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온 가공열처리가 AISI H13 열간공구강의 기계적 성질에 미치는 효과

        김대훈,소명기,천성순 대한금속재료학회(대한금속학회) 1981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19 No.1

        An investigation has been performed on the effect of high temperature thermomechanical treatment (HTMT)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especially strength and toughness of AISI H13 hot work tool steel.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HTMT increased the strength and toughness of hot work tool steel. 45% deformation at 980℃ increased the yield strength about 9.9% and the impact energy about 60% compared with conventional heat treatment. The improvement is due to the dispersion of fine carbides precipitates within the martensite lath and the refinement of martensite lath size.

      • KCI등재

        논산 지역 동학농민혁명 연구- 연산 전투, 노성 봉화산 전투, 소토산·황화대 전투를 중심으로

        김대훈 동학학회 2022 동학학보 Vol.- No.61

        Nonsan is an indispensable area for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retreating peasant army around the Second Uprising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after the Gongju Battle. This article is to be studied being limited only in the Nonsan area. Here, there were big events such as the alliance between the two main camps from the north(currently Chungchung Province)- south(Jeolla Province) region, and the Battle of Yeonsan and the Battle of Sotosan-Suhwadae. The study of this region can be said to be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has the symbolism of the junction between two regions and that of advancement and retreat, while spreading the perspectives o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which was viewed only in a specific region, nationwide. In 1984, the Donghak Peasant Army attempted a second uprising, resisting the Japanese military’s armed occupation of Gyeongbokgung Palace. The peasant army from the north and the south gathered at Sotosan Mountain in Nonsan (currently Daelim Apartment and Gwaneumsa Hill), and marched toward Seoul. However, it was blocked by strong resistance from the suppression forces in Gongju. The main camp of the peasant army stayed in Noseong for a while, as seeking to advance again. While carrying out political propaganda work there, a large-scale elite unit with some of new weapons was put into Yeonsan region. It was the largest battle since the Battle of Ugeumchi, currently Yeonsan region. But it failed, and it changed its strategic route originally planned. As if it had expected the pursuit of the suppression forces, the government-Japanese combined forces, it moved to Nonsan in haste. The peasant army returned to Sotosan Mountain, where the North-South allied force formed and unfolded their camps at first. The peasant army could not endure their strong pressure from three directions with new weapons at the forefront of Sotosan Mountain. In the end, it hurriedly moved to Hwanghwadae, currently a mountain behind Daegun High School, which is more advantageous for defense, and prepared for the battle. It was no longer easy to expect a meaningful and successful battle for the discouraged peasant army, mostly being equipped with old-fashioned weapons. It collapsed quickly and retreated toward Jeonju in a hurry. (Sotosan·Suhwadae Battle) And after the Battle of Taein, it was disbanded, looking forward to the potential future. At the end of the disappointing year, it had to find a new way to replace the desperation without hope. 논산지역은 동학농민혁명 2차 봉기시기에 공주전투 이후 후퇴하는 동학농민군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는데 중요한 지역이다. 논산에서 남북 접 동학농민군이 결성되어 공주성 전투에 나섰고, 후퇴한 동학농민군 이 논산 곳곳에서 전투를 치러 진격과 후퇴의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는 지역이다. 전라도 전봉준 중심으로 바라보던 동학농민혁명의 시선을 돌려 전국 적인 사건으로 이해해야 한다는 맥락에서도 논산지역의 동학농민혁명 사 연구는 필요하다. 이 연구는 2차 기포 시기에 남북접 연합 동학농민 군이 결성된 소토산과 연산 전투, 노성 봉화산 전투, 소토산·황화대 전투에 한정하고자 한다. 1984년 6월 일본군이 조선 침략을 위해 경복궁을 무력으로 점령하 자 동학농민군은 2차 봉기에 나섰다. 남북접 연합 동학농민군은 논산 소토산에 집결하여 연합군진을 형성하여 서울로 진군했다. 그러나 동 학농민군은 공주 우금치에서 관·일본 연합군에 패해 물러났다. 동학농민군 본진은 노성에 잠시 머물며 전열을 가다듬고 새로운 진격을 준비했다. 대지휘소에서 정치적 선전 작업을 펼치는 한편, 수습 된 동학농민군 두 정예부대를 투입했다. 연산 전투에는 청주에서 패하 고 내려온 김개남군이 합류함으로써, 우금치 전투 이후에 벌어진 첫 번째 전투이자 가장 큰 규모의 전투였다. 그러나 이 전투에서 동학농 민군은 신식 무기로 무장된 관·일본 연합군에 패했고, 계획했던 전투 전략을 변경하는 계기가 되었다. 동학농민군은 관·일본 연합군의 추격을 예상하고 노성 봉황산을 거 쳐 서둘러 논산 소토산으로 본진을 옮겼다. 소토산은 남북접 연합군이 새 진영을 펼치고 대지휘소를 설치했던 곳이다. 관·일본 연합군이 신 식무기를 앞세워 소토산을 향해 세 방향에서 압박해 들어오자 동학농 민군은 방어에 더 유리한 인근의 황화대로 다시 진을 옮겨 항전에 들어 갔다. 그러나 구식무기에, 사기마저 꺾인 동학농민군에게 전투다운 전 투는 수행하기 어려웠다. 전열이 삽시간에 무너지며, 서둘러 전주 방 면으로 퇴각했다. 그리고 동학농민군은 원평전투와 태인전투를 끝으로 해산했다. 그리고 논산 지역 동학농민군은 가혹한 토벌전에서 희생되었다.

      • KCI등재

        반암 손필규의 생애와 활동

        김대훈 동학학회 2023 동학학보 Vol.- No.66

        이 연구 목적은 논산 지역 독립운동가 손필규라는 인물의 생애와 활동 전반을 규명하는 데 있다. 이는 논산 지역 독립운동사를 체계적이고심층적으로 접근함으로써 지역 인물 연구를 활성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연구는 다섯 부분으로 나누어 전개하고자 한다. 첫째, 손필규의 가계도와 그의 품성과 경제 상황 등에 중점을 두었다. 둘째, 동학의 입도에서부터 시천교를 거쳐 다시 천도교로 돌아오기까지의 과정이다. 셋째, 김낙철 사망 후 그가 독자적으로 활동을 시작하여, 논산 지역 3·1운동과 천도교 특별성미금모금운동까지의 기간이다. 넷째, 3·1운동 이후부터 1938년 무인멸왜기도운동으로 인해 죽음에 이르기까지의 시기이다. 다섯째, 조선총독부의 토지 강탈에 맞서 반환소송을 전개한 활동을기술했다. 연구 방법은 김낙철 일기, 재판기록문, 신문자료, 천도교 관련 기록등에 의존하되, 사료적 한계는 손필규 후손, 김낙철 후손의 증언으로보완했다. 손필규의 행적에서 부족한 부분은 김낙철의 행보를 통해 유추했다. 그는 지역 내 영향력과 활발한 활동으로 말미암아 중요 감시 인물로분류되어 줄곧 일제의 감시 대상이었다. 그는 돈과 권력에 대한 탐욕이없었으므로 위험한 경계에서도 늘 올곧은 신념으로 현명한 선택을 했고, 마지막 순간까지도 신념을 위해 살다 간 인물이었다.

      • KCI등재

        가력하중을 통한 CST30제진댐퍼시스템의 구조성능 평가

        김대훈,이동규,이기학,Kim, DaeHun,Lee, DongKyu,Lee, Kihak 한국공간구조학회 2015 한국공간구조학회지 Vol.15 No.2

        The performance enhancement of various structural building systems from natural hazards has become an inctreasingly important issue in engineering field. In this paper, visco-elastic(VE) CST30 damping systems were tested under cyclic loadings to evaluate their performance in terms of ductility and energy dissipation. Main test variables are relative shear stiffness, rate of loading frequency, and thickness of specimens to evaluate the seismic capacity based on the performance criteria.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using a total of 12 specimens, subjected to cyclic loadings up to a shear deformation of 500%. All the CST30 dampers provided a ductile and stable hysterestic behavior when subjected to the demands of large shear stiffness and different loading frequencies.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CST30 dampers are an effective damping systems to enhance the buildings performance for remodeling and retrofit of buildings.

      • 조기위암에서 E-cadherin, VEGF-C, VEGF-D의 발현과 Cytokeratin 18로 면역화학염색 한 림프절 전이와의 연관성

        김대훈,윤효영,송영진,류동희,민인철,성노현,이상억,Kim, Dae Hoon,Yun, Hyo Yung,Song, Young Jin,Ryu, Dong Hee,Min, In Choel,Sung, Rohyun,Lee, Sang Eok 대한위암학회 2008 대한위암학회지 Vol.8 No.2

        목적: VEGF-C와 VEGF-D는 맥관형성성 인자이고, E-cadherin의 비정상 발현은 위암의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조기위암에서 E-cadherin, VEGF-C, -D 그리고 cytokeratin 18번을 이용하여 정확하게 측정된 림프절 전이와의 연관성을 연구하는데 있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3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49명의 조기 위암환자들을 대상으로 E-cadherin, VEGF-C와 VEGF-D 면역화학염색을 시행하였다. 림프절 전이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49명 환자들의 1,562개의 림프절을 cytokertin 18을 사용하여 재검사 하였다. 결과: 11 (0.7%)개의 림프절이 12.2% (n=6)의 환자들로부터 새롭게 발견되었다. 정확한 림프절 전이는 점막암에서 3.6%였고, 점막하암에서 38.1%였다. 병기 이동은 3명(6.1%)의 환자에서 관찰되었다. E-cadherin의 비정상 발현은 36.7%에서 발견되었고, VEGF-C와 VEGF-D의 발현은 각각 16.3%와 36.7%에서 관찰되었다. E-cadherin의 비정상 발현은 종양의 분화도(P<0.0103)와 Lauren 분류(P<0.0001)와 뚜렷한 연관성이 있었다. VEGF-C와 VEGF-D는 조기위암에서 림프절 전이를 포함한 임상병리학적 연관성이 없었다. 그러나 E-cadheirn이 비정상 발현되고 VEGF-C 또는 VEGF-D의 발현이 동반되는 환자들에서 림프절 전이의 빈도가 높았다(P=0.0031). 결론: 본 연구에서 조기위암에서 림프절 전이와 VEGF-C, VEGF-D의 발현과의 관계를 증명할 수 없었다. 하지만 E-cadherin이 비정상 발현을 하면서 VEGF-C 또는 VEGF-D의 발현을 동반할 경우 림프절 전이와 연관성이 있었다. Purpose: VEGF-C and VEGF-D are angiogenetic factors, and abnormal expression of E-cadherin hasa role in the progression of gastric carcinom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ression of E-cadherin, VEGF-C and VEGF-D with the presence of lymph node metastases (LNM) using cytokeratin 18 in early gastric cancer (EGC). Materials and Methods: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E-cadherin, VEGF-C and VEGF-D was performed in 49 EGC patients from March 1997 to December 2002. To evaluate the real extent of LNM, 1,562 lymph nodes from 49 patients were re-examined with the use of cytokeratin 18. Results: Eleven (0.7%) LNM were newly found in 12.2% (n=6) of patients. The real LNM rate was 3.6% in mucosal invasive (m) cancer and 38.1% in submucosal invasive (sm). Stage migration was seen in three patients (6.1%). Abnormal expression of E-cadherin was detected in 36.7% of the patients and expression of VEGF-C and VEGF-D was detected in 16.3% and 36.7% of the patients, respectively. Abnormal expression of E-cadheri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umor differentiation (P=0.0103) and Lauren classification (P<0.0001). There was no positive relationship of VEGF-C and VEGF-D expression with the clinicopathological findings for EGC including LNM. However, the frequency of lymph node metastase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that demonstrated abnormal expression of E-cadherin with positive immunoreactivity of VEGF-C or VEGF-D (P=0.031). Conclusion: In present study, we could not demonstrate a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ence of LNM and expression of VEGF-C and VEGF-D in EGC. However, VEGF-C or VEGF-D expression, in addition to the abnormal expression of E-cadherin, was correlated with the real extent of LNM in EGC.

      • KCI등재

        지리교과에서 인권 교육의 가능성 탐색

        김대훈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8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6 No.1

        본 연구는 지리교과에서 인권 교육의 가능성에 대해 탐구하였다. 먼저 인권 개념의 형성과 발달 과정을 이론적으로 검토하여 인권 개념을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그 다음 지리교과에서 인권 교육의 가능성을 지리를 통한 인권 교육과 지리적 인권에 대한 교육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지리를 통한 인권 교육에서는 지리교과의 고유한 학습 방법을 적용하여 인권 교육의 가능성을 탐구하였고, 지리적 인권에 대한 교육에서는 주거권, 도시권, 환경권을 지리적 인권 내용으로 개발한 후 지리교육과정과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지리교과는 인권을 교육함으로써 학교교육의 패러다임 변화에 부응하고, 지리교육의 목적인 시민성을 함양하며, 지리교육 내용지식의 원천을 다양화하는 효과가 있지만 사회과 통합 논의에 흡수될 우려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quire into the possibility of human rights education in geography subject. First, after theoretically examining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concept of human rights, the concept of human rights was divided into three types. Next, the possibility of human rights education in the geography subject was explored, as divided into human rights education through geography and education about geographical human rights. In the human rights education through geography, it is explored that the possibility of human rights education by applying a unique learning method of geography subject. In the education about geographical human rights, it is developed that the rights to environment, the right to housing and the right to the city as the geographical human rights contents, and its relevance to the geography curriculum was examined. Finally, by educating human rights, the geography subject had the effect of meeting the changes of the paradigm of school education, cultivating citizenship for the purpose of geography education, diversifying the source of knowledge of geography education contents. But it was pointed out that the possibility of being absorbed in the integrated social studies.

      • KCI등재

        비만 아동의 골격성숙도에 따른 체격, 체력에 관한 연구

        김대훈,윤형기,오세이,이영준,김범준,최영민,송대식,안주호,서동녘,김주원,나규민,오경아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20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7 No.3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ssue in obese children with a high probability of leading to precocious puberty for they have more advanced skeletal maturation compared to normal children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health of obese children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ir skeletal maturation, physique, and physical fitness. A total of 243 obese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1013 were enrolled as subjects, and the skeletal maturation, which symbolize indicators of biological maturation, were evaluated by using the TW3 method after handwrist radiographs, thus classified the skeletal maturation level into retarded group(n=70), normal group(n=128), and advanced group(n=45). A stadiometer and InBody 270 (Biospace, Korea) were used to measure 3 components in physique. A total of 7 components in physical fitness, which included muscular strength, muscular endurance, flexibility, power, cardiovascular endurance, balance, agility, were measured as well. Descriptive statistics and oneway variable analysis (ANOVA) were conducted for data processing using SPSS 25.0, and Duncan's multiplerange method was used for post hoc analysis; and it was considered significant at the level of P< .05.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physique factors according to the skeletal maturation between the retarded, normal, and advanced groups in males and females were highly significant. Second, physical fitness comparison according to the skeletal maturation in mal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muscular strength, power, and agility whereas muscular strength and balan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females. 본 연구는 비만아동의 골격성숙도가 정상 아동들 보다 높고 성조숙증으로 이어질 확률이 높은 것을 문제점으로 삼아 비만아동의 골격성숙도에 따른 체격 및 체력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비만아동의 건강증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10세부터 13세의 비만아동 총 243명을 대상으로 생물학적 성숙지표를 나타내는 골격성숙도는 Xray 촬영 후 TW3 방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골격성숙도에 따른 미숙집단(n=70), 보통집단(n=128), 조숙집단(n=45)으로 나누었다. 체격은 신장계, InBody 270(Biospace, Korea)을 이용하여 3개 항목을 측정하였다. 체력측정은 총 7개 항목으로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순발력, 심폐지구력, 평형성, 민첩성을 측정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5.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일원 변량분석(ANOVA)을 실시하였고, 사후검정은 Duncan's multiple range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P< .05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골격성숙도에 따른 신장과 체중의 체격 요인에서 남자와 여자 미숙집단, 보통집단, 조숙집단 간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골격성숙도에 따른 체력 비교에서 남자의 경우 근력, 순발력, 민첩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여자의 경우 근력, 평형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 KCI등재

        만성요통환자의 복합재활운동이 통증과 정적균형, 재위치감각인지에 미치는 영향

        김대훈 중소기업융합학회 2019 융합정보논문지 Vol.9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apply of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s and lumbar strengthening exercises using Medx machine on back functions such as static balance, lumbar reposition sense, and back pain(VAS) in chronic low back pain. This study divided 30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s who experienced only lumbar back pain(male: 5, female: 10) into a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group and a complex exercise group, and then performed their respective exercise programs for three times a week over a 8-week period. The lumbar static balance, lumbar reposition sense, and lumbar back pain were measured using a pair t-test within each group, and were also compared between two groups using an independent t-test.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Both groups exhibi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s after performing their own exercise program in the static balance, lumbar reposition sense, and lumbar back pain(p<.05). However, the comparison of two groups confirmed that the complex exercise group resulted in greater effects than the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group(p<.05). In conclusion, muscle strengthening and stabilization exercises in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s are considered to not only relieve back pain, but also improve various back functions. 만성요통환자를 대상으로 근력강화운동과 안정화운동을 적용한 복합운동이 정적균형, 요부 재위치감각인지, 요부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방법은 만성요통환자 30명을 복합운동그룹과 안정화운동그룹 등 두 그룹으로 나누워 8주간 주 3회씩 운동을 실시하였다. t-test를 이용하여 그룹전, 후와 그룹간을 비교한 결과 정적균형, 요부 재위치감각인지, 요부통증 모두 두 그룹 운동전, 후에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지만(p<.05), 그릅간에 있어서는 근력강화운동과 안정화운동을 적용한 복합운동그릅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p<.05). 결론적으로 근력강화운동과 안정화운동을 실시한 복합운동이 요통 뿐만 아니라 다양한 요부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