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부모용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 적용 및 타당화 :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정책을 중심으로

        김병만 ( Kim Byung-man ),김미진 ( Kim Mi-jin ),김정주 ( Kim Jung-ju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9 아동교육 Vol.28 No.1

        본 연구는 학부모용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에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정책을 적용하여 선행적으로 개발된 평가척도의 타당도를 검토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학부모 232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김병만(2018)이 개발한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를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정책 중심으로 수정·보완하여 연구도구로 사용하였다. SPSS 23.0과 AMOS 8.0 program을 사용하여 평가 정도, 내용단일성, 문항변별도, 척도양호도를 확인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정책의 평가 정도는 2.84∼3.66의 분포로 나타났다. 둘째, 내용단일성의 범위는 .71∼.90으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셋째, 문항변별도는 모든 평가지표 상위 집단의 평균이 하위 집단의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척도양호도는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모든 측정변인이 잠재변인을 설명하는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정책에 기초한 학부모용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는 타당하고 신뢰로운 평가척도임이 검증되었고, 유아교육정책 및 평가 분야에 가치 있는 학술적 의미와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and apply the parental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evaluation scale by applying the Nu-ri Curriculum for 3-to-5-year-old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232 parents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s. The research tool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with the policy of ‘Nu-ri Curriculum for 3-to-5-year-olds’ policy developed by Kim Byung-man (2018) Respectively.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descriptive statistics, construct validity, corre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item discriminatio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AMOS 8.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evaluation of the parental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evaluation scale applying the ‘Nu-ri Curriculum for 3-to-5-year-olds’ policy was 2.84 ~ 3.66. The average of the public interest evaluation index of the colony was the highest, and the demographic average of the true women index was the lowest. Second, as a result of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it was proved through statistical significance that the parents' evaluation scale applying the policy of ‘Nu-ri Curriculum for 3-to-5-year-olds’ was valid and reliable evaluation scale for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validity and application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evaluation scale suggests the possibility of active involvement of parents in the evaluation area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 KCI등재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을 중심으로 한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의 타당화 및 적용

        김병만(Kim Byung m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2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정책에 기초하여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를 타당화하고 적용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유치원 교사 366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김병만(2014)이 개발한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를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정책을 중심으로 수정·보완하여 연구도구로 사용하였다. SPSS 23.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구인타당도, 상관분석, 신뢰도분석, 문항변별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정책의 평가 정도는 2.70∼3.70의 분포로 나타났다. 둘째, 구인타당도의 범위는 .31∼.80으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셋째, 전체 신뢰도는 .97, .93의 신뢰도로 양호한 결과가 나타났다. 넷째, 평가척도의 문항변별도는 상위 집단의 모든 평가지표 평균이 하위 집단의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끝으로, 평가척도에 상대적가중치를 적용한 최종 평가 결과를 제시한 결과, 평가 범주에서는 공공성, 적합성, 민주성, 경제성의 순으로 높은 점수가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정책에 기초한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의 타당화 및 적용을 통해 유아교육정책 및 평가 분야의 학술적 발달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alidation and application of an early childhood policy evaluation scale, which was developed in an earlier study, to the Nuri curriculum for ages 3 to 5 among kindergarten teache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66 selected kindergarten teachers.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Kim Byung-mann (2014) s Early Childhood Education Evaluation Scale, which was used with some modifications and supplementations to assess the Nuri curriculum for ages 3 to 5.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valuation scores for the Nurri curriculum for ages 3 to 5 ranged from 2.70 to 3.70. Second, as for construct validity,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evaluation criteria and total scores and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evaluation indicators and total scores were calculated, and both of the two were between .31 and .80, which implied that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scal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good. Third, concerning reliability, the internal consistency and split-half reliability of the evaluation indicators were investigated, and the two were respectively .97 and .93.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was good. Fourth, the item discrimination of the evaluation scale was analyzed after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upper-tiered group gave higher scores to every evaluation indicator than the group in the lower tier, and the differences we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Finally, as to the results of final evaluation based on relative weights, the highest-scored evaluation category was publicness, followed by appropriateness, democracy and economic efficiency, and the evaluation criteria and the evaluation indicators were scored based on their relative weights. The findings of th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evaluation scale to the Nuri curriculum for ages 3 to 5 are expected to give meaningful suggestions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and evaluation.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그릿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김정주(Jung-Ju Kim),김병만(Byung-Man Kim)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1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그릿이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남도 내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교의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300명을 임의표집하여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예비유아교사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김아영, 박인영(2001)이 개발하고 타당화한 후 김병만, 김정주, 윤정진(2017)이 수정하여 사용한 학업적 자기효능감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고, 그릿을 측정하기 위해 Duckworth, Peterson, Matthews와 Kelly(2007)가 개발한 Original Grit Scale(Grit-O)를 이수란(2014)이 한국실정에 맞게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행복감을 측정하기 위해 Seligman(2011)의 웰빙에 대한 PERMA 이론을 토대로 Butler와 Kern(2014)이 개발하여 김미진(2015)이 번안한 다차원적행복척도(Multidimensional Measure of Flourishing: MMF)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그릿, 행복감에 대한 인식에 대한 결과로 모든 변인에서 보통 이상의 긍정적인 인식 정도가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그릿, 행복감 간의 상관관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나, 그릿은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cademic self-efficacy and grit on happiness. For this purpose, 300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preschool education at universities located in Busan, Ulsan and Gyeongsangnam province were randomly sampled and selected. In order to measure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cademic self-efficacy, I used the academic self-efficacy test tool modified by Kim Byung-man, Kim Jung-ju and Youn Jung-jin (2017) after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im Ae-Young and Park In-Young (2001). The original Grit Scale (Grit-O) developed by Duckworth, Peterson, Matthews and Kelly (2007) was used to measure grit. And to measure happiness, we used the multidimensional happiness scale developed by Butler and Kern (2014) and developed by Kim Mi-jin (2015) based on the PERMA theory of wellness in Seligman (2011).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academic self-efficacy, grit, and happiness, positive perceptions were more than usual in all variables. Second,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re-service teacher s academic self-efficacy, grit, and happiness. Third, the academic self-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a factor affecting the happines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pecifically, it was found that task difficulty preference, self-regulated efficacy, and self-confidence affect the happines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mong the sub-variables of happiness. However, the sub-variables of Grit did not affect the pre-service teachers happiness.

      • KCI등재
      • KCI등재

        유아교사의 미디어 중독 경향성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김병만 ( Byung Man Kim ),조준오 ( Jun Oh Jo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1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미디어 중독과 정신건강에 대한 경향성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관계성과 영향력을 확인하여 유아교사의 긍정적이고 건강한 삶의 확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내에 소재하고 있는 유아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유아교사 230명으로 선정하였다. 연구에 사용한 측정도구는 한국정보화진흥원(2011a, 2011b)에서 개발한 성인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 간략형 척도(KS-A)와 스마트폰 중독자가진단 척도, 정신건강 진단척도를 사용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인터넷 중독 경향성은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과 정신건강은 보통 이하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미디어 중독 경향성과 정신건강의 총점 및 하위영역 간의 상관관계는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미디어 중독 경향성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인터넷 및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은 정신건강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신건강의 하위요인인 불안, 우울, 충동성, 공격성에도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미디어 중독 경향성과 정신건강에 대한 인식과 관계를 중심으로 중요성과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ervasive trends in the media addiction and mental health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relationship of the two variables and the influence of the former on the latter in an effort to provide information on how to help early childhood teachers lead a more positive and healthy lif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30 selected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located in the city of Busan.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2011)``s Internet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Adults-Short Form(KS-A),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and Mental Health Diagnostic Scal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Internet addiction pronenes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at a moderate or higher level, and their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and mental health proneness were at a moderate or lower level. Second, the media addiction total score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ir total scores in mental health, and that was also the case for the subfactors of media addiction and mental health.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the media addiction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mental health, Internet addiction and smartphone addiction were found to have exercis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mental health, and the two variables were found to hav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anxiety, depression, impulsiveness and aggressiveness as well, which were the subfactors of mental health.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on the awarenes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media addiction and mental health and the relationship of the two, the importance of media addiction and mental health and the necessity of their preven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델파이 조사에 기반한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 개발

        김병만(Byung Man Kim),황해익(Hae Ik Hwa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델파이 조사에 기반하여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 개발에 대한 유아교육 전문가 패널의 의견을 수렴한 후, 이를 토대로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를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정책 및 평가 전문가, 유아교육행정 전문가, 유아교육현장 전문가 33인을 전문가 패널로 선정한 후 3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통해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를 개발하였다. 3차 동안 이루어진 델파이 조사는 빈도분석과 기술통계(평균, 표준편차, 왜도, 사분위수)로 분석하였다. 전문가 패널들이 응답한 적절성을 분석한 결과 4개의 평가범주와 13개의 평가준거 그리고 44개의 평가지표로 구성된 유아교육정책 평가척도 최종 시안을 개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systematic classification and evaluation standar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ies based on the opinions of experts. The aim is to develop early childhood evaluation policy evaluation scale. The primary Delphi survey is conducted on a panel of 33 exper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and evalu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dministration, an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tertiary Delphi survey utilizes questionnaires that are designed to check the results of the secondary survey and reach a consensus were utilized, and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mean, standard deviation, skewness and quartile). After the opinions of the panel are analyzed for appropriateness, a final draft for the evaluation scale is drawn up. It consists of 4 evaluation categories, 13 evaluation criteria, and 44 evaluation indexes.

      • KCI등재

        빅데이터를 통해 바라본 유보통합의 사회적 인식 네트워크 분석

        김병만(Kim Byung-Man)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9 교육혁신연구 Vol.29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빅데이터를 통해 유보통합에 대한 사회적의 인식을 탐색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Textom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유보통합’을 키워드로 rawDATA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정제과정을 실시하였고, 이후 빈도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주요 키워드 50개를 선정하였으며, 이를 1-모드 매트릭스 데이터 셋을 작성하여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보통합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교사’, ‘유아’, ‘유치원’, ‘어린이집’, ‘정책’이 핵심 키워드로 나타났다. 또한 이해당사자 관련 요인, 교원자격기준 관련 요인, 유아교육정책 추진 방향 관련 요인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었다. 이후 유보통합에 대한 전체 네트워크의 구조적 속성 및 중심성 분석을 살펴보았고, 교사, 유아, 유치원, 어린이집, 정책을 핵심 키워드로 선정하였으며, 에고 네트워크 분석 결과를 확인하였다. 네트워크 분석 결과, 거시적 네트워크는 키워드 간 밀도가 높고 연결성이 높았으며, 미시적 네트워크는 중심성에서 중요한 차이가 드러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안정적인 유보통합 정책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유보통합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Social Discourse of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ECEC), based on big data. Method: Using the big data analysis program TEXTOM, key words with high frequency were extracted and the networks among these words these words were analyzed.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ocial discourse of integration of ECEC included key words, such as ‘teacher, young children, kindergarten, daycare center, and policy.’ There was a tendency a tendency for being discussed by critical issues related to stakeholders, teacher qualification standards, and direc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The network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 macro-network had high density and strong connections among keywords, and the micro-network had critical differences in centralities. Conclusion: From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stable approach of Integration of ECEC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유아교육과 보육의 통합을 위한 상향식 정책방안 수립연구

        김병만(Kim, Byung-Man) 동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창의인성연구소 2020 교육과 문화 Vol.2 No.2

        본 연구는 델파이 조사를 활용하여 유아교육과 보육의 통합을 위한 상향식 정책방안을 수립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보육 정책 분야 전문가, 유아교육·보육 행정 분야 전문가, 유아교육·보육 현장 분야 전문가 20인을 전문가 패널로 선정하였다. 이후 델파이 조사를 3차례 동안 실시하여 유아교육과 보육의 통합을 위한 상향식 정책방안을 수립하였다. 3차에 걸쳐 진행된 델파이 조사는 내용분석, 평균과 표준편차, 왜도 및 사분위수를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전문가 패널의 응답에 기초하여 평가척도의 내용을 수정 및 삭제하기 위하여 내용타당도, 합의도, 수렴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전문가 패널들의 응답 분석에 토대하여 교육과정 통합, 행정 통합, 재정 통합, 교육체제 통합을 위한 정책방안 등 4개의 정책준거, 21개의 세부정책이 제안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유보통합을 위한 상향식 정책방안을 통해 시대적 정책 과제인 유보통합 정책 추진에 해당 전문가의 의견과 요구가 반영될 수 있게 하는 기회의 장이 될 수 있었던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우리나라 유보통합의 정책적 사안을 보다 원만하게 해결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정책을 제시하였음에 의미를 부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se Delphi survey to establish a bottom-up policy plan for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This study selected 20 expert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policy, expert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administration, and 20 expert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as expert panels. The Delphi survey was then conducted three times to establish a bottom-up policy plan for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The three rounds of Delphi survey were analyzed through content analysi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skewness and quartile. In addition, the contents of the assessment measures were verified for revision and deletion based on the responses of the expert panel. Based on the response analysis of expert panel, this study proposed four policy criteria, 21 detailed policies, including the integration of curriculum, administrative integration, financial integration, and policy measures for integration of education system. It is judged that the bottom-up policy measures for reserved integration presented in this study have provided an opportunity for the implementation of reserved integration policies, which is a policy task of the times, to reflect the opinions and needs of the relevant experts. It is also meaningful that the government has proposed specific policies that can resolve the policy issues of the nation s reserved integration more smoothly.

      • KCI등재

        유아교사의 행복 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김병만(Kim, Byung-Man),김미진(Kim, Mi-Ji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2 No.5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행복 관련 변인의 효과를 고찰하기 위한 것으로 국내에서 발간된 학위논문 및 학술지논문을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자료 선정을 위한 주요 검색어는 ‘유아교사 행복’, ‘유아교사 안녕’, ‘유아교사 삶의 질’이었으며, 출판연도를 제한하지 않고 한국학술연구정보서비스, KISS, DBPIA, 국회도서관을 활용하여 검색을 실시하였다. 최초 검색된 논문은 839편이었으며 메타분석을 위해 최종적으로 선정된 분석대상 논문은 48편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분석대상 논문들은 모두 2010년대 이후 발간되었으며, 보고되는 논문의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행복과 관련된 전체 변인의 평균 효과크기는 큰 효과 크기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행복 관련 개인 변인군의 효과 크기를 살펴본 결과, 자아탄력성, 회복탄력성, 셀프리더십, 임파워먼트, 자아존중감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모든 변인이 유아교사의 행복과 큰 수준의 관계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교사의 행복 관련 직무 변인군의 효과 크기를 살펴 본 결과, 교수몰입, 직무만족, 교사-유아 상호작용, 교사효능감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유아교사의 행복 증진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systematic review of literature and journals published in Korea, as well as the method of meta-analysis were implemen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happiness related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main search terms for the selection of the analysis data were ‘early childhood teacher happiness,’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quality of lif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search was conducted using RISS, KISS, DBPIA, and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without limiting the year of publication . The primarily searched papers were 839 papers and 48 final papers were selected for the meta-analysi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all papers to be analyzed have been published since 2010 and the number of papers reported has been increasing. Second, the mean effect size of all variables related to the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large. Third, as a result of looking at the each effect size of happiness related personal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izes were large in order of ego-resilience, resilience, self-leadership, empowerment, and self-esteem, of all which appeared to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happines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sizes of the job variables related to happines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izes were large in order of instruc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teacher-children interaction, and teacher efficac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the promotion of happines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