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광화학적 방법을 통한 InP계 양자점 표면결함 부동태화 연구
김도연,박현수,조혜미,김범성,김우병,Kim, Doyeon,Park, Hyun-Su,Cho, Hye Mi,Kim, Bum-Sung,Kim, Woo-Byoung 한국분말야금학회 2017 한국분말재료학회지 (KPMI) Vol.24 No.6
In this study, the surface passivation process for InP-based quantum dots (QDs) is investigated. Surface coating is performed with poly(methylmethacrylate) (PMMA) and thioglycolic acid. The quantum yield (QY) of a PMMA-coated sample slightly increases by approximately 1.3% relative to that of the as-synthesized InP/ZnS QDs. The QYs of the uncoated and PMMA-coated samples drastically decrease after 16 days because of the high defect state density of the InP-based QDs. PMMA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fect passivation. Thioglycolic acid is investigated in this study for the effective surface passivation of InP-based QDs. Surface passivation with thioglycolic acid is more effective than that with the PMMA coating, and the QY increases from 1.7% to 11.3%. Zn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InP QDs and S in thioglycolic acid show strong bonding property. Additionally, the QY is further increased up to 21.0% by the photochemical reaction. Electron-hole pairs are formed by light irradiation and lead to strong bonding between the inorganic and thioglycolic acid sulfur. The surface of the InP core QDs, which does not emit light, is passivated by the irradiated light and emits green light after the photochemical reaction.
김도연,김용한,최승호,Kim, Doyeon,Kim, Yong Han,Choi, Seung-Ho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 2020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Vol.31 No.2
Inverted papilloma is a rare benign tumor which usually arises from sinonasal mucosa. We experienced a case of 62-year-old male who presented with foreign body sensation in throat. A round mass was found at right false vocal cord in laryngoscopic examination. It was excised in laryngeal microsurgery. The pathologic diagnosis was inverted papilloma of false vocal cord. Recurrence or complication did not occur during the follow up period of three months.
유럽의 포장 폐기물 발생 및 포장 재료별 재활용에 관한 고찰
김도연,고의석,이학래,심원철,양력명,김재능,Kim, Doyeon,Ko, Euisuk,Lee, Hakrae,Shim, Woncheol,Yang, Liming,Kim, Jaineung 한국포장학회 2017 한국포장학회지 Vol.23 No.1
In order to confirm European packaging waste statistics, this study was investigated annual variability of packaging waste generated, target of recovery and recycling rate for packaging waste and recycling rate of European countries based on Eurostat database. Eurostat is regional society statistics organization designated by European community to distribute development, production and European statistics. From 2005 to 2013, paper and paperboard packaging were generated the largest amount among the total amount of packaging waste generated during the period and the share of main packaging materials were generally constant among the packaging materials. In addition, European Union member countries have established target for the recycling rate and recycling rate for packaging waste which has been well maintained by most EU countries since the 2008 directive was enacted. The recycling rate for whole packaging waste such as glass, paper and paperboard, metal, plastic, wood continues to increase in Europe. In this study, Europe packaging waste statistics were organized and analyzed as yearly transformation of Europe packaging waste occurrence and disposal, recycling rate and recovery rate target value of Europe countries and recycling rate of each country in Europe base on centralized Eurostat database. Moreover GDP reduction were also confirmed due to trend changes and indirect impacts such as economic slump by packaging waste and recycling.
조명의 변화에 따른 실내 마감재의 Naturalness와 공간 Comfort의 상관관계
김도연(Doyeon Kim),박영경(Yungkyung Park) 한국색채학회 2020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5
공간의 마감재와 조명은 사용자의 공간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실내디자인 요소이며, 공간 안의 요인들은 상호 영향을 주고받기 때문에 공간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마감재와 조명의 상호관계를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공간의 시각적 자극이 적을수록 공간 만족도가 높아진다는 선행 연구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명의 변화에 따른 마감재의 Naturalness와 공간 Comfort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두 변인 사이에 밀접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공간 만족도를 상승시키기 위해 효과적인 마감재와 조명의 선택을 돕기 위하여 마감재와 조명의 상호작용에 따른 Naturalness의 응답을 분석하였고, 조명의 어떤 요소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했다. 분석결과 공간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마감재와 조명의 사용 방법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실내 공간 연출에서 마감재와 조명의 효과적인 선택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중국 현대미술 작품에서 문화 유물의 재탄생 - 아이웨이웨이와 송동의 작품을 중심으로 -
김도연 ( Kim Doyeon ),김홍중 ( Kim Hongjoong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6 예술과 미디어 Vol.15 No.4
중국 현대미술은 지난 30년간 급속한 변화와 발전을 겪어 왔다. 새롭게 서양의 현대미술과 사상을 받아들인 작가들은 빠르게 이를 습득하고 자신들만의 방식으로 소화하였다. 1980년대가 중국 현대미술이 서양의 현대미술을 배우고 익히는 시기였다면 1990년대와 2000년대에 이르러 중국 현대미술 작가들은 새로운 관점에서 현대미술을 해석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관점과 해석 중에서도 본고가 주목한 것은 레디메이드 방식의 오브제 작품들이다. 특히 중국 작가들 중 일부는 문화적 유물 그 자체를 이용한 레디메이드 작품을 제작하였는데 본고는 그 대표적인 작가로 아이웨이웨이와 송동의 작품을 선택하여 연구하였다. 이 두 작가의 작품들은 중국의 긴 역사와 방대한 문화 자체를 그대로 드러냄으로 강력한 중국 성을 지닌다. 이 작가들은 왜 이렇게 문화유산을 이용하게 되었으며 이를 통해 무엇을 드러내고자 하는 것일까? 이러한 질문의 답을 찾기 위해 본고는 세 가지 방식, 파괴, 변형, 수집으로 문화유산을 이용한 작품들을 나누어 연구하였다. 아이웨이웨이는 한 대의 도자기와 같은 역사적 가치를 가진 유물을 떨어뜨려서 깨어버리거나 그 위에 새로운 색을 입히는 등 폭력적이고 파괴적인 방식으로 문화유물을 작품에서 이용한다. 이러한 그의 행위는 문화혁명과 언론의 탄압 등의 중국 현대사와 작가 자신의 개인사와 겹쳐져 더 많은 해석의 여지를 제공한다. 변형은 오브제를 활용한 작품들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방식이다. 높은 가치를 지닌 명대의 가구를 해체하고 재조립하여 가구의 용도를 바꾸는 아이웨이웨이의 변형은 가구에서 작품으로 오브제의 가치를 변화시킨다. 송동은 아이웨이웨이와 달리 흔하게 버려져 있는 창문틀과 문틀로 조각적인 오브제를 만든다. 송동은 오랜 기간 동안 각종 생활 용품을 수집한 어머니와 함께 작품을 제작하였다. 이 수집품들은 지극히 사적인 물건들을 통해 현대 중국의 가까운 과거를 다시 돌이킨다. 이렇게 특별한 가치를 지닌 사물들로 제작된 레디메이드 작품들은 기존의 뒤샹의 레디메이드와 완전히 다른 맥락에서 오브제를 이용하고 있다. 이들은 서사성을 강조하고, 개인적인 취향을 강하게 드러내며 시각적인 효과를 이용하는 것에도 주저하지 않는다. 특히 전통과 문화적 정체성을 주저하지 않고 강조하는 것은 후동방주의와 같은 선상에서 중국 현대미술의 대표적인 전략 중 하나이다. 중국의 전통과 정체성을 드러내는 현대미술의 전략과 작품에 대한 이해는 전통과 그의 활용이라는 동일한 과제를 지닌 우리 현대미술에도 의미 있는 참고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Contemporary art in China has experienced huge changes and rapid advances for the past 30 years. While 1980s was time for Chinese contemporary art to grasp and learn that of western, in 1990s and 2000s Chinese contemporary artists started to produce their works interpreting contemporary art in a new perspective. Among these new trends, this article focused on ready-made object works. Some Chinese artists particularly have produced ready-made works adopting a few artifacts that reflect China`s culture and history, which can be well exemplified by works of Ai Weiwei and Song Dong. Ai and Song both possess strong "Chinese" identity by revealing China`s long history and copious cultural identity itself in their works. Why do they use cultural heritage in their works and what do they want to represent through it?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article examines the works that made use of cultural heritages in three subcategories: destruction, transformation, and collection. Ai uses cultural heritages in violent and destructive ways, such as breaking or re-coloring old Han dynasty porcelain to make his art works. His act overlaps with the artist`s personal history and the Chinese modern history including the Chinese Cultural Revolution and the repression of the press, leaving more room for interpretation. Transformation is one of the most common ways when artists use objects in their works. Ai transforms Ming dynasty furniture that has high value in antique market into his own works, which alters the value of the objects from antique artifacts to art works. Unlike Ai, Song has made sculptural objects using many common items, such as old and abandoned window frames and door frames. Song also made some installations with his mother, who has a huge collection of old daily supplies. This personal collection brings back the near past of China. Ready-made art works which are made from items that have special values use objects in a context completely different from Duchamp`s. These works emphasize narrativity, strongly show personal preference, and have no hesitation in using visual effects of objects. Decidedly emphasizing tradition and cultural identity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strategies of Chinese modern, and it can be understood in association with the notion of Post-Asianism. Comprehending the strategy and works of contemporary art revealing Chinese tradition and cultural identity is expected to be a significant example for Korean modern art that shares the same task such as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trad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