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궁외 임신의 비수술적 치료에 있어서 주사 경로에 따른 methotrexate 혈중 농도의 비교

        김루미 ( Ru Mi Kim ),김용구 ( Yong Gu Kim ),임지현 ( Ji Hyun Lim ),최진영 ( Jin Young Choi ),정은환 ( Eun Hwan Jeon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3 No.8

        목적: 비파열성 자궁외 임신의 비수술적인 치료에서 근육주사와 태낭 내 직접 주사한 methotrexate (MTX)의 약물동역학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2005년 5월부터 2009년 8월까지 충북대학교 병원 산부인과에 내원하여 비파열성 자궁외 임신으로 약물치료하고 마지막까지 추적 관찰된 3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투여경로는 태아심박동의 유무에 따라, 심박동이 있는 경우에만 질식 초음파 유도하에 태낭 내 직접 주사하였고, 그 외 심박동이 없거나 확실치 않을 때는 근육주사를 하였다. MTX 투여전후 시간경과별로 혈액을 채취하여 혈장을 분리보관 하였다가 형광면역측정법을 이용하여 MTX 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혈청 MTX 농도는 양쪽 모두 투여 후 30분에 최고로 높았으며, 근육주사군이 태낭 내 직접 주사군에 비해 투여 후 60분 (2.296±0.64 umol/L vs 1.535±0.31 umol/L; P<0.006), 90분 (1.9±0.51 umol/L vs 1.225±0.21 umol/L; P<0.002), 그리고 240분 (1.443±0.33 umol/L vs 1.077±0.18 umol/L; P<0.011)에 유의하게 높았다. 그리고 치료전 혈청 β-hCG 농도는 난관임신 (48,405±37,811.7 IU/L vs 18,452.05±19,205.34 IU/L; P<0.007)과 자궁경관임신 (94,574.2±45,037.1 IU/L vs 42,446±34,778.12 IU/L; P<0.037)에서 모두 태낭 내 직접 주사군이 현저히 높았다. 하지만 두 군 모두에서 혈청 MTX 농도나 치료 전 β-hCG 농도는 치료 성패와 관련이 없었다. 결론: 자궁외 임신의 비수술적 치료로 투여하는 MTX의 혈청 농도는 태낭 내 직접 주사군과 근육주사군 모두에서 빠른 속도로 상승해 30분째에 최고 농도에 도달하였다가 240분이 지나면 1 umol/L 미만으로 떨어졌으며 근육주사군이 태낭 내 직접 주사군에 비해 더 높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혈청 β-hCG 농도가 높거나 태아 심박동이 보여 약물치료로 성공할 가능성이 낮은 환자에서도 태낭 내 직접 주사는 근육주사보다 임상에서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pharmacokinetics of methotrexate (MTX) in unruptured ectopic pregnancy according to the injection route. Methods: Between May 2005 and August 2009, thirty-five patients of unruptured ectopic pregnancy i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treated medically either by intramuscular (IM) or intraamniotic (IA) injection of MTX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fetal heart beat. Serum concentration of MTX was measured by fluorescent immunoassay using the blood samples withdrawn serially after its injection. Results: The peak plasma MTX level was achieved at the 30-minute after injection sample in both groups. The mean peak plasma level of MTX in IM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IA in 60-minute (2.296±0.64 umol/L vs 1.535±0.31 umol/L; P<0.006), 90-minute (1.9±0.51 umol/L vs 1.225±0.21 umol/L; P<0.002), and 240-minute (1.443±0.33 umol/L vs 1.077±0.18 umol/L; P<0.011) samples. The mean pretreatment plasma β-hCG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IA group, both tubal pregnancy (48,405±37,811.7 IU/L vs 18,452.05±19,205.34 IU/L; P<0.007) and cervical pregnancy (94,574.2±45,037.1 IU/L vs 42,446±34,778.12 IU/L; P<0.037), than those of IM group. But neither plasma MTX level nor pretreatment β-hCG level were related to the treatment outcome. Conclusion: The plasma level of MTX increased rapidly in both IM and IA groups; the peak level reached at 30 minutes, and decreased to less than 1 umol/L after 240 minutes. Moreover, it was higher in IM group than IA group. Nevertheless, IA injection may be useful in patients who had high β-hCG level or fetal heart beat, which are not usually indicated to medical treatment.

      • KCI등재

        Headspace-GC/MS를 이용한 하동녹차의 차엽 수확 시기별 휘발성 향기성분의 변화

        김루미;황정규;김용덕;조경환;한재윤;이종국;정강원;김종철 국제차문화학회 2011 차문화ㆍ산업학 Vol.17 No.-

        본 연구에서는 녹차엽의 수확 시기에 따른 휘발성 향기성분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지리산 하동지역에서 재배한 첫물차를 우전–세작–중작-대작 순으로 분석하였다. 녹차의 휘발성 향기성분은 Headspace를 사용하여 포집하였고 GC-mass spectrometry를 이용하여 분리된 성분을 분석 동정하였다. 실험 결과 하동녹차의 주요 성분은 1H-pyrrole, Limonene, Ocimene, Linalool, Geraniol, Nonanal, cis-3-Hexenol, Benzaldehyde 등 이었다. 채엽 시기가 빠를수록 꽃향기 및 달콤한 향의 Linalool, Ocimene, Limonene 등의 함량이 높았으며, 중작 이후 신선한 향의 cis-3-Hexenol과 과일향의 enzaldehyde, Methylsalicylate 성분 등의 함량이 높아졌다. 덖음 녹차의 경우 전체 휘발성 향기 성분의 함량은 우전을 기준으로 Linalool(15.9%) > Geraniol(2.7%) > Limonene(1.1%) > cis-Ocimene(0.94%) > Benzaldehyde(0.3%) 와 같은 순이었다. 또한 제다방법별 향기 성분을 비교 분석하였을 때 꽃향기와 건초 냄새를 가지는 D-Nerolidol의 함량에서 덖음차는 0.7%, 증제차는 0.1%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주요 성분의 함량을 비교하면 증제차는 Linalool(10.1%) > Geraniol(1.3%) > 1H-pyrrole(1.1%) > cis-Ocimene(0.7%) > Benzaldehyde(0.5%) 순이었으며 테르펜류 성분이 덖음차에 비해 적음으로 인해, 향긋한 꽃향 함량이 적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는 채엽 시기(혹은 품질등급)에 따라 녹차의 향기 특성에 영향을 주며, 채엽 시기가 같더라도 제다 방식에 따라 향기 성분의 함량에 차이가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

      • KCI등재

        Colletotrichum orbiculare에 대한 길항세균 Pseudomonas aurantiaca YC4963의 분리 동정 및 항균물질 Phenazine-1-carboxylic acid의 생산

        채희정,김루미,문석식,안종웅,정영륜,Chae Hee-Jung,Kim Rumi,Moon Surk-Sik,Ahn Jong-Woong,Chung Young-Ryun 한국미생물학회 2004 미생물학회지 Vol.40 No.4

        경남 지역의 근권 토양 및 식물뿌리 에서 다양한 길항세균을 분리하여 오이 탄저병원균 Colletotrichum orbiculare에 대한 길항효과를 조사하였다. 그중 국화과에 속하는 털진득찰 (Siegesbeckia pubescens Makino)뿌리에서 분리된 YC4963 균주가 병원균의 균사 생장에 대한 억제 능력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배양 상등액을 이용한 in vitro 실험에서도 C. orbiculare의 발아관 형성과 균사 생장을 억제하였다. 이 균은 Gram음성과 양성세균에 대 해서도 억제 능력이 있었으며, Botrytis cinerea, Fusalium oxysporum, Rhizoctonia solani 등의 다양한 식물병원균에 대해서도 억제 능력이 좋았다. 이 균주의 형태, 생리$\cdot$화학적 특성과 분자생물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Pseudomonas aurantiaca로 동정되었다. 이 길항 세균이 분비하는 항생물질의 구조결정을 위하여 대량 배양 후 물질 분리와 여러 종류의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분리 정제하여 얻은 순수 물질은 노란색 바늘 모양의 결정체이었고, 질량 분석, FT-IR spectrum분석 및 NMP spectrum 분석을 바탕으로 구조를 추정한 결과 phenazine-1-carboxylic acid로 확인되었다. 이 항생물질의 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농도를 달리하여 C. orbiculare의 발아관 및 부착기 형성을 조사한 결과, 처리 18시간 후 발아관 생장은 103 ${\mu}m$로 대조구의 798 ${\mu}m$보다 8배 정도 억제되었으나 발아관과 부착기 형성비율은 큰 차이가 없었다. P. aurantiaca에 의한 phenazine-1-carboxylic acid의 생산과 이 항생물질에 의한 탄저병군의 억제효과는 본 연구에서 처음 보고되는 것이다.$생산 유전자가 전달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와 pulsed field gel electrophoresis분석을 사용하여 genomic DNA에 대한 유전형을 분석한 결과 균주간의 유전적 연관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나 한 병원에서 발견되는 균주는 clonal spread에 의한 것이라는 일반적인 보고와 다른 결과를 얻었다., 체외순환을 시작한 이후부터는 2군에서 지속적으로 더 높은 경향이 있었으며(1군 $48.5\~64$ mL/min100 g, 2군 $65.8\~88.3$ mL/min/100 g), 특히 30분에서의 측정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1군$47.5{\pm}18.3\;mL/min100\;g,$ 2군$83.4{\pm}28.5\;mL/min100\;g,\;p=0.026$). 혈액 뇨질산, 크레아티닌, 그리고 혈장 용혈헤모글로빈의 변화는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 일정한 펌프 혈류 조건에서 박동성 혈류의 평균 혈압이 더 높다는 것은, 비박동성 혈류보다 조직관류압(Tissue Perfusion Pressure) 측면에서 우수하여 말초장기의 조직관류 효과에 유리한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토대로 장시간의 체외순환에서는 신장기능을 대표하는 수치들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리라 예상되며, 신장 이외에 다른 주요 장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더 진행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예측 인자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있을 것으로 판단된다.%$의 무기물질(Zeolite)이 첨가되어진 Modified California putting green system이 최적의 putting green 조건과 우수한 Bentgrass 잔디품질을 4년 동안 유지하였음을 이 실험을 통해 조사되어졌다. A bacterial strain YC4963 with antifungal activity against Colletotrichum orbiculare, a causal organism of cucumber anthracnose was isolated from the rhizosphere soil of Siegesbeckia pubescens Makino in Korea. Based on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16S ribosomal DNA sequence analysis, the bac­terial strain was identified as Pseudomonas aurantiaca. The bacteria also inhibited mycelial growth of several plant fungal pathogens such as Botrytis cinerea, Fusarium oxysporum and Rhizoctonia solani on PDA and 0.1 TSA media. The antifungal activity was found from the culture filtrate of this isolate and the active compound was quantitatively bound to XAD adsorption resin. The antibiotic compound was purified and identified as phenazine-l-carboxylic acid on the basis of combined spectral and chemical analyses data. This is the first report on the production of phenazine-l-carboxylic acid by Pseudomonas aurantiaca.

      • KCI등재

        전방 전치 태반 임신에서 태반절개를 통한 태아 만출의 안전성

        김용구 ( Yong Gu Kim ),김루미 ( Ru Mi Kim ),임지현 ( Ji Hyun Lim ),최진영 ( Jin Young Choi ),정은환 ( Eun Hwan Jeong ),김학순 ( Hak Soon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3 No.8

        목적: 전방 전치 태반 임신에서 태반을 절개하고 태아를 만출시키는 수술 방법이 신생아와 산모에게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수술 방법의 안전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2006년 5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충북대학교병원 산부인과에서 전치 태반 진단하에 제왕절개를 실시한 단태아 임신 74예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조사하고 태반의 위치에 따라서 태반절개군과 비절개군으로 분류하여 비교하였다. 제왕절개를 할 때 전방 전치 태반 산모는 모두 태반을 절개하여 태아를 만출시켰다. 두 군 사이의 수술 후 산모의 혈색소 수치변화와 신생아의 혈색소 및 적혈구용적, 수술 중이나 수술 후의 수혈량, 신생아중환자실 입원기간 등을 비교하였다. 결과: 태반절개군과 비절개군 간의 임상적 특징은 차이가 없었고, 산모의 수술 전후 혈색소 수치의 변화 및 수혈량도 차이가 없었다. 신생아의 혈색소 수치와 입원 기간도 두 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1분과 5분 아프가 점수는 태반 절개 유무에 따라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제대동맥 가스 분석 결과 pH 7.20 미만의 산혈증을 보이는 경우는 한 건도 없었다. 결론: 전방 전치 태반 임신에서 태반 절개를 통한 태아 만출은 산모와 신생아의 출혈이나 신생아중환자실 입원기간을 증가시키지 않아 안전한 것으로 보인다. Objective: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afety of cesarean delivery through transplacental incision in anterior placenta previa and its effect on mother and neonate. Methods: We examined 74 cases of placenta previa retrospectively who underwent cesarean section from May 2006 to December 2009, i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placental incision. Transplacental incision was made in all cases of anterior placenta previa. We compared postoperative maternal hemoglobin change, neonatal hemoglobin and hematocrit, intra and/or postoperative transfusion volum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admission days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maternal characteristics, hemoglobin changes, transfusion volume between the two groups. Nor the neonatal hemoglobin and hematocrit level, Apgar score and admission days were different. There was no neonatal acidosis below pH 7.20. Conclusion: The cesarean delivery through transplacental incision in anterior placenta previa seems to be safe because it did not increase maternal and fetal blood loss nor NICU admission days.

      • KCI등재

        Antioxidant, Tyrosinase Inhibitory, and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y Activities of Green Tea (Camellia sinensis L.) Seed and Its Pericarp

        조영홍,Hyun-Gyun Yuk,이종화,김종철,김루미,이승철 한국식품과학회 2012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Vol.21 No.3

        The present study evaluates antioxidant, tyrosinase inhibitory, and acetylcholinesterase (AChE) inhibitory activities of seed and its pericarp of tea plant (Camellia sinensis L.). Water and methanol extracts of tea seed and pericarp were prepared in a shaking incubator overnight at room temperature. The highest total phenolic contents,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reducing power, β-carotene bleaching inhibition activity, highest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and AChE inhibitiory activity were found in the methanol extracts of pericarp. Caffeine,gallic acid, several phenolic compounds, hydroxymethyl furfural, and fatty acid derived compounds were detected in the extract of tea seed and pericarp. The results indicate that seed and pericarp could be utilized as the potential resources for antioxidant ingredients in food industry. In addition, these compounds may protect Alzheimer’s disease as they had inhibitory activity of acetylcholine esterase.

      • KCI등재

        채취시기별 녹차 생잎(生葉) 의 성분 변화

        조종수 ( Jong Soo Jo ),김종철 ( Jong Cheol Kim ),조경환 ( Kyung Hwan Cho ),김루미 ( Ru Mi Kim ),한재윤 ( Jae Yoon Han ) 한국목재공학회 2011 목재공학 Vol.39 No.4

        본 연구는 녹차 생잎 재취지의 토양의 성질과 채취시기별(우전-세작-중작) 녹차 생잎에 대한 화학성분 및 무기물 성분을 분석하였다. 먼저 조사시역의 토양의 성질을 살펴보면 대부분이 배수가 양호하고 인산이 풍부한 사양토와 양토로 구성되어 있었다. 녹차 생잎에 대한 성분 분석에 있어서는 섬유질, 탄닌, 비타민 C와 총카테킨 함량은 채취시기가 늦어질수록 증가한 반면 총질소, 총아미노산, 데아닌, 카페인 등은 대체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무기물 함량에 있어서는 채취시기가 늦어질수록 Mg, Ca, Mn은 증가하였으나 Na, K, B는 감소하였다. 그리고 화학성분 중 총질소, 엽록소, 총유리아미노산, 데아닌, 카페인, 총카테킨과 무기물 중 나트륨, 마그네슘, 칼슘, 붕소, 세레늄에 있어서는 우전과 세작 간에 거의 함량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roperties of soils in the sampling green tea farms and the chemical constituents of the green tea leaves at the 3 harvest stages (Ujeon → Sejag → Jungjag). The results as follows; The properties of the soils were sandy loam, loam, well drained and fertile-rich in phosphoric acids in general. The contents of chlorophyll, tannin, vitamin-c and total catechin were increased as harvest periods getting late but the contents of total nitrogen, free amino acids, theanine, caffeine were decreased on the reverse. The inorganic constituents Mg, Ca and Mn were increased as harvest periods getting late but the Na, K, B contents were decreased on the reverse The contents of the total nitrogen, chlorophyll, total free amino acid, theanine, caffeine and total catechin and Na, Mg Ca, B and Se were in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Ujeon and Seja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