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측면 충돌대응 LSHC(LS B PLR +H COMPLEX) 구조 최적화 개발

        김도회(Do Hoi Kim),해웅(Hae Yung Kim),박창호(Chang Ho Park),종수(Jong Su Kim),이선우(Sun Woo Lee) 한국자동차공학회 2015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15 No.11

        At present, the most issues are a safety of passengers. So thus OEMs have endeavored to enhance the strength of cars. Especially the new NCAP and IIHS’s regulations involved in roof crash have strengthened before a few years. However, B pillar has not satisfied a safety zones for passengers when the BIW has been developed for side impact. Therefore this paper will present the way to develop a new B pillar structure as using the tool of TRIZ..

      •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레벨 키를 이용한 효율적인 키 분배 방법에 관한 연구

        김도회 ( Do-hoi Kim ),최진영 ( Jin-young Choi ),정태명 ( Tai-myoung Chu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4 No.2

        최근 유비쿼터스 시대가 도래하면서 센서 네트워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센서 네트워크란 필요한 모든 곳에 전자태그를 부착하고, 이를 통해 사물의 인식 정보를 기본으로 주변의 환경정보까지 각종 센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관리, 통제할 수 있도록 구성한 네트워크를 말한다. 이러한 센서 네트워크에서 각 노드들은 에너지, 계산 능력, 대역폭 등에 상당한 제한을 받으며, 정보가 저장된 장치를 쉽게 도난 당할 수도 있다. 특히 보안 통신을 하기 위해 키 설정 및 관리는 필수적이며 지금까지 그로 인해 여러 가지 키 분배 및 관리 방법이 제안되었다. 본 논문은 군대 등의 특정 상황과 같이 계층적 구조를 가지는 센서 네트워크에서 더욱 효율적으로 통신을 할 수 있는 키 관리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기존의 계층적 구조의 취약점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레벨 키를 제안하여 같은 레벨에서 다른 그룹간 통신이 가능한 효율적인 키 분배 방안을 제시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24시간 활동성 혈압과 임상 혈압과의 비교 및 좌심실 비대와의 상관관계

        박승훈 ( Seung Hoon Park ),방덕원 ( Duk Won Bang ),서존 ( John Seo ),홍성욱 ( Sung Wook Hong ),김도회 ( Do Hoi Kim ),윤여준 ( Yeo Joon Yoon ),안지훈 ( Ji Hoon Ahn ),현민수 ( Min Su Hyon ),성구 ( Sung Koo Kim ),권영주 ( Young Jo 대한내과학회 2007 대한내과학회지 Vol.72 No.2

        목적: 고혈압을 진단함에 있어 24시간 활동성 혈압 측정이 임상 혈압 측정보다 정확하다고 알려져 있지만,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24시간 활동성 혈압과 임상 혈압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본 연구는 24시간 활동성 혈압과 임상 혈압을 비교하고, 심전도에서의 좌심실 비대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혈압 평가를 의뢰받고 항고혈압제재의 복용력이 없는 건강한 성인 203명(남 108, 여 95)을 대상으로 임상 혈압을 3회 측정 후 평균치를 구하였고, 24시간 활동성 혈압을 측정하였다. 24시간 활동성 혈압 중 낮시간 평균 혈압을 임상 혈압과 비교분석하였다. 이들 환자의 심전도를 검사하여 V1의 S파의 전압 크기와 V5의 R파의 전압 크기를 합하여 각 혈압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결과: 전체 대상군의 낮시간 활동성 혈압의 평균은 수축기 혈압 135.33±13.73 mmHg, 이완기 혈압 86.55±11.42 mmHg였고, 임상 혈압의 평균은 수축기 혈압 140.10±17.41 mmHg, 이완기 혈압 88.84±10.14 mmHg로 임상 혈압이 낮시간 활동성 혈압보다 수축기 혈압은 5 mmHg, 이완기 혈압은 2 mmHg 정도 높았다(p<0.001). 임상 혈압의 고혈압 기준치를 140/90 mmHg라고 할 때 여기에 상관된 낮시간 활동성 혈압의 예측치는 135/87 mmHg였다(p<0.001). 임상 혈압 측정에서 고혈압으로 진단된 군 중에서 24시간 활동성 혈압 측정이 정상으로 나온 백의 고혈압(isolated office or white-coat)의 발생률은 10.8%였다. 심전도에서의 전압크기는 24시간 활동성 혈압 중 낮시간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과 밤시간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과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특히 낮시간 수축기 혈압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r=0.283, p<0.001). 결론: 임상 혈압과 24시간 활동성 혈압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낮시간 활동성 혈압의 정상 상한치는 135/87 mmHg였으며, 심전도에서 좌심실비대를 반영하는 좌심실 전압의 크기는 24시간 활동성 혈압 중 낮시간 수축기 혈압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Background: This study compared the results of 24 hour ambulatory blood pressure monitoring with the clinical blood pressure measurements, and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of the blood pressure measurement and left ventricular hypertrophy, as determined by routine 12 lead electrocardiography. Methods: We studied 204 healthy adults with no prior history of heart disease or antihypertensive medication. The clinic blood pressure was measured 3 times and the average was taken. We compared the clinic blood pressure with the daytime blood pressure of the 24 hour ambulatory blood pressure monitoring, and we compared the blood pressure with the sum of the voltage of the S wave on V1 and the R wave on V5. Results: The average of the daytime ambulatory blood pressure of all the patients was 135.33±13.73 mmHg for the systolic pressure and 86.55±10.14 mmHg for the diastolic pressure. The average of the clinic blood pressure measurement was 140.10±17.41 mmHg for the systolic pressure and 88.84±10.14 mmHg for the diastolic pressure. The clinic blood pressure averaged higher than the daytime ambulatory blood pressure by 5 mmHg on the systolic pressure and 2 mmHg on the diastolic pressure (p<0.001). The normal ambulatory blood pressure limits were estimated as those that best correlated with 140/90 mmHg at the clinic. The estimated value was 135/87 mmHg for the daytime ambulatory blood pressure (p<0.001). The incidence of white coat hypertension was 10.8%. The sum of the voltage on electrocardiography showed a positive linear relationship with all the blood pressure measurements. The daytime systolic blood pressure showed the strongest correlation with the 24 hour ambulatory blood pressure monitoring (r=0.283, p<0.001). Conclusions: We found a linear relation and we analyz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linical and 24 hour ambulatory blood pressure. A daytime ambulatory blood pressure value of 135/87 mmHg was a suitable upper normal limit for the corresponding cutoff value of the clinic blood pressure. Left ventricular hypertrophy showed the strongest relationship with the daytime systolic blood pressure among the results of the 24 hour ambulatory blood pressure monitoring. (Korean J Med 72:181-190, 2007)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