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자인 사고’에서 사고의 융합

        김보섭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principles of convergence in design thinking. Given the fact that the concept is not only constructed in itself but also combined within concept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convergent thinking based on philosophical theories. When a concept is viewed as a basic unit of thinking, the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is derived by convergent thinking that combines inherent properties with the external perspectives. Kant's philosophy on ‘analysis and synthesis’ gave an effect that convergence in design thinking is based on synthesis not just by analytic thinking process. Design thinking has developed with the acceptance of Karl Popper, Thomas Kuhn, and Charles Peirce' philosophy of science and semantic positions of Krippendorff and Berganti, among which the perspective of philosophy of science has evolved abduction by which establishing hypothesis by observation and has provided the basis of convergent thinking. In the development of design thinking, the 3rd generation reveals the importance of the convergent thinking process followed by ardent debates over design thinking methodology. Design thinking which has evolved on the basis of various philosophical backgrounds puts an importance on dual thinking process such as observation and cognition, divergence and convergence, top-down and bottom-up, linear and lateral thinking, etc. In conclusion, the convergence of design thinking can be accomplished by systematic and professional thinking methodology to solve complex problems. The binary opposition process is developed into a specific thinking principle in the design field. 이 연구는 ‘디자인 사고(design thinking)’의 융합적 원리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고란 사고의 기초 단위로서 개념과 그 개념의 관계를 맺는 방식으로 설명할 수 있다. 본 논의는 개념의관계 결합의 이론을 기초로 디자인 사고에 영향을 준 철학과 디자인의 방법론적 변화를 살펴봄으로써디자인 사고의 융합적 원리에 대해 탐색한다. 개념을 사고의 기초 단위로 볼 때, 개념의 생성은 개념안에 내재한 특성과 외적 관점과 결합하는 융합적 사고에 의해 이루어진다. 칸트의 분석과 종합 판단에 대한 철학은 분석뿐 아니라 종합을 통한 확장적 사고를 통해 융합적 사고가 생성되는 원리를 밝힌다. 디자인 사고는 포퍼, 쿤 퍼스의 과학철학적 입장과 크리펜도르프, 베르간티의 의미론적, 해석학적입장을 수용하며 발전해왔으며, 그 중 과학철학적 관점은 연역과 귀납의 종합 즉, ‘관찰에 의해 가설을추정’하는 가추법으로 발전하여 융합적 사고의 기초를 제공했다. 디자인 사고의 발전 과정은 디자인방법론에 대한 과학적 입장과 그 반대편 입장을 변증법적으로 융합한 3세대 디자인 방법론의 산물이다. 디자인 사고는 분석과 종합의 칸트의 두 가지 사고 방식을 중심으로 관찰과 인식, 발신과 수렴, 하향식과 상향식 접근, 연속적 사고와 옆길 사고 등의 이항 대립적 사고를 함께 사용한다. 결론적으로디자인 사고의 융합은 문제 해결을 위한 체계적이며 전문적 사고 과정으로서 이항 대립적 사고 과정은 디자인 분야의 특정한 사고 원리로 발전하고 있다.

      • KCI등재

        해조류(미역, 김, 다시마) 분말을 첨가한 찐어묵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비교

        김보섭,오병준,이해인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9 No.10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teamed fish paste containing seaweed (sea mustard, laver and sea tangle) powder were studied to develop a high-quality fish paste. Seaweed powder did not affect the crude lipid and protein contents. The fish paste containing laver (L-FP) had the lowest moisture content. The ash content of fish paste containing sea tangle (ST-F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L-FP and sea mustard (SM-FP). The fish paste containing seaweed powder had significantly lower lightness then the control, fish paste without seaweed. The color of the fish paste was similar to the original color of the respective seaweed. The textural properties of steamed fish paste containing seaweed powder were chewier than those of the control. The steamed L-FP compared to SM-FP and ST-FP had the highest polyphenol contents, and higher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an the control. According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L-FP rather than SM-FP and ST-FP provide good quality in terms of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 KCI등재

        연상 사고 과정에서 창의적 개념 결합의 탐색적 연구 – 이미지와 단어의 연상 맵핑의 비교를 중심으로 -

        김보섭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0 한국디자인포럼 Vol.25 No.3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nceptual combinations in the creative thinking process in the associative mapping process in an exploratory study. Principles about concept combinations are complex and unclear(Gagné and Shoven, 1997), and the creative concept combinations weren’t be clarified. This study seeks to examine the content of creative concept combinations through two representative theories – Thematic Relationships and Dimension-based interpretations. Methods Five students participated in image-based mapping and word-based mapping to design a chair for group activities started from natural objects. Then Interviews, recordings about discourse, and protocol analysi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associative strength and creativity were judged by experts and concept combinations of associative mapping was discussed and was interpreted based on quantitative analysis. Result As a result, it was judged that most of the associative thinking process generate concepts through thematic relations interpretation, and dimensional interventions conducted only about 10-20%. This can be assessed that dimension-based interpretations attempt to solve a problem in a more exceptional situation, the thematic relations relatively mean to contribute to general thinking process.. Conclusion This study requires that the two representative thinking processes are balanced and interacted. In the creative concept combinations, the accumulation of thematic relation interpretations also contributes to creatvie conceptual combinations, dimension-based interpretation can contribute to creative thinking in a way that attempts creative shifts. 연구배경 이 연구는 개념 결합(Conceptual Combinations)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통해 연상 맵핑 과정에서 사고 과정의 결합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개념 결합의 방식은 매우 복잡하고 명확치 않으며 창의적 개념 결합에 대해서는 밝혀진 바가 부족하다(Gagné & Shoben, 1997). 이 연구는 개념 결합의 대표적 이론인 주제적 관계(Thematic Relations) 해석과 차원 기반(Dimension-based) 해석을 통해 창의적 개념 결합의 내용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이미지 연상 맵핑과 단어 연상 맵핑에 대해 10명의 학생이 참여하여 자연물을 연상 사고의 출발로 해 ‘그룹 활동을 위한 의자’를 디자인하도록 하였다. 실험의 결과에 대해 참여자와의 인터뷰, 녹취, 프로토콜 분석을 실시하였다. 전문가 3인이 연상 강도와 창의성을 평정했고 평정 자료에 대한 정량적 분석을 기반으로 연상 맵핑의 개념 결합에 대해 논의, 해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의 결과로서 대부분의 사고 과정이 주제적 관계 해석을 통해 개념을 생성하며 약 10~20%의 경우에만 차원 개입의 개념 결합을 시도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는 주제 관계 해석이 일상적 사고를 의미한다면 그와 비교하여 차원 기반 해석은 예외적인 상황에서 문제 해결을 시도하는 사고로 평가할 수 있다. 결론 본 연구는 주제 관계 해석과 차원 기반 해석에 대한 내용을 기반으로 두 가지 다른 종류의 사고의 차이를 검토하였다. 연상 사고 과정에서 주제 관계 해석이 발산적인 방식으로 문제를 검토하며 탐색하는 과정이라면 차원 기반 해석은 기존 개념에 대한 전환을 시도하는 사고의 종류로 이해할 수 있다.

      • KCI등재

        인공지능의 조형 활동 가능성 - 스키마 분석을 적용한 의자의 컴퓨테이셔널 사고 실험을 중심으로

        김보섭 한국기초조형학회 2022 기초조형학연구 Vol.23 No.1

        The study discusses the possibility of form-giving activiti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through the sketching experiment substituted into the schematic model in which the form-giving that have been regarded as unique human abilities. In the area of design and art, form-giving activities are human-specific activities that give form and construct symbolic and material substance to human thoughts. Recently, AI technology has opened the possibility of mimetic activities as human form-giving activities, such as creating forms of objects or creating new images. In order to analyze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s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concepts between humans and AI, this study analyzed the schema model as a principle for generating new concepts by humans. The schema model assumes the process of generating a concept as a corresponding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 (slot) of the concept and the content (filler) to fill the components, and provides a framework to analyz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omponent of the goal concept and its semantics. To study, 20 students were asked an idea sketch task aimed at the concept of a 'new chair' and the researcher observed the process.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eight meaningful correspondences were derived, and the meaning and generation process was analyzed through two paths: the thinking process starting from the slot and the thinking process starting from the filler. Based on this sketch experimen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process between humans and AI were discussed by substituting the form-giving activities into the mechanism of GTP-3 and DALL·E, which have recently emerged issues. In conclusion, the form-giving activities of humans and AI is possible by the relational correspondences that connect existing concepts.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way of constructing relational correspondences, which results suggest fundamental differences in the form-giving activities of humans and AI. 이 연구는 인간의 고유한 능력으로 여겨져 온 조형 활동을 스키마 모형에 대입한 스케치 사고 실험을통해 인공지능의 조형 활동의 가능성을 논의한다. 디자인과 예술의 분야에서 조형 활동은 인간의 생각에 형태를 부여하고 상징과 물질적 관계를 구축하는 인간 고유의 활동이다. 최근 인공지능의 기술은사물의 형태를 만들거나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하는 등 인간의 조형 활동과 마찬가지의 활동을 할 수있는 가능성을 열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인간과 인공지능의 개념 생성 과정의 유사성과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인간이 새로운 개념을 생성하는 구조와 원리로서 스키마 모형에 대입하여 분석하였다. 스키마 모형은 개념의 생성 과정을 개념의 구성요소(슬롯)와 그 구성요소를 채우는 내용(필러)의 상응관계로 상정하여 목표 개념의 구성요소와 그 내용의 상호작용을 분석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한다. 분석을 위해 20명의 학생에게 ‘새로운 의자’의 개념을 목표로 하는 아이디어 스케치 과업을 부여하여 그과정을 관찰했다. 이 사고 실험의 결과로서 8개의 유의미한 상응 과정이 도출되었고 그 과정을 슬롯으로부터 시작하는 사고 과정과 필러로부터 시작하는 사고 과정의 두 가지 경로로 그 의미와 생성 과정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스케치 실험을 바탕으로 조형 활동을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 GTP-3와 DALL·E의 작동 원리에 대입해 인간과 인공지능의 조형 생성 과정의 유사성과 차이를 논의하였다. 결론적으로 인간과 인공지능의 조형은 기존의 개념을 연결하는 관계적 상응성에 의해가능하며, 조형 활동은 인간 고유의 창의적 능력이지만, 관계적 상응성을 구축하는 방식에서 차이를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인간과 인공지능의 조형 활동의 근본적 차이를 시사한다.

      • 관광지 평가 댓글을 활용한 만족도 요인 추출과 관광지 평가

        김보섭,조수현,박민식,강필성 대한산업공학회 2016 대한산업공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16 No.11

        In order to attract foreign tourist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what factors on domestic tour spots are critically considered and how they are evaluated after visit. However, most of the researches on tour business have collected information from tourists through survey on a small number of tourists, which leads to inaccurate and biased conclusion. In this paper, we suggest a data-driven methodology to figure out tourists’ satisfaction factors and estimate sentiment scores on them. To do so, we collected review comments data from a popular tour website. Latent dirichlet allocation is employed to extract key factors and elastic net is used to estimate sentiment scores. Then, an aggregated evaluation score is generated by combining the factors and the sentiment scores per topics. Our proposed method can be used to recommend travel schedules with themes and discover new spo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