. 정서에 대해 유교나 불교와 같은 전통 학문에서도 치밀하게 논의한 바 있고 또 정서와 신체적 현상, 행동의 작동 과정에 대한 과학적 탐구는 성공을 거두고 있으나 정서 그 자체는 무엇이며, 어떤 가치가 있는가 하는 데 대한 것은 문학 연구를 통해서만 도달할 수 있다. 문학은 정서를 언어로써 포착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문학은 어떤 정서가 유발될 것 같은 상황을 형상화해냄으로써 정서에 대한 깊은 성찰을 가능하게 한다. 그 동안 우리 문학 교육에서 정서에 관한 학문 어휘가 통일되어 있지 않았다. 또 정서를 효용적 가치로만 평가하기도 했다. 그리고 정서 교육의 방법론에 대해서도 깊은 연구 결과가 제출되어 있지 않다. 이제 우리는 문학이 미적 대상물을 형상화하고 연출된 상황을 형상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정서 교육 장이 되고 있음을 깨달아야 한다. 그리고 정서의 전이와 다른 심미 체험 역시 문학 교육이 지향하는 정서 교육의 하나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끝으로 문학은 인간의 정서를 탐구할 수 있는 이상적 상황을 연출함으로써 정서 반응의 전형적 상황을 통해 인간의 정서를 탐구한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 이 글은 이 글을 이어서 정서의 실체와 문학에 간여하는 양상, 전이와 공명의 장치들 등등에 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진행되기를 촉구하는 데 의의가 있다. 후속의 논의가 풍성해지고, 그 논의의 결과가 교육과정에 반영됨으로써 수준 높은 중세의 학문이 오늘에 계승되고, 우리의 교육과 우리의 인문학적 전통이 상호 출자함으로써 보다 인간적이고 역사적 미래의 교육이 되기를 희망한다. In this article I urge many of the scholars who major in literary education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terary education and the emotional education. I try to sum up the relationships and the values of the emotional education in the discipline of literary education. Emotion is used here as the tangled thread of mind. Scholars in the period of ancient China and ancient Greek began to investigate the human mind. They thought evenly that values of literature related to the degree of their deal with the emotion. In the middle age of the east Asia, especially the Confucians or the Buddhist scholars made a close investigation into the human mind. Nowadays many of psychologists who were educated through the modern european science shed light on the mechanism of the appearance of the mind. But I think that making a clear explanation of a mechanical operation quite differs from that of the value and the identity. However in the discipline of literary education, scholars have not been careful about wording. And some of them did only recognize the value of the emotion in the bound of educational purpose. By these three reason, I assert the rights of emotional education through literature. First, the language of literature, namely the poetic language, literature catches the emotions and also through language describes these to be comprehensible. Second, the aesthetics experience through literary works are one of the strategies which the literary educators tried to do educate the reader to retain good emotions. Third, literary works figure a situation where on such an occasion a certain emotion should appear so and s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