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프란츠 리스트의 <세 개의 페트라르카 소네트>에 관한 성악, 피아노 버전별 비교 분석 / 김미숙

        김미숙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19 음악교수법연구 Vol.20 No.1

        the first version, he transcribed them into piano version, and the works were revised for the keyboard again in 1858. This time was Liszt’s most fruitful writing years. The last settings of these pieces were for baritone written in Rome in 1861. Theses transcriptions reflect the development of his compositional styles. Each version has its own characteristic: differences of the stylistic writings according to the changes of personal and historical background. 19세기 낭만주의 시대의 대표적인 작곡가이자 당대 기교적인 피아니스트로 명성을 날리던 프란츠 리스트는 400곡이 넘는 피아노 작품을 남겼다. 이들 중 피아노 편곡 작품은 상당히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세 개의 페트라르카 소네트>는 문학에 관심이 많았던 리스트가 이탈리아 시인인 프란체스코 페트라르카의 시에 영감을 받아 세 편의 시에 음악을 붙여 성악곡으로 1838년 처음 작곡하였다. 이후 23년이 넘는 기간에 걸쳐 두 개의 피아노 버전과 1861년의 네 번째 버전인 바리톤 작품으로 편곡이 될 만큼 리스트에게 각별한 작품이었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리스트에게 영감을 준 페트라르카의 시의 내용이 원곡인 테너 가곡에서 음악적 언어로 표현된 방식을 연구 한 후, 원곡에 담긴 내용과 감정이 피아노 작품으로 어떻게 연결되었는지 알아본다. 또한, 리스트의 삶의 배경과 연륜에 따른 작품 경향의 변화를 원곡과 바리톤 버전과의 비교를 통하여 작곡 기법의 차이점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각 버전에 따른 개인적, 역사적 배경과 작곡 기법의 특성을 파악하여 연주자의 선택과 연주에 있어서 도움이 되고자 한다.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 교과서 소금 내용 분석 연구

        김미숙,이기정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20 음악교육공학 Vol.0 No.4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 Sogeum of instrumental music in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For this purpose, the contents of the Sogeum were analyzed for 14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As a result, there was a lack of explanation about the performance posture of the Sogeum, and the level of practice songs was not considered. Only the fingering of 'Im(林)' and 'Nam(南)' in the 27 notes used in the Sogeum and 'Cheongnam(湳)' in the middle range were matched. The problem with the 24 notes referring to various fingering methods and some contents confirmed that there was an error.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method of playing wa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he instruction of the Sogeum fingering method and the practice song according to the levels, and the improvement of the Sogeum fingering method were presented. This study suggested a plan to revise and supplement the contents of textbooks to share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the standardized Sogeum fingering method and to establish the correct knowledge system for the relevant contents.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 교과서 기악영역의 소금 내용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음악 교과서 14종을 대상으로 소금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소금의 연주 자세에 대한 설명이 부족했고, 연습곡은 단계별 수준이 고려되지 않았다. 소금에서 사용되는 총27개의 음에서 저취의 林과 南, 평취 湳의 운지법만 일치하였고, 24개의 음은 다양한 운지법을 언급하고 있다는 문제점과 일부의 내용에서 오류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세 항목으로 나누어 연주 방법, 소금 운지법 지도와 단계에 따른 연습곡 제시, 소금 운지법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표준화된 소금 운지법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공유하고 관련 내용에 대한 올바른 지식 체계 확립을 위해 교과서의 내용을 수정․보완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정서인식명확성이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양가성을 매개변인으로

        김미숙,안귀여루 한국청소년학회 2019 청소년학연구 Vol.26 No.2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정서인식명확성, 정서표현양가성이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거주하는 고등학생 558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하여 정서인식명확성, 정서표현양가성, 심리적안녕감을 평가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4.0과 AMOS 21.0.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정서인식명확성은 정서표현양가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인식 명확성과 정서표현양가성은 심리적안녕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표현양가성은 심리적안녕감, 정서인식명확성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각 변인간의 관계를 토대로 심리적안녕감을 설명하는 모형을 설정하고 그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관해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adolescents’ emotional clarity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on psychological well-being.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558 high school students residing in Gyeonggi-do area to evaluate their emotional clarity,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with SPSS 24.0 and AMOS 21.0 program.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emotional clarity was found to have direct effect o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Second, emotional clarity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have direct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has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motional clarity. Lastly, a model to explai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based on the relationships among each variables was established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model fit was tested. Based on the result,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보육시설 유아의 가정에서의 일상생활습관 실태 연구

        김미숙,송윤진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1 유아교육학논집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aily life habits of young children at home and to provide good suggestions about daily life habits of early childhood. 394 parents of seven-years-old children from child-care centers have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17.0 program. The conclusion was that the young children‘s daily life habits, including sleeping, eating, defecating, playing habits indicated not as good a condition as a positive one. The discussions of these issues will be mentioned. 본 연구는 유아의 가정에서의 일상생활습관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고, 유아기의 일상생활습관을 건강한 방향으로 이끌 수 있는 방안을 제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5세 유아 394명의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유아의 가정에서의 일상생활습관인 수면습관, 식사습관, 배변습관, 놀이습관에 대한 결과는 양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발현적 교육과정에서의 학습개념과 또래문화의 발현 및 구성 :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의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김미숙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0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22

        본 연구에서는 레지오에밀리아 접근의 프로젝트 수행에서 유아들의 개념ㆍ또래문화의 발현 및 구성과정을 알아보고, 이를 발현적 교육과정의 목표, 내용, 교수 방법의 관점에서 반영해보고자 하였다. 6명의 4세 유아들이 봄과 가을에 “뿌리와 바다” 프로젝트를 수행하였다. 유아들의 개념학습에서 새로운 개념은 일상의 경험에서 발현되었으며, 심화개념은 상징화주기, 즉 일련의 그림그리기, 만들기 등을 통하여 가능하였다. 그리고, 유아들은 이 상징화주기 과정에서 뿌리 물관의 개념을 심화학습하였다. 유아들은 프로젝트 수행에서 또래문화도 자율적으로 구성하였다. 사회적 상호과정 초기에는 갈등을 많이 일으켰으나 서로의 욕구를 공동으로 충족시키기 위하여 타협을 해나갔다. 그 과정에서 규칙을 만들고 turn-taking을 하는 사회적 지식을 발달시켰다. 또한 그룹간에 갈등이 일어났을 때도 거부-설득의 갈등 해결책략을 사용함으로서 모든 유아들의 공동의 욕구를 충족시키고자 하였다. 발현적 교육과정에서는 이러한 개념적, 사회적 지식이 발현되어 구성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특정한 주제나 목표, 내용이 정해지지 않고 유아들의 관심이나 능력에 따라 그들이 교육의 목표나 내용을 결정하며, 교사는 유아들이 자율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상황을 제시하거나 매체 지원을 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교사의 역할이 중요한데, 만약 교사가 지원할 매체나 개입시점을 잘못 결정하면 유아들의 자율적 학습을 중단시킬 수 있다. 자율적 학습이 중요한 이유는, 유아들이 자율적 사고와 행동이 가능한 상황에서만 오감각을 통한 정보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게 되고, 이러한 새로운 의미는 새로운 개념적, 사회적 지식 구성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 KCI등재후보

        학업성취도평가:통제에서 교육복지로

        김미숙 한국교육개발원 2004 한국교육 Vol.31 No.3

        School evaluation has been emphasized for school improvement among advanced countries. In particular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s stressed as the most important criteria to be able to judge accountability of a school. This trend affects Korean society as well as other countries. However, in Korea the idea of school evaluation based on national academic achievement test causes serious social conflicts. Growing numbers of scholars and educators strongly claim that school evaluation should include academic achievement. In contrast, teachers union and some critical scholars oppose against it due to the long history of control from the central government. Regarding this problem, my argument is that national academic achievement assessment is necessary. However, we should take seriously the issues of what should be taught in school and what approach is proper to evaluate it. In this process, we need to be careful not to exclude minority social groups and instead to consider properly distinctive conditions of their lives and of individual schools. National academic achievement evaluation should focus on reducing inequality in educational process and conditions of schools in the state. It should not be control oriented. It should be reconceptualized as an educational welfare policy in a way that various bodies of students regardless of class, gender, race and province could learn valuable knowledge and skills to enjoy decent and confident life. 최근 학업성취도로써 학교를 평가하는 문제와 관련하여 사회적으로 많은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이 글은 학업성취도를 통하여 학교의 책무성을 묻는 것과 관련하여 고려해야 할 몇 가지 문제와 해결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글의 중심주장은 다음과 같다. 국가수준의 학업성취도평가는 필요하나 이것이 학교교육의 질 개선을 통해 국민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국가경쟁력을 강화시키는 의미 있는 기제가 되기 위해서는 학업성취도 평가의 개념이 통제중심의 평가가 아닌 교육복지로서의 평가로 재개념화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교육복지로서의 학업성취도 평가는 모든 학생들이 계층, 성별, 지역에 관계없이 가치 있는 지식이나 능력을 일정 수준 획득하여 자신 있고 품위 있는 삶을 살 수 있도록 학교의 교육조건과 교육과정을 국가가 점검하여 학생들의 교육조건 및 교육과정의 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