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령버섯(Agaricus blazei Murill) 열수 추출물의 면역 활성에 미치는 영향

        강인순(In Soon Kang),김랑이(Rang Ie Kim),김광섭(Gwang Sub Kim),김나리(Na Ri Kim),신중엽(Joong Yup Shin),김채균(Chaekyun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4 No.11

        본 연구에서는 신령버섯의 면역기능 개선 효과를 마우스를 이용한 동물 모델에서 면역기관의 무게와 세포증식, 자연살해세포 활성, 사이토카인 분비능을 측정하고 대식세포 증식과 활성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BALB/c 마우스에 저(4 mg/kg), 중(20 mg/kg), 고(100 mg/kg) 농도의 신령버섯을 21일간 경구로 투여하였다. 마우스를 희생하여 체중 및 면역장기 무게, 비장세포의 증식과 사이토카인 생성, 자연살해세포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신령버섯은 마우스의 체중, 간, 비장, 흉선의 무게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비장세포의 증식에 유의한 효과가 없었다. 또한 비장세포의 IL-4과 IL-12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마우스 자연살해세포의 활성을 현저하게 증가시켰다. 정상 마우스에서 분리한 비장세포에 신령버섯을 처리한 in vitro 실험에서는 신령버섯 5~100 μg/mL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비장세포의 증식과 IFN-γ 생성을 증가시켰다. 신령버섯은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의 증식을 100 μg/mL 농도까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으며, 대식세포에 의한 NO의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신령버섯을 마우스에 3주간 투여하면 동물의 체중, 면역장기의 무게와 면역세포의 증식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자연살해세포의 활성을 70% 가량 증가시키며 IL-4와 IL-12의 생성을 억제한다. 정상 마우스에서 분리한 비장세포에 신령버섯을 처리하면 세포증식과 IFN-γ 분비가 증가되고,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의 증식과 NO 생성이 증가된다. 따라서 신령버섯은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나 암세포를 죽이는 자연살해세포와 대식세포의 활성을 증가시켜 면역반응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edible mushroom Agaricus blazei Murill is known to have many physiological functions, including antitumor, antiviral,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Aqueous extracts were obtained by extracting A. blazei in water at 90°C for 15 h, followed by spray-drying with dextran at a 70:30 ratio.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immunomodulatory effect of A. blazei Murill water extract (ABM) in BALB/c mice. Mice were administered orally with 4, 20, and 100 mg/kg of ABM for 21 days. ABM-treated mice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dy and organ weights compare to saline-treated control mice. Splenocytes isolated from ABM-administered mice revealed similar levels of cellularity and proliferation compared to control mice, whereas they showed increased natural killer (NK) cell activity and decreased IL-4 and IL-12 production. Different from in vivo results, splenocytes isolated from normal mice showed increased proliferation and INF-γ production following ABM treatment in vitro. In addition, ABM treatment enhanced macrophage proliferation and nitric oxide (NO) produc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However, ABM had no effect on LPS-induced NO produ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blazei modulates immune function by increasing NK cell activity and macrophage function.

      • KCI등재

        어머니 양육 행동과 아동의 그릿, 전반적 행복감, 학업수행능력 간의 구조적 관계

        김랑(rang Kim),문혁준(Hyuk-Jun M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5

        목적 본 연구는 아동의 학업수행능력에 어머니 양육 행동, 아동의 그릿, 전반적 행복감이 어떠한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한국아동패널의 11차년도(2018)자료 중 695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였다. 주요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 확인적요인분석을 거친 후에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고, 각 경로의 직접 및 간접효과를 분석하였으며, 매개효과 검증을 위하여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어머니 양육행동은 아동의 그릿과 학업수행능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그릿은 전반적 행복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의 전반적 행복감은 학업수행능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 양육행동이 아동의 그릿과 전반적 행복감을 통해 학업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아동의 그릿과 전반적 행복감의 순차적 이중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결론 아동의 학업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어머니 양육행동을 통해 아동의 그릿, 전반적 행복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어머니 양육행동이 아동의 그릿, 전반적 행복감, 학업수행능력 관계에서 그릿과 전반적 행복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아동의 학업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어머니 양육태도, 아동의 그릿과 전반적 행복감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mother-rearing behavior, children's grit, and overall happiness on children's academic performance. Methods For this purpose, data collected from 695 children among the 11th year (2018) data of the Korean Children's Panel was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s were analyzed to underst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major variables, and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each path were analyzed. Results First, mother-rearing behavior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grit and academic performance. Second, children's gri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overall happiness. Third, children's overall happines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performance. Fourth, the sequential double mediating effect of children's grit and overall happiness was found in the path that mother-rearing behavior affects academic performance through children's grit and overall happiness. Conclusions In order to improve children's academic performance, it is important to improve children's grit and overall happiness through maternal parenting behavior. It is meaningful in that it confirmed the effect and confirmed the importance of mother's parenting attitude, children's grit and overall happiness for improving children's academic performance.

      • KCI등재

        How Engaged Students Learn in MOOCs Video-based Learning: An Eye-tracking Insight

        김랑(Rang Kim),송해덕(Song, Hae Deok),오헌석(Oh, Hunseok),Jung Won Hur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21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Massive Open Online Courses (MOOCs)에서 고수준 학습몰입 학습자의 동영상 기반 학습과정 탐색에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소재 A 대학의 학부생을 대상으로 MOOCs 동영상을 통한 교양과목 학습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참여자 총 14명의 동영상 내 학습 요소(교수자, 텍스트, 그래픽)에 대한 주의집중 시간 데이터를 시선추적기(Eye-tracker)를 활용해 수집하였다. 이후, 고수준 학습몰입 학습자와 저수준 학습몰입 학습자 간 주의집중 시간의 차이에 관해 ANCOVA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고수준 학습몰입 학습자를 대상으로 회상자극면담(Stimulated Recall Interviews)을 실시하여 이들이 사용한 학습 전략에 관한 질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고수준 학습몰입 학습자는 저수준 학습몰입 학습자에 비해 교수자를 유의한 수준에서 더 길게 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저수준 학습몰입 학습자는 고수준 학습몰입 학습자에 비해 텍스트를 유의한 수준에서 더 길게 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고수준 학습몰입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회상자극면담 결과, 실재감을 느끼기 위해 교수자와의 눈맞춤 전략 등 고수준 학습몰입 학습자가 학습 과정에서 몰입하기 위해 중시하는 학습전략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MOOC에서 학습몰입을 증진하기 위한 동영상 설계전략 개발에 있어 시사점을 제시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ngagement patterns of high-engaged learners in a Massive Open Online Course (MOOC) video learning. To this purpose, learners’ visual attention, as behavioral engagement, on the video learning components (instructor, text, and graphics) was investigated during video-based learning by using an eye tracking method. Visual attention data pertaining to learners’ eye fixation duration were collected from undergraduate students, and the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data of a high-engaged group and those of a low-engaged group was analyzed using ANCOVA. To further investigate the cognitive and affective engagement process, Stimulated Recall Interviews (SRI) was conducted with the seven high-engaged learners.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ngaged learners gazed at the instructor component for a significantly longer period than those in the low-engaged group. The low-engaged group stared at the text component for a longer period than those in the high-engaged group. The findings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strategies that improve student engagement in MOOCs videos learning.

      • KCI등재

        대학의 플립드 러닝에서 우수 학습자 역량모델링

        김랑 ( Rang Kim ),송해덕 ( Hae-deok Song ) 한국교육공학회 2017 교육공학연구 Vol.33 No.4

        최근 대학에서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방법으로 플립드 러닝이 활발히 적용되고 있다.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학습환경으로서 플립드 러닝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강의식 수업에 익숙한 다수의 학습자들은 보다 능동적인 역할이 요구되는 플립드 러닝 환경에 쉽게 적응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플립드 러닝에서 성공적인 학습활동을 지원하기 위하여 역량모델링을 통하여 플립드 러닝 환경에서 우수한 학습자의 역량과 행동지표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 역량모델링은 1) 자료수집, 2) 역량 도출 및 모형개발, 3) 역량모형 타당화의 절차로 진행되었다. 먼저, 자료수집을 위해 서울 시내에 소재한 한 대학에서 플립드 러닝으로 운영된 강좌를 수강한 학습자 8명을 대상으로 행동사건면담을 실시하였다. 우수 학습자들은 플립드 러닝으로 진행된 대학 강좌에서 형성 평가와 팀 프로젝트 평가에서 상위 10%이내의 성적을 받았으며 학습과정에서 우수한 수행으로 교수자의 추천을 받은 학생들이었다. 이들에 대한 면담 자료를 분석 후, 대학의 플립드 러닝에서 우수 학습자 역량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의 플립드 러닝에서 우수 학습자 역량으로 ‘피드백ㆍ도움 요청’, ‘성실한 학습관리’, ‘지식 확장’, ‘동료 상호작용’, ‘학습지향성’이 도출되었으며, 이에 대한 세부적인 행동지표들을 개발하였다. 도출된 역량모형의 타당화를 위하여 플립드 러닝 수강생 134명을 대상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끝으로 플립드 러닝의 수업 전과 수업 중의 두 단계에 따라 보다 중요시되는 역량들을 확인함으로써 플립드 러닝의 수업단계에 따라 성공적인 학습을 위해 요구되는 최종 역량모형을 제시하였다. Flipped classroom has used widely in university in that its unique structure can facilitate learners' higher-thinking skills and promote competencies. Learners are expected to extend knowledge through performing online and offline, but they hav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eir roles and specific behaviors to achieve the learning goals in the flipped learning. Therefore, a guidance for students has been required to support learners' mastery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successful learners' characteristics in terms of “competency”. For this, three-phased competency modeling was employed. In Phase I, Behavioral Event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learners of the flipped classroom. In Phase Ⅱ for identifying competencies and developing a competency model, the data was coded, followed by testing reliability of the coding. Based on the meaning codes, competencies and behavioral indexes were developed. The final competencies consist of learning orientation, learning management, feedback seeking, peer interaction, and knowledge extension. In Phase Ⅲ, validation of the competency model was conducted by explanatory factor analysis. As last, competencies were aligned by the two-phase of the flipped classroom. The finding will be used as the guidance for the learners and instructors in the flipped classroom.

      • KCI등재

        다기준 의사결정기법과 기계학습을 이용한 가변형 차양의 최적 형태 도출

        김랑(Rang Kim),김선호(Sun Ho Kim),이예린(Ye Rin Lee),문현준(Hyeun Jun Moon) 한국생활환경학회 2020 한국생활환경학회지 Vol.27 No.4

        This paper suggests a multi-objective optimization process for a dynamic shading device to minimize cooling load and maintain the required illuminance. We have developed a Random Forest model based on the data from IDA ICE simulation. A non-dominated sorting genetic algorithm (NSGA-II) is applied to optimize the extrude length of the upper 2-axis of the dynamic shading device at each hour. The developed Random Forest model could predict the cooling load and illuminance with appropriate accuracy (CVRMSE of 1.55% and 3.58%,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ground truth from the IDA ICE simulation. The optimal shape of the shading device is determined among several alternatives using the TOPSIS method that is one of the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methods. In this process, two objectives (cooling load and illuminance) could have different weights to reflect the priority or preference of decisionmakers. As a result, the optimal shape of the dynamic shading device derived from the multi-objective optimization process could provided improved performances both on cooling load and visual comfort. Besides, our process was able to consider different weights of each objective depending on the decision makers’ preferences.

      • KCI등재

        암 투병 중인 아버지 삶에 대한 생애사 연구

        김랑(rang Kim),문혁준(Hyuk-Jun M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1

        목적 본 연구는 암 투병 중인 아버지가 자신의 삶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해 생애이야기를 통해 탐구하였다. 방법 탐구는 생애사(life history) 연구를 통해 연구되었는데 생애사연구는 참여자가 살아온 삶의 이야기를 통해 교육현상이 생성되는 맥락을 이해하는 질적 연구방법이다. 생애사연구는 노인들의 과거 삶의 과정에서의 구체적 선택과 행동이 현재의 삶의 질 및 삶에 대한 해석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 이해하는데 유용한 연구 방법으로 암 투병 중인 아버지가 살아온 과거의 시간을 돌아보고 앞으로 남은 삶의 의미를 어떻게 찾아가는지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아버지와의 개방적이고 비구조화된 면접, 심층면담, 녹취 자료, 자전적 저널, 사진, SNS로 나눈 대화 등을 토대로 연구참여자의 건강이 허락되는 시점까지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 결과 생애이야기를 통해 유년기부터 노년기까지 시간 순서상으로 이야기가 되었으며 총 9개의 주제로 분류되어 다음과 같다. 1)어머니, 아버지에 대한 기억, 2)학창시절과 사회생활의 시작, 3)결혼과 자녀출산, 4) 자녀를 키우면서 힘들거나 슬펐던 순간들, 5)자녀를 키우면서 보람 있었던 순간들, 6) 자녀를 키우면서 어려웠던 점, 7) 아버지 역할에 대한 생각, 8)인생 전체를 돌아보며 : 아동⋅청소년기, 중년기, 노년기를 은유법으로 표현한다면, 9)부모가 자녀에게 물려주었으면 하는 유산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결론 면담에서 아버지는 아동기, 청소년기, 청년기, 중년기, 노년기에 걸쳐 자신의 삶을 돌아보고 자녀를 키우면서 겪었던 아버지로서의 경험을 이야기하였다. 생애이야기를 통해 한 남자로서의 생애와 한 가정의 아버지로서의 삶을 온전히 느낄 수 있었다.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d how the father, who is battling cancer, perceives his life through his life story. Methods Inquiry was studied through life history research, which i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o understand the context in which educational phenomena are created through the life stories of participants. Life history research is a useful research method to understand how the specific choices and behaviors of the elderly in the past life process are reflected in the current quality of life and interpretation of life. I wanted to explore how to find the meaning of the rest of my life.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until the health of the study participants was allowed based on open and unstructured interviews with their fathers, in-depth interviews, audio recordings, autobiographical journals, photos, and conversations through SNS. Results Through the life story, the story was told in chronological order from childhood to old age, and it is classified into 9 themes as follows. 1) memories of mother and father, 2) school days and the beginning of social life, 3) marriage and childbirth, 4) difficult or sad moments raising children, 5) rewarding moments raising children, 6) children Difficulties raising a child, 7) Thinking about the father’s role, 8) Looking back on the whole life: If children/adolescence, middle age, and old age are expressed in a metaphorical way, 9) What do you think is the legacy that parents would like to pass on to their children? Conclusions In the interview, the father looked back on his life throughout childhood, adolescence, adolescence, middle age, and old age and talked about his experiences as a father while raising children. Through the life story, I was able to fully feel the life of a man and the life of a father in a famil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