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비재귀 Flood-Fill 알고리즘을 이용한 적응적 이미지 Labeling 알고리즘

        김도현,강동구,차의영,Kim, Do-Hyeon,Gang, Dong-Gu,Cha, Ui-Yeong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9 No.3

        본 논문에서는 이진화 영상의 물체 분석에서 자주 사용되는 새로운 Labeling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Labeling 알고리즘은 기존의 Labeling 과는 달리 복잡한 Equivalent Labeling Merging/Ordering이 필요하지 않으며 비재귀적인 Flood-filling에 의하여 1 pass에 Labeling이 이루어진다. 또한 Gray-level 이미지에 대해서도 쉽게 확장될 수 있으며, HIPR Image Library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기존의 방법보다 2배 이상의 빠른 수행 속도를 보였다. This paper proposes a new adaptive image labeling algorithm fur object analysis of the binary images. The proposed labeling algorithm need not merge/order of complex equivalent labels like classical labeling algorithm and the processing is done during only 1 Pass. In addition, this algorithm can be extended for gray-level image easily. Experiment result with HIPR image library shows that the proposed algorithm process more than 2 times laster than compared algorithm.

      • KCI등재

        The Clinical Efficacy of Silicone Stents for Endoscopic Dacryocystorhinostomy: A Meta-Analysis

        김도현,김선익,진호준,김수빈,황세환 대한이비인후과학회 2018 Clinical and Experimental Otorhinolaryngology Vol.11 No.3

        We evaluated the effect of silicone stent use during endoscopic dacryocystorhinostomy on postoperative morbidities in comparison with versus without a silicone stent. Two authors independently searched six databases (PubMed, Embase, Scopus, the Web of Science, the Cochrane library, and Google Scholar) from inception of article collection to July 2017. The analysis included prospective randomized studies that compared intraoperative silicone stent insertion (silicone group) with no application of a silicone stent (control group), in which the outcomes of interest were success rate (lacrimal passage patent check with syringing, symptom relief, or endoscopic confirmation of fluorescein dye from the opening of Hasner’s valve) and morbidities (e.g., postoperative bleeding, rhinostomy closure, granulation tissue, synechia, and eyelid problems) after certain follow-up periods (over 10 weeks). Nine studies involving a total of 587 participants were included. Functional success rates tended to be higher in the silicone group than in the control,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uccess rates (odds ratio, 1.45; 95% confidence interval, 0.77 to 2.73). According to the surgical type such as mucosal removal and mucosal flap surgery, the results from types didn’t demonstrate any significant effect, but the mucosal flap technique seemed to be more beneficial. Regarding postoperative morbidities, although the outcomes of the groups did not present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eyelid problems and postoperative bleeding tended to occur more frequently in the silicone group, but rhinostomy closure tended to occur more frequently in the control group. Success and morbidity rates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the silicone stent group and control group in the meta-analysis. However, additional analyses revealed that the success rate of endonasal dacryocystorhinostomy using silicone intubation with mucosal flap has shown an improving trend, and morbidities such as granulation and synechia showed decreasing trends compared with the group without silicone intubation.

      • KCI등재후보

        북한 사이버/전자전 능력 분석 및 평가 - 전투발전요소(DOTMLPF-P) 및 SWOT 분석을 중심으로-

        김도현,강동수 대전대학교 안보군사연구원 2022 안보군사학연구 Vol.- No.22

        북한은 과거 3·20 사이버테러, 대규모 GPS 교란 공격 등을 감행하여 한국의 국가 기능에 큰 피해를 입히고 사이버/전자전 수행 능력을 입증하였다. 국제사회의 대북제재가 지속되고 코로나19 봉쇄가 장기화되고 있는 오늘날에는 체제유지와 핵·미사일 개발자금 조달을 위해 은행 전산망 해킹, 암호화폐 탈취 등 국가 차원의 사이버범죄를 저지르고 있다. 경제난으로 인해 재래식 전력 증강이 어려운 북한에 있어 소수의 정예인력과 장비만으로도 큰 이익을 거둘 수 있고 상대의 즉각적인 대응 또한 제한되는 사이버/전자전은 비용 대비 효과측면에서 탁월하며 회색지대 전략을 수행하기 위한 최적의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북한의 사이버/전자전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그 능력 및 강점과 약점을 제대로 파악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북한의 사이버/전자전 능력을 전투발전요소(DOTMLPF-P)의 분석틀에 입각하여 분석하고 SWOT 기법을 활용하여 강점과 약점, 기회와 위협 요인을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북한의 사이버/전자전 능력은 교리(D), 정책(P), 조직(O), 훈련·연습(T), 리더십·교육(L), 인적자원(P) 분야에서 강점이 있었으며 심각한 경제난과 미약한 생산능력, 중국 등 타국에 대한 높은 의존도로 인해 물자(M)와 시설(F)은 약점으로 분류되었다. 암호화폐 가치의 상승, 공격 대상의 보안 취약점과 같은 외부 환경의 변화는 북한 사이버/전자전의 기회요인이었으며 반대로 암호화폐 가치의 하락, 사이버보안 및 항(抗)재밍 능력의 강화 등은 북한에 있어 위협요인이었다. 따라서 한국 및 국제사회는 북한의 사이버/전자전 능력을 제대로 파악한 상태에서 강점을 상쇄시키고 약점을 공략하며 기회를 차단하고 위협을 증대시키는 전략을 구상하여 실행에 옮겨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한말~일제강점기 태백산에서의 祭儀 전승과 변동

        김도현 한국역사민속학회 2017 역사민속학 Vol.0 No.53

        Ritual rites for the mountain spirit of Taebaek have been considered important since the time of the ancient dynasties, and they have been handed down in various forms such as personal or village rituals, mountain peak rituals and ones where King Danjong was regarded as the mountain spirit of Taebaek. Also, the tradition that people served the God of heaven on Mt. Taebaek during the Choseon Dynasty era continues to this day in forms of the rituals for “Dangun” and “Sanmegi” for ancestor spirits. There are some reasons why the rituals on Mt. Taebaek were mostly viewed and defined as ‘rituals for heavenly gods’; people thought the gods on Mt. Taebaek were the highest, those in charge of heaven and who had given many benefits to peopl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y were believed to help our whole people regardless of specific regions. This is when the tradition of rituals was established with people serving the heavenly gods and praying for independence. They were handed down with the help of Gangwon and Gyeonsang Province after taking independence back. In 1987, the committee for Mt. Taebaek rituals was founded and the rituals have been held on National foundation day of Korea every year since then. After the general abolition of rituals for Taebaek mountain spirits in the Chosun Dynasty era, the ritual tradition of Mt. Taebaek had been broken off. However, it was performed again in 1938, developing as the rituals representing Mt. Taebaek up to the present. In addition, mountain shrines and rituals based in communities or performed by individual new religions are being handed down, aside from the rituals in Mt. Taebaek. 고대국가 단계에서부터 중요하게 모셨던 태백산신을 위한 제의는 개인 또는 마을 단위 산신제, 고갯마루 산신제, 또는 단종을 태백산신으로 여겨 모시는 형태로 전승되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태백산에 설치된 제당을 ‘太伯天王堂, 天王堂, 天王祠’라고 한 것으로 보아 太白山祠는 天王堂이고, 太白祠는 天王祠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제당 명칭을 통해 태백산에서 천신 또는 산신의 감응을 받은 ‘天王’이라 불리우는 신령을 모신 제의가 행해졌음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에 태백산에서 천왕을 모셨던 전통은 한말~일제강점기를 지나 ‘단군’을 모시는 제의와 조상신을 위하는 산멕이의 형태로 이어지고 있다. 그리고 태백산에서의 제의를 ‘天神을 모신 天祭’로 대부분 인식하고 규정한 것은 일제 강점기에 큰 베풂을 바탕으로 신성함이 깃든 태백산에서 하늘을 관장하는 최고의 신령이기에 특정 지역을 한정하지 않고 우리 민족 전체를 위해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이때 천신을 모셔 독립기원제를 지내면서 천제를 지내는 전통이 확립되었고, 해방 이후에도 강원도와 경상도의 지원에 의해 전승되다가, 1987년 태백산천제위원회가 결성되어 매년 개천절에 천제를 지낼 수 있었다. 이에 따라 태백산 전체를 아우르는 산신제가 조선시대에 폐지된 이후 태백산을 대표하는 제의 전통이 단절되었으나, 1938년에 지낸 천제를 계기로 태백산을 대표하는 제의로 발전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에 더하여 태백산 천제와는 별개로 태백산 권역에서 마을 단위 천제, 개별 신종교나 산당에서 행하는 천제도 전승되고 있다.

      • KCI등재

        太白山 天祭壇과 摩尼山 塹城壇의 儀禮 비교

        김도현 동아시아고대학회 2010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23

        이 논문은 신라시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태백산에서 행한 祭儀와 고려・조선을 거쳐 현재까지 마니산 참성단에서 행해지는 祭天禮에 대하여 연혁과 의례 현황을 비교・분석한 글이다. 하늘에 제사지낸다는 점에서는 태백산 천제단이나 마니산 참성단은 유사한 성격을 지닌 제의 장소이다. 그러나 그 역사적 연혁이나, 의례 과정, 주변 지역으로의 확산 등에서는 구분되는 점들이 많음을 알 수 있었다. 태백산 천제단과 마니산 참성단에서의 儀禮 현황을 비교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태백산에서의 제의 과정에 모신 신령은 신라대에 천신 또는 산신, 고려시대에 태백산신을 모셨으며, 조선시대에 天王을 모셨고, 임진왜란 이후 좀 더 명확하게 하늘[天神]에 제사지낸 사례를 다수 발견할 수 있다. 제의 과정에서 강화도 참성단에서는 도교의 신들을 제사의 대상으로 받들어 紙榜 형태로 모셨으나, 태백산 천제단에서는 하늘을 상징하는 해・달・북두칠성과 28수기를 깃발로 만들어 모셨다. 둘째, 태백산에서 제의를 주관한 제관은 고려시대까지 왕이나 국가에서 파견된 관리가 주도하였으나, 조선시대에 이르러 국가제장 선정에서 탈락됨으로써 향리나 민간인이 제의를 주도함을 알 수 있다. 이에 비해 강화도 마니산 참성단에는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관리를 파견하여 제의를 주관하게 하였다. 현재 태백산 천제단과 강화도 마니산 참성단에서의 천제를 주관하는 이는 해당 지역 자치단체장을 비롯한 지역 인사들이다. 셋째, 조선시대까지 태백산에서의 제의에 올린 제수를 구체적으로 알 수는 없지만, 소를 헌공한 사례는 많다, 1987년부터 태백산천제위원회에서 주관하여 지낸 천제에 올린 제수는 조선시대에 소와 삼베를 헌공한 전통을 살려 소머리와 삼베를 올리며, 백설기와 소머리를 제외한 모든 제수는 생으로 올린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에 비해 마니산 참성단에서는 조선시대에 도교식 제사에서와 같이 차・탕・술과 떡을 준비하여 올렸으며, 국가에서 제수 등을 준비하기 위한 별도의 祭田을 내려주었다는 점은 태백산지역과 다른 점이다. 넷째, 의례를 행하는 시간은 두 지역 모두 子時에 지냈으나, 지금은 낮에 지낸다. 조선시대에 마니산 참성단에서 행한 의례 과정은 각종 기록을 통해 그 대략을 알 수 있다. 특히 1511년 유숭조에 의해 雲馬樂을 벌였다는 점은 태백산과 비교되는 점이다. 조선 후기부터 일제강점기에 이르는 동안 태백산은 구국의 성지로 부각되기 시작했다. 동학을 만든 최제우 死後 동학교도들이 태백산 권역에 모여들면서 태백산은 민족의 종산으로 그 가치가 더욱 부각되었다. 신흥종교 중에서는 1937년의 태극교도[천지중앙 명류도]들의 활동이 주목된다. 이들은 조선의 독립을 기원하기 위해 태백산 정상에 구령탑을 쌓고 독립 기원제를 지냈다. 이러한 활동은 태백산이 지닌 민족의 영산이라는 관념 속에서 救國의 성지로 인식되기 시작했음을 의미한다. 구국을 위한 의례가 행해지면서 태백산에서의 제의는 天祭의 형식을 갖추게 된다. 이와 함께 태백산에서 천제를 지내거나 민간 치성을 드리던 전통은 태백산 인근 지역으로 확산되었다. 이와 같은 사실들은 도교에 기반을 두면서 국가 제사로 행해진 마니산에서의 제천의례와 구분되는 점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omparative Study on the Rites in Cheonjedan[天祭壇] at the top of Mt. Taebaek and Chamsungdan[塹城壇] at the top of Mt. Mani. The ritual traditions performed in Mt. Taebaek have been continued to this day since the Silla dynasty. During the Silla dynasty, Mt. Taebaek was considered as an important place for the national rituals called Jungsa. As well, it was used for the political purpose of expanding and controlling the territories and those tradition had been continued to the Goryeo dynasty. During Joseon dynasty, although the ritual was not performed as the event of national importance, it had received the national attention until the early era of Joseon dynasty. According to the references from various sources, Taebaeksansa and Taebaeksa were assumed to be Cheonwangdang and Cheonwangsa respectively. There is a altar called Chamsungdan[塹城壇] at the top of Mt. Mani in Kanghwa Island. This altar is known as a place of ritual to sky held by Tangun[檀君], the founder of Ancient Chosun[古朝鮮] and national ancestor of Koreans. The first record touch on altar Chamsungdan appeared in 1264. So we can infer that the altar Chamsungdan was constructed before 1264. Since the Taebaeksanje received nation-wide attention, one could assume that the ritual itself was a real burden to the people. However, a number of evidences found in the areas around Mt. Taebaek and even remote areas from the mountain, show that people who were unable to worship in Mt Taebaek because of various reasons built Cheonjedan (superior shrine) and practiced the ritual. Rituals of the altar Chamsungdan was state rituals, so these were performed by officials of the state. There were two kinds of ritual ; one is periodical rituals held at spring and autumn(2 times per year), the other one is occasional rituals. And gods worshiped in these rituals were Taoist divinities, so that rituals of the altar Chamsungdan were Taoist rituals.

      • KCI등재

        국내공항 관제탑의 상대적 효율성에 관한 연구

        김도현 한국항공운항학회 2003 한국항공운항학회지 Vol.11 No.2

        Air Traffic Control Tower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units in Airport operation. It provides services related to safe and efficient traffic flows that control aircraft on the ground maneuvering area and terminal airspace. Also It is responsible for managing of ground operators. The major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s relative efficiency of ATC towers in Domestic airports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so that it helps the ATC authority to improve the tower efficiency, to decide the level of benchmarking target and to establish the best alternativ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 as a result of analysis for the potential improvement, it has analysed that the common problems of each ATC tower are to increase its number of flight and to reduce its number of runway followed by airside area, the number of air traffic controller and the number of stand. Second, it has shown that the each tower in RKPC(8), RKPT(5), RKPK(1) and RKSS(1) are used as the reference set. Especially, the tower in RKPC analyzed as a relatively efficient unit is the most main target for the towers in RKTU, RKTH, RKPS and RKTY to do bench marking and to set up the strategy for improving relative efficiency of the tower. Third, tower is actually not able to control the input and output data in this study except the number of controller, so that ATC authority is recommended to improve inefficiency of the towers through handling the number of controll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