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치의학전문대학원생의 MBTI 유형과 PBL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김민진,박경표,서덕규,임정준 한국의학교육학회 2014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Vol.26 No.4

        Purpose: The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personality types of the graduate students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Dentistry (SNU SD) and analyze the specific personal types that were linked to their performance in problem-based learning (PBL). Methods: A total of 263 graduate students in SNU SD from 2011 to 2013, participated in PBL and completed the Myers-Briggs TypeIndicator (MBTI) GS form, which was analyzed statistically to determine whether their MBTI personality types were independent oftheir PBL performance. In particular, MBTI types were regressed on evaluation subcategories, including tutor evaluation and oral test. Results: ESTJ (20.9%) and ISTJ (18.6%) were the most common MBTI personality types in dental graduate students. Comparedwith males, female students performed significantly better on the PBL. Judging was the most notable type in PBL performance,with its J-P index be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PBL is implemented, based on the perspective of student-centered education. Accordingly, the types of personalitythat usually matriculate in dental school should be monitored, and a student-centered approach to dental education should be adopted.

      • KCI등재

        회상중심 집단예술치료가 요양시설거주 치매 노인의 자아통합감과 삶의 질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김민진,오미영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8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회상중심 집단예술치료가 요양시설에 거주하는 치매노인의 자아통합감과 삶의 질 및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전라북도 소재 G시 노인 전문요양원에 거주하는 치매노인 50명 중 실험집단 20명, 통제집단 20명의 총 40명을 무선할당 하였다. 2016년 5월 넷째주부터 7월 둘째주까지 주 2회 80분씩 15회기 회상중심 집단예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임상적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자아통합감 검사, 한국형 축약 노인 우울 척도, 치매노인 삶의 질 척도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의 사전 동질성과 우울군과 비우울군 간의 심리학적 변인들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독립 표본 t-test를 사용하였다. 삶의 질과 인구통계학적 및 정신사회적 요인들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pearson correlation test를 시행하였으며, 치료에 따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반복측정 변량분석(repeated-measures 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회상중심 집단예술치료는 요양시설에 거주하는 치매노인의 자아통합감과 삶의 질을 유의하게 향상시키고, 우울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회상중심 집단예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정신 건강을 위한 효과적인 프로그램으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 임상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reminiscence-oriented group arts therapy of elderly patients with dementia in a nursing home. Selecting 50 elderly patients with dementia of a nursing home in G city of Jeollabuk-do, the final research subjects were total 40 people including 20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another 20 for the control group. From the fourth week of May 2016 to the second week of July 2016, total 15 sessions of reminiscence-oriented group arts therapy program were conducted 80 minutes per session, twice a week. Researchi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Ego Integrity Scale, Short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Korean(SGDS-K), and Geriatric Quality Of Life-Dementia(GQOL-D) were used for evaluation. To see the prior agreement of the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the independent sampling t-test was conducted. In order to see the effects of therapy, the repeated-measures ANOVA was conducted to examine differences between groups, differences between measured times, and effect size of interactions between group and measured times. This study verified the reminiscence-oriented group arts therapy as an effective program to significantly decrease depression and also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ego integrity of elderly patients with dementia in a nursing home, which suggests the clinical implications that could be usefully applied in the future.

      • 벼 특정형질 관련 유전자 특이적 분자 마커 개발

        김민진,박나영,강경호,정우석 한국작물학회 2008 한국작물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08 No.10

        특정형질과 관련된 유전자 특이적 분자마커를 개발하는 과정은 육종의 효율을 높이는 매우 중요한 과정이나 기술적으로 근동질계통간 유전체 수준에서 다형성을 발굴하는 것은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마이닝기법을 사용한다 하더라도 결과 예측이 불확실한 작업이다. 더욱이 근동질계통간 다형성이 발견되었다 하더라도 그것이 어떤 형질과 연관되어 있는지를 밝히는 것은 전혀 별개의 실험적 분석이 필요하다. 본 실험에서는 유전체수준에서 높은 유사성을 가지고 있는 자포니카 타입 벼들간의 교배조합을 대상으로 하여 다양한 형질이 분리하는 200여 계통을 대상으로 하여 전사조절유전자집단에서 발굴한 근동질계통간 유전자 특이적 분자마커를 이용하여 46개의 표현형과의 연관관계를 통계 분석하였다. 두 개의 서로 다른 벼 염기서열 데이터베이스가 사용되었으며 다양한 벼 염기서열 데이터마이닝 기법이 사용되었다. 본 실험을 통하여 특정 유전자와 밀접하게 연관된 부위의 다형성은 유전자 개시코돈과 가까울수록 근동질계통내에서 발견되는 다형성의 분포와 비교적 정확한 분리패턴을 보이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몇 개의 특정형질과는 고도의 유의성을 보이는 유전자 특이적 분자마커를 발견하였다.

      • KCI등재후보

        도서대여프로그램 형태가 그림책 읽기 및 도서대여프로그램에 대한 부모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김민진,송연경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0 한국교육문제연구 Vol.2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도서대여프로그램 형태가 가정에서의 그림책 읽기 및 도서대여프로그램에 대한 부모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S시에 소재한 병설유치원 두 곳의 만 4세 부모 39명이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유아들에게 그림책 읽기 후 사후 활동형태를 달리한 도서대여프로그램을 1주일에 2회 실시하였다. 실험집단 유아에게는 1주일에 두 번 그림책을 대여하였으며 사후활동으로 개방적 질문 중심의 이야기 나누기 활동을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 유아에게는 동일한 그림책을 1주일에 두 번 대여하였으며 사후활동으로 가장 재미있거나 기억나는 장면을 그리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 유아의 부모들이 비교집단 유아들의 부모들보다 그림책 읽기의 교육적 가치를 더 잘 이해하고 도서대여 프로그램에 대해서도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양질의 도서대여프로그램 개발에 주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different types of follow-up activities on the parents' perception of the usefulness of story book reading and storybook lending programs. The parents of thirty nine four-year-old children in Gyeongggi Province completed questionnaires after their children participated in two different storybook lending programs. The childre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they carried out different follow-up activities at home. The experimental group children were asked to answer factual, inferential, and critical questions about the storybooks while the control group children were asked to draw the most interesting or memorable scene in the storybooks. Both groups read two storybooks per week.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rents of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ha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s the educational value of storybook reading and storybook lending programs than the parents of the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Implications, suggestions for application and recommenda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provided.

      • KCI등재

        지역정체성 함양을 위한 시각정보디자인 수업 -정릉동을 중심으로-

        김민진,허윤정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0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정릉동에 위치한 꿈나래지역아동 센터의 중학생 7명을 선정하여 지역정체성을 함양을 위한 시각 정보 디자인 수업을 진행하고 학생들의 사전 사후 설문지를 분석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첫째, 사전·사후 설문지의 결과에서 학습자들이 지역정체성 요소인 지역관심도, 지역애착도, 지역 자긍심의 평균값이 상승하였다. 둘째, 지역정체성 요소 중 지역관심도는 가장 많은 상승 폭을 보여주고 있다. 본 수업이 지역정체성 형성에 있어서 첫 번째 단계인 지역관심도 측면에서 효과성이 가장 크게 나타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학습자들은 검색을 통한 자료 수집과 경험적 지식을 바탕으로 객관적인 지역정체성과 주관적인 지역정체성 모두를 확장시켰다. In this study, seven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Kumnarae local children's center in Jungnung-dong were selected to conduct visual information design lesson to cultivate local identity. Through the pre and post questionnaires of students and self-evaluation of students' outputs we will verify its effectiveness. First, in the results of the pre and post questionnaire, the learner 's level of local identity which are local affinity, local affection and local self - esteem increased. Second, local affinity shows the greatest increase. This class can be interpreted as the most effective in terms of local affinity, which is the first step in forming regional identity. Third, learners expanded both objective locality and subjective local identity based on data collection and empirical knowledge.

      • KCI등재후보

        현직 유아교사와 예비 유아교사의 신체운동 교과교육학 지식에 대한 이해

        김민진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2018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Vol.3 No.1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general tendency of current physical education and the difference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physical exercise between preliminary and current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22 early childhood teachers at 15 preschools and day care centers and 124 preliminary teachers of 5 universities. The study revised by referring to the survey content of Kim Na Yeon(2015)’s Preschool Mathematics PCK Interview, which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mathematic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preschool teachers. The categorie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physical exercise were reorganized based on the content of the 2015 revised version of preschool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ed. First, the scores of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physical exercise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low and the deviation was large among individual teachers. Second, the scores of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physical exercise were low and the number of subjects related to physical exercis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ose who did not enroll once and those who enrolled more than once. The preliminary teachers’ score was generally higher than early childhood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physical exercise. This result implies that consistent training is critical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bout physical education. 본 연구는 현직 유아교사와 예비 유아교사의 신체운동 교과교육학 지식의 전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고, 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유아반 교사 122명과, 현재 유아교육과에 재학중인 예비교사 1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현직 유아교사와 예비 유아교사의 신체운동 교과교육학지식을 알아보기 위해‘유치원 수학교과교육학지식 인터뷰(Preschool Mathematics PCK Interview)’를 수정하여 사용한 김나연(2016)의 설문지 형식을 참고하여 본 연구자가 수정하였다. 신체운동에 대한 교과교육학 지식을 측정하는데 사용한 개념 범주는 2015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의 내용을 기준으로 재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현직 유아교사와 예비 유아교사의 신체운동 교과교육학 지식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현직 유아교사의 신체운동 교과교육학 지식의 점수는 낮게 나타났으며, 교사마다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 유아교사의 신체운동 교과교육학 지식의 점수는 전반적으로 낮았으며, 변인별 차이에서 관련 과목 수강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신체운동 관련 과목을 수강한 현직 유아교사와 예비 유아교사의 교과교육학 지식의 비교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예비교사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유아교사의 신체운동 교과교육학 지식의 형성에 있어서, 교사교육이 중요하며 지속적인 연수와 관련 교육의 필요성이 수반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환경 인쇄물을 활용한 언어활동이 유아의 음운인식, 읽기⋅쓰기 흥미 및어휘발달에 미치는 효과

        김민진,송연경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1 No.1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language activities using environmental print and to examine its effects on children’s phonological awareness, reading and writing interests, and vocabulary development. To examine the effects of application of environmental print on children’s language activities, the developed activities were applied to 43 four-year-old students (21 in the experiment group and 22 in the control group) studying in A kindergarten located in S city. The language activities using environmental print were applied to the experiment group, while the language activities based on the Nuri curriculum were used for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are positive effects of language activities using environmental print on children’s phonological awareness, reading and writing interests, and vocabulary development. The results suggest that it would be effective to use the language activities using environmental print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환경 인쇄물을 활용한 언어활동이 유아의 음운인식, 읽기․쓰기 흥미, 어휘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S시에 위치한 A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4세 유아 43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이를 실험집단 21명과 비교집단 22명으로 나누었다. 실험집단 유아에게는 환경 인쇄물을 활용한 언어활동을 적용하였으며, 비교집단 유아에게는 누리과정에 기초한 언어활동을 제공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활동 전․후에 연구대상 유아에게 음운인식 검사, 읽기․쓰기 흥미 측정을 위한 MRWP 검사, 어휘력 측정을 위한 REVT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검사 결과를 t-검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환경 인쇄물을 활용한 언어활동을 적용한 실험집단 유아의 음운인식, 읽기․쓰기 흥미, 어휘력이 누리과정에 기초한 언어활동을 경험한 비교집단 유아의 음운인식, 읽기․쓰기 흥미, 어휘력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균형적 시간관이 청년기 역경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력: 사회적 유대감의 매개효과

        김민진,박정윤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8 No.2

        본 연구는 청년기 역경 후 성장을 일으키는 요인의 영향력을 밝히고 상담 및 임상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려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에 거주하는 만18~39세 청년 20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PSS 25.0, AMOS 26.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역경 후 성장을 긍정심리학적 요인들의 결과물로 보고 균형적 시간관과 사회적 유대감 각각의 영향력과 두 변인의 관계가 역경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파악을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고 변인들의 경향성을 살펴보기 위해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역경 후 성장에 주요 변인들이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모형의 검증을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하고 부트스트랩 방법을 사용하여 간접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변인 중에는 종교가 역경 후 성장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였다. 둘째, 역경 후 성장에 균형적 시간관과 사회적 유대감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역경 후 성장에 이르는 경로에서 균형적 시간관이 사회적 유대감에 영향을 미치고 본 과정을 통해 역경 후 성장이 나타났다. 역경 후 성장을 위해서는 균형적 시간관과 사회적 유대감 모두 중요하며 상담이나 임상현장에서 긍정적 요인을 활용하여 관련 프로그램 개발 및 실시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Cathode Recirculation System Using a Dual-ejector to Improve Oxygen Utilization of a Submarine Fuel Cell

        김민진,손영준,이원용 한국전기화학회 2010 한국전기화학회지 Vol.13 No.3

        In terms of the system efficiency, it is very useful to apply the ejector into the fuel recirculation system of a fuel cell system since the ejector needs no parasitic power to operate. Since the conventional automotive fuel cell use hydrogen and air as their fuel, the only hydrogen is needed to be recirculated for the better fuel efficiency. On the other hand, the submarine fuel cell needs both hydrogen and oxygen recirculation systems because the submarine drives under the sea. In particular, the cathodic recirculation has to meet the tougher target since the oxygen based pressurized stack generally used in the submarine applications generates the significant amount of the water in the stack during the operation. Namely, the oxygen utilization has designed less than 50% in the whole operating range for the better exhausting of the generated waters. And thereby in terms of the oxygen utilization, the entrainment ratio of the ejector should be more than 1 within the whole operating range. However, the conventional ejector using a constant nozzle can not afford to satisfy the mentioned critical requirement. To overcome the problem, the dual-ejector and its control strategy are designed.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dual-ejector is verified by the experiments based on the real operating conditions of the target submarine system. Furthermore, the proposed design method can be used for the other fuel recirculation system of a large-scale fuel cell system with the critical requirement of the fuel uti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