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학부모용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 개발에 대한 유아교육 전문가의 요구 분석-델파이 조사를 중심으로

        김병만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7 No.-

        본 연구는 유아교육 분야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학부모용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 개발에 대한 요구도를 수렴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정책·평가 전문가, 유아교육행정 전문가, 유아교육현장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본 연구는 학부모용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 개발의 프레임 구성을 위하여 개방형, 폐쇄형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유아교육 전문가를 2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내용 분석을 실시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용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의 평가범주와 평가준거 기준을 선정하기 위해 가장 적합한 선행연구를 수렴한 결과, 김병만(2014), 강영욱(2004), 정강희(2003) 기준의 순으로 높은 요구도가 도출되었고, Suchman(1967), Nakamura & Smallwood(1980), Dunn(1981), 정일환(2000) 및 김종철(1996)의 연구에 대한 요구도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평가 범주와 평가 준거의 중요도 및 필요도에 대한 요구도는 공공성, 실현가능성, 공익성, 민주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학부모용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의 개발방향 및 기타 의견에 대한 요구도를 수렴한 결과, 평가의 범주, 준거, 요소는 철학적, 논리적, 이론적 용어로 정리하되, 학부모들이 직접 평정할 수 있도록 구체적이고 쉬운 용어로 풀어서 제시하도록 요구하였고, 가능한 최소의 문항에 핵심 내용을 포함한 콘텐츠 구성 등의 요구도가 있었다. 본 연구는 학부모를 유아교육정책의 수혜자로 규정하여 대상화, 타자화 시키는 현실에서 벗어나 이들이 정책 수립과 실행 및 평가의 주체로 위치함에 당위성을 확보하였고, 이에 대한 주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AHP 기법을 활용한 학부모용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

        김병만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9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ve importance of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evaluation scale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technique to identify importance and priority. The subjects of the study participating in the AHP method comprised 20 panelists and the research tool consisted of the relative importance survey questionnaire developed by Kim (2017b). The Parents' Educational Policy Evaluation Scale consisted of 4 evaluation categories, 8 evaluation criteria, and 24 evaluation indicators. Th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Expert Choice 11.5 program according to the procedures of the AHP technique to analyze relative importance. It was shown that the evaluation category had weight in the order of collinearity, democracy, correspondence, and effectiveness. In the evaluation criteria, there was a high degree of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y in the order of public interest, true women, and timeliness. In the case of evaluation index, the degree to which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benefits all the people, the degree to which parents participate democratically in the formulation of educational policies, and the degree of realiz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in current social and cultural contex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the evaluation criteria and evaluation indicators belonging to the evaluation category of collectivism, democracy, and responsiveness are highly important in evaluating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These findings can be interpreted as a sign that it is suggested that these evaluation categories are considered more carefully in the future. 본 연구에서는 AHP 기법을 활용하여 학부모용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의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여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은 전문가 패널 20인으로 선정하였고, 연구도구는 김병만(2017)이 개발한 학부모용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를 상대적 중요도 조사 설문지로 구성하였다. 개발된 학부모용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는 평가범주 4개, 평가준거 8개, 평가지표 24개로 구성되었으며,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기 위해 AHP 기법의 절차에 따라 Expert Choice 11.5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평가범주는 ‘공선성’, ‘민주성’, ‘대응성’, ‘효과성’의 순으로 중요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준거는 ‘공익성’, ‘참여성’, ‘적시성’의 순으로 높은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평가지표의 경우 ‘유아교육정책이 국민 전체에게 이익을 주는 정도’, ‘유아교육정책 입안 시 학부모가 민주적으로 참여하는 정도’, ‘유아교육정책이 현재의 사회·문화적 상황에서 실현가능한 정도’의 순으로 높은 상대적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유아교육정책을 평가함에 있어 공선성, 민주성, 대응성의 평가범주에 속하는 평가준거와 평가지표의 중요성이 높음을 확인하였고, 이는 이후 유아교육정책을 개발함에 있어 이들 영역에 대한 심도 있는 고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상황인지 음악추천을 위한 음악 분위기 검출

        김병만,이종인,여동규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17 No.4

        To provide context-aware music recommendation service, first of all, we need to catch music mood that a user prefers depending on his situation or context. Among various music characteristics, music mood has a close relation with people’s emotion. Based on this relationship, some researchers have studied on music mood detection, where they manually select a representative segment of music and classify its mood. Although such approaches show good performance on music mood classification, it's difficult to apply them to new music due to the manual intervention. Moreover, it is more difficult to detect music mood because the mood usually varies with time. To cope with these problems, this paper presents an automatic method to classify the music mood. First, a whole music is segmented into several groups that have similar characteristics by structural information. Then, the mood of each segments is detected, where each individual's preference on mood is modelled by regression based on Thayer's two-dimensional mood model.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achieves 80% or higher accuracy. 상황인지 음악추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상황 또는 문맥에 따라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악의 분위기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음악 분위기 검출에 대한 기존 연구의 대부분은 수작업으로 대표구간을 선정하고, 그 구간의 특징을 이용하여 분위기를 판별한다. 이러한 접근 방법은 분류 성능이 좋은 반면 전문가의 간섭을 요구하기 때문에 새로운 음악에 대해서는 적용하기 어렵다. 더욱이, 곡의 진행에 따라 음악 분위기가 달라지기 때문에 음악의 대표 분위기를 검출하는 것이 더욱 어려워진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음악 분위기를 자동으로 판별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였다. 먼저 곡 전체를 구조적 분석 방법을 통하여 비슷한 특성을 갖는 세그먼트들로 분리한 후 각각에 대해 분위기를 판별한다. 그리고 세그먼트별 분위기 파악 시 Thayer 의 2 차원 분위기 모델에 기초한 회귀분석 방법으로 개인별 주관적 분위기 성향을 모델링하였다. 실험결과, 제안된 방법이 80% 이상의 정확도를 보였다.

      • KCI등재

        내러티브로 만들어가는 유아 중심 STEAM 놀이 프로그램에 대한 원장과 교사의 인식 및 요구도 분석

        김병만,이강훈,정수정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the director and teachers for child-centered STEAM play program that is made into a narrative,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s and needs between the director and teachers.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36 directors, 240 teachers, and a total of 276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were surveyed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in kindergartens in Seoul, Busan, Gangwon, and Gyeongnam. For data processing and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rossanalysis, chi-square (x2 ) test,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were performed. Results First, both the director and teachers were generally well aware of STEAM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it was found that they recognized the need for the child-centered STEAM play program made of narrative. Second, it was found that both the director and the teacher had diverse needs for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he child-centered STEAM play program made of narrative. Third, both the director and teachers showed high demands for teacher training related to the child-centered STEAM play program. Conclusion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ortance and demand for the child-centered STEAM play program created as a narrative in the 2019 revised Nuri-Curriculum, which is an child-centered⋅play-centered curriculum, was confirmed. Therefore, the researchers propose to develop and operate an child-centered STEAM play program that creates a narrativ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목적 본 연구는 내러티브로 만들어가는 유아 중심 STEAM 놀이 프로그램에 대한 원장과 교사의 인식 및 요구도를 살펴보고 원장과교사 간 인식 및 요구도의 차이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부산, 강원, 경남 소재 유치원에 재직 중인 유아교사들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원장 36명, 교사 240명, 전체 27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 및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 교차분석, 카이제곱(x2 ) 검정, 기술통계 분석,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원장과 교사는 모두 대체로 유아 STEAM 교육에 대해 잘 알고 있었으며, 내러티브로 만들어가는 유아 중심 STEAM 놀이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원장과 교사는 모두 내러티브로 만들어가는 유아 중심 STEAM 놀이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에 대한 요구도가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원장과 교사 모두 유아 중심 STEAM 놀이 프로그램 관련교사 연수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유아 중심⋅놀이 중심 교육과정인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내러티브로 만들어가는 유아 중심 STEAM 놀이 프로그램의 중요성과 요구도를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내러티브로 만들어가는 유아 중심STEAM 놀이 프로그램을 개발 및 운영할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창의성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개념도 분석을 중심으로

        김병만,윤정진,엄세진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nceptual diagram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creativity in an effort to explore their knowledge of the concept of creativity and its structur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63 selecte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a college located in the city of Busan. The conceptual diagrams drawn by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analyzed to find out the number of superordinate concepts, the number of content elements, traits, hierarchy and density.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knowledge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creativity education, the number of superordinate concepts that they used was 278, which were classified into 30 categories. Second, the number of subordinate concepts, hierarchy and trait score were analyzed, and the hierarchy of the most frequent superordinate concepts, the number of subordinate concepts included in the superordinate ones and their trait score were analyzed. Third, the density of the conceptual diagrams ranged from 1.00 to 5.74 which was not that high, and their knowledge of creativity was neither hierarchical nor well organized. That was parallel and not well integrated overall.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창의성에 대한 개념도 분석을 실시하여 창의성 교육에 대한 실태 파악과 향후 지침을 제안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D대학교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63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예비유아교사가 작성한 개념도는 상위개념의 수, 내용요소에 따른 수, 특성, 위계, 밀도 등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성에 대한 내용에서 예비유아교사들이 사용한 상위개념의 개수는 278회로 나타났으며, 30개의 상위개념 범주로 도출하였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성에 대한 종속개념의 수, 위계, 특성점수를 도출하였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성 개념에 대한 밀도는 1.00에서 5.74로 높지 않은 편으로 나타났으며, 창의성에 대한 지식이 위계적이고 조직적이기 보다는 평행적이고 전체적인 통합의 정도가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창의성 교육의 방향 제시와 예비교사교육의 체계적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