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2016년 여성관리자패널조사

        김난주(Nan-Jue Kim),이승현(Seung-Hyun Lee),박건표(Geon-Pyo Park),이서현(Seo-Hyun Lee),전병유(Byung-Yoo Jeon),박미연(Mi-Youn Park)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6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6 No.-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IMF가 유럽 32개국의 기업 200만개사를 조사한 연구에서 상위 관리직과 임원직에 여성이 더 많은 기업일수록 수익성이 좋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상위 관리직이나 임원 중에 여성이 1명 더 많을수록 자산수익률이 0.01% 더 높아진다는 것이다. 유럽 여성들이 더 많이 경제활동에 참가하는 것이 유럽의 잠재적 성장 둔화를 경감할 수 있는 또 다른 경로라고 분석하였다. Christine Lagarde (IMF총재), 회사에는 더 많은 여성이 필요하다, 허핑틴코리아 2016.3.8.,http://www.huffingtonpost.kr/christine-lagarde/story_b_9405420.html?utm_hp_ref=korea (검색날짜 : 2016.10.31.) □ 우리나라 2015년 15-64세 기준 여성 고용률은 55.7%로 남성 고용률 75.7%에 비해 여전히 20%p나 낮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http://kosis.kr/ (검색날짜 : 2016.10.31.) IMF 연구결과를 볼때 남녀 고용률 격차 축소의 여성고용률 양적 확대와 이를 기반으로한 상위 관리직에서의 여성 임원 비율 상승은 개별 기업의 성과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국부 확대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관련하여 최근 CEO스코어에서는 국내매출액 500대 기업에 대해 여성 차별을 측정하는 성별다양성지수를 분석한 결과 여성고용비중이 높은 기업에서 여성임원비중이 높다는 것을 발표한 바 있다. 장우진 기자, 여성비중 높은 기업 여성임원도 많다, ceo스코어데일리 2016.6.8.,http://www.ceoscoredaily.com/news/article.html?no=21414 (검색날짜 : 2016.10.31.) □ 여성관리자패널조사는 기업과 가정 속에서 여성관리자를 둘러썬 조직적·개인적·상황적 환경 속에서 경력을 유지하는 과정에 대해 조사하고 관련 통계자료를 구축하는 것이 목적이다. 2. 2016년 연구 사업 내용 □ 여성관리자패널조사 포럼 개최 □ 6차 웨이브 조사 결과 완료 및 횡단 가중치 부여 □ 6차 웨이브 조사 결과 기초분석 및 심층분석 □ 여성관리자패널 조사 결과 확산 학술대회 개최 □ 여성관리자패널 유지 활동 - 뉴스레터 및 손 편지 발송, 생일축하 이벤트 실시 - 여성관리자패널 홈페이지 관리, 원자료 상시 제공 3. 여성관리자패널조사 추진 과정 가. 조사 대상 □ 여성관리자패널조사의 조사 대상은 100인 이상 규모 기업에 종사하고 있는 대리급 이상 여성관리자이다. 100인 이상 규모 기업 중 조사 대상 업종은 2007년 1차는 ‘제조업’, ‘도소매업’, ‘금융업’, ‘사업서비스업’ 4개였고 신규표본을 추가한 2012년 4차 조사부터는 전체 업종으로 확대되었다. □ 여성관리자패널조사는 기업의 인적자원관리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여성관리자가 속한 기업에 대한 조사를 병행한다. 나. 조사진행 □ 2007년 1차 조사에서 구축된 여성관리자는 2,361명이다. □ 여성관리자패널조사의 유효표본 대비 유지율은 2차 79%, 3차 75%를 기록하였다. 신규표본이 추가된 4차 조사의 기존표본 유지율은 61%이다. 5차 조사의 유효표본 대비 유지율은 62%(기존 53.3%, 신규 86.0%)이다 □ 2016년 조사는 전체 원표본(3,279명) 중 120명은 출산휴가/육아휴직, 휴직, 해외파견으로 조사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유효표본 3,159명 중 1,762명에 대해 조사 완료하여 원표본 유지율은 55.8%이다. 패널 유형별 유지율은 기존패널 47.8%, 신규패널 77.5%이다. 다. 횡단 가중치 부여 1) 모집단 □ 가중치 부여는 2012년 100인 이상 기업 대상 여성관리자 실태조사를 통해 구축한 ‘100인 이상 대리급 이상 여성관리직’을 모집단으로 활용한다. 여성관리자패널조사는 2012년 4차 조사에서 신규패널 추가를 위해 KDN(코리아데이타네트워크)에 의뢰하여 NICE신용평가의 기업 정보를 기반으로 100인 이상 사업체에 대한 여성관리자 현황을 조사하였다. □ 2012년 조사 모집단은 나이스신용평가 DB에서 100인 이상 기업체 9,182개를 선정하고 이 중에서 4,078개사가 조사에 성공하였다. 완료된 기업 중 여성관리직 현황에 대해 파악가능한 기업은 3,720개이다. 2) 2016년 조사 결과 □ 2016년 6차 여성관리자패널조사 결과 여성관리직이 소속된 기업체 수는 총 423개, 이 중에서 100인 미만 기업체 수는 53개, 따라서 2016년 현재 100인 이상인 기업체 수는 370개이다. 3) 횡단 가중치 부여 □ 가중치는 6차 조사 시 100인 이상 기업 370개에 종사하고 있는 1,309명을 대상으로 작성하였다. □ 기업가중치 - NICE신용평가 모집단은 9,182개이고, 100인 이상 사업체로 조사성공한 기업이 422개이다. 다만, 산업별*규모별 여성관리직이 없다고 응답한 비율을 고려하여 모집단을 조정해야 한다(산업별*규모별 ‘여성관리직 없는 기업 수’ 비율 noratio 변수). 조정한 후 전체 모집단은 7,656개이다. According to the research which surveyed 2 million businesses of 32 European countries and was published by IMF in March 2016, businesses with more women in the top management and executive positions showed higher profitability. One more woman in the top management and executive positions is translated into 0.01% higher returns on assets. The research indicates that higher profitability will increase investments and productivity, and that more European women engaged in economic activities will be the solution for potential growth slowdown of Europe. The employment rate of women aged between 15 and 64 was 55.7% in 2015, which is still 20%p lower than 75.7% of the employment rate of the male counterpart. The IMF research has valuable implications for Korea where the gap between employment rates of men and women aged between 15 and 64 reaches 20%p, as we can reach the conclusion that qualitative increase of the employment rate of women and the increase of the percentage of female executives in the top management will contribute to the growth of the national wealth of Korea as well as the business results of individual enterprises. CEO Score analyzed the gender diversity index measuring discrimination for women at 500 enterprises, and concluded that enterprises with higher percentages of women employed have higher percentages of female executives. It is only natural that enterprises with higher percentages of women employed have higher percentages of female executives, and indicates that increased employment of women should be a precondition to enable women to be promoted to executives. Korean Women Manager Panel is the nation s only research to identify the status of businesses use of female human resources and acquire basic data about individual female managers career development and competency building within enterprises; and tracks female managers promotion paths from assistant managers to executives. The 6th survey for 2016 Korean Women Manager Panel was completed in 2016. 1,762 out of 3,159 valid samples of Women Manager Panel were surveyed, recording the sample retention rate of 55.8%. To promot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2016 Korean Women Manager Panel conducted the graduate thesis competition using Korean Women Manager Panel data in 2016 for the first time since the first Korean Women Manager Panel survey was conducted in 2007. The best thesis won the prize of the Minister of Gender Equality and the prize of President of Family and Korean Women s Development Institute. In addition, the first academic seminar was held in 2016, and produced 19 papers analyzing movement of female managers in the labor market and various issues related to female managers including career-interruption, the work-life balance, promotion and career development. 2016 Korean Women Manager Panel also conducted a research program to build rapport with panels and increase the panel retention rate. 2016 is the year when the 6th wave survey is completed, and the hand-written letters were sent to the panels whose participation in the previous five surveys was not consistent to encourage their participation. Korean Women Manager Panel distributes newsletters every other year. Panels participating in Korean Women Manager Panel were invited to write for the 2016 newsletter, which featured female managers essays about their life and work.

      • KCI등재
      • KCI등재

        일본문학에 나타난 일부다처제하 여성상 고찰을 위한 시론(試論) -상대(上代)에서 중세(中世)까지-

        김난주 ( Nan Ju Kim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3 동방학 Vol.28 No.-

        본고에서는 일본 문학에 등장하는 여성들이 일부다처제라는 사회구조 안에서 그들의 삶에 대처하는 방식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서 여성에 대한 이해가 각 시대별로 어떻게 달리 나타나는지를 특히 상대에서 중세까지를 중심으로 조명하고자 하였다. 상대 『古事記』, 『日本書紀』는 일부다처를 둘러싼 사랑과 질투의 감정을 솔직하게 드러내고 이를 긍정하였다. 한편 고대 『日本書紀』와 『新猿?記』에는 일부다처제하 남성의 사랑과 관심에 의지해서 살아가는 여성들의 불안이 형상화되었는데 여기에는 일부다처의 남편을 통해서 자신의 인생을 완성할 수도 없고 장래를 보장받을 수 없다는 절망감이 내재되어 있었다. 한편, 중세사회 자신의 실력으로 가정과 세상을 이끌어가는 여성상이 부상하면서 문학에서는 남성의 일방적 性의 자유에 저항하는 여성상이 등장한다. 교겐에서는 그것이 남편과 드잡이하는 아내와 쫓겨 가는 남편으로 형상화되었다. 또한 오토기조시(御伽草子) 「사이키」에는 가족이라는 속박과 불평등한 부부관계를 깨고 가치 있는 삶의 의미를 찾아 떠나는 독립적 여성상이 제시되었다. 특히 여성 주인공들이 처첩 관계 속에서도 서로를 적대시하지 않고 남성과 여성, 사회적 굴레와 자아실현이라는 구도 속에 동지적 결합을 보여주고 있다는 측면에서 앞선 작품들보다 진일보한 면모를 보여 주고 있다. 이상의 고찰에 의해 일부다처제에 대처하는 여성의 자세는 역사의 흐름과 함께 꾸준히 진보하는 방향으로 흘러왔으며 중세 문학은 그러한 여성상을 가장 다이내믹하게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일제강점기 향토오락 진흥정책과 민속놀이의 전개 양상

        김난주(Kim Nan-Ju),송재용(Song Jae-Yong) 비교민속학회 2011 비교민속학 Vol.0 No.44

        본고는 193, 40년대 쇠멸해 가던 우리의 민속놀이가 급부상하는 사회 문화적 배경 가운데 특히 향토오락을 둘러싼 일제의 문화정책의 추이를 살펴보고,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민속 놀이가 어떠한 양상으로 전개되었는지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본고에서는 일제강점기 간행된 제 자료 및 신문 잡지 등과 같은 정기간행물을 통해, 조선 향토오락 진흥책이 1930년대 전반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음을 확인하고 그 정책 방향과 양상에 대해 고찰하였다. 1937년 조선총독부는 조선 농촌오락의 선택 기준과 지도 방침에 대해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 실시안에 대한 구체안을 만들어 각 지역 농산어촌에서 실시 하도록 하였는데, 본고에서는 1934년 조선총독부 경기도 지방과에서 발행한 『農村娛樂行事? 附立春書例示』를 통하여 그 일단을 살펴보았다. 관 주도의 선동적인 향토오락 장려운동이 실효를 거두지 못한 가운데, 근대시기 민속놀이는 향토와 세시공간을 떠나 〈대회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씨름, 윷놀이, 그네, 줄다리기 대회는 주로 대형 신문사나 지방 행정관청에서 후원 또는 주최하며 수 천, 수만의 관중을 동원하는 양상을 보였다. 근대시기 성행한 민속놀이 대회는 일제강점기 기획된 향토오락 진흥정책에 의해 묵인되고 양산된 측면이 강하다. 또한 그것은 전승 공간과 놀이 주체자를 더욱 확장하고 도시화했다는 점에서 민속놀이 전승 방식의 근대적 변모 양상이라 할 수 있겠다. This paper traces the changes of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s cultural policy amongst the cultural background while Korean folk entertainment was promoted as indigenous entertainment, and also researches how folk entertainment was developed in such historical background. This paper, through various materials and periodical publications such as newpapers and magazines, confirms that the promotion policy for Joseon’s indigenous entertainment begins in earnest in early 1930’s, and studies the direction and progress of the policy. In 1937,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in Joseon provided the guideline for selecting Joseon’s rural entertainment and instruction policy. Moreover, the colonial government set the applied the practical methods for the guideline into each agricultural and fishing area. This paper examines a case through “the Reframing of Rural Entertainment Event: Examples for Caligraphy for Beginning of Spring” published by gaming department of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in Joseon. While those agitative promotional movement for folk entertainment by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could not provided effective results, the modern folk entertainment, separated from rural area and from times and seasons, had tendency to become ‘contest’. Especially, the contests of ssireum(korean style sumo), yut-nori, swing, tug-of-war were hosted or sponsored by newspapers and local governments, and attracted some thousands of audiances. The boom of modern folk entertainment contests could be said to be the phenomenon controled by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s promotional policy. Also, the fact that the boom expended the transmissional area and subjects joining the events and urbanized the folk entertainments can be understood as the modern transformation of folk entertainment transmission methods.

      • KCI등재후보

        세대별 성별 임금격차 현황과 시사점

        김난주(Nan-Jue Kim) 이화여자대학교 젠더법학연구소 2017 이화젠더법학 Vol.9 No.2

        본 연구는 통계청의 「2016. 8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원자료를 활용하여 남녀 임금근로자의 연령별 임금함수를 추정하고 Oaxaca-Blinder의 임금분해 방법을 이용하여 성별 임금격차 요인을 분석하였다. 시간당 임금 기준으로 성별 임금격차는 전 연령은 5,534원이며 연령별로 15~29세는 530.6원, 30~54세는 6,027원, 55세 이상은 6,257원으로 55세 이상의 시간당 성별 임금격차가 가장 컸다. Oaxaca-Blinder의 방법을 통해 임금격차를 설명되는 차이(explained)와 설명되지 않는 차별(unexplained)로 분해한 결과 차별이 차지하는 비중은 전 연령은 63.7%이며 55세 이상은 45.5%로 가장 적고 15~29세는 차별이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높았다. 이는 2009년 이후 여성의 대학진학률이 남성을 상회하는 등 최근 여성인적자원이 높아졌음에도 불구하고 여성인력에 대한 임금으로 나타나는 평가와 처우는 개선되지 않고 있음을 의미한다. 설명되는 차이 중에서는 전 연령에서는 근속년수가 차지하는 비중이 21.9%로 가장 높았다. 30~54세와 55세 이상에서도 근속년수가 차지하는 비중은 18.1%과 20.1%로 높은 편이었다. 성별 임금격차 분석 결과 15~29세 청년층은 임금 결정의 차별적 요소를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며 30~54세, 55세 이상은 설명되는 차이 중 근속년수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았는데 이는 성별 임금격차를 줄이는데 여성근로자의 경력유지가 중요함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30~54세는 근속년수 외에 직업교육훈련, 노동조합의 유무여부가 설명되는 차이에서 성별 임금격차를 확대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으며 노동조합 유무여부는 55세 이상에서도 성별 임금격차 감소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일자리 특성에서 특정 산업과 영세 규모에서의 여성집중은 전 연령대에서 성별 임금격차를 늘리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성별 임금격차 해소를 위한 직접적인 정책으로는 근로자의 동료 임금 정보 청구권, 기업 전체의 직급별 직종별 성별임금 현황 공개 정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설명되지 않는 임금 차별 개선을 위해서는 채용에서부터 배치, 승진, 해고에 이르는 노동시장 전반의 성차별 고용 관행의 해소가 중요하다. This study aims to estimate the wage function of male and female workers by age using the raw data of the August 2016 additional survey by type of employment of the survey on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and to analyze the factors causing the gender wage gap using the Oaxaca-Blinder wage decomposition method. The gender wage gap per hour of all age groups was KRW 5,534, that of the group aged between 15 and 29 was KRW 530.6, that of the group aged between 30 and 54 was KRW 6,027 and that of the group aged 55 or older was KRW 6,257, making the group aged 55 or older the group with the largest gender wage gap per hour. According to results of decomposition of the wage gap into the explained gap and the unexplained gap using the Oaxaca-Blinder method, the percentage of unexplained gap was 63.7% in all age groups. That of the group aged 55 or older was 45.5%, which was the lowest, while that of the group aged between 15 and 29 was the highest. The year of service accounted for 21.9%, which was the highest share, of the explained gap of all age groups. The year of service accounted for relatively high percentages of 18.1% and 20.1% of the explained gap of the group aged between 30 and 54 and the group aged 55 or older, respectively. According to results of analysis on the gender wage gap, it is critical to eliminate the factor causing wage discrimination in decision-making regarding wages for the group aged between 15 and 29, while it is critical for female workers to maintain their career in the group aged between 30 and 54 and the group aged 55 or older to narrow down the gap in the year of service, which is a factor causing the explained gap. Other factors causing the gender wage gap of the group aged between 30 and 54 included vocational training and labor unions in addition to the year of service, and the labor unions may also increase (or narrow down) the gender wage gap in the group aged 55 or older.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jobs, concentration of female workers in specific industries and small-scaled businesses may increase the gender wage gap in all age groups.

      • KCI등재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과 재취업 이후 고용유지 분석

        김난주(Nanjue Kim)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16 産業關係硏究 Vol.26 No.2

        본 연구는 여성가족부가 2013년에 실시한 「경력단절여성 등의 경제활동실태조사」 원자료를 이용하여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 결정요인과 재취업 이후 고용유지 요인에 대해 각각 콕스비례위험모형과 이항로짓모형으로 분석하였다.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은 대졸 이상과 경력단절 당시 일자리 임금수준이 높을수록, 단순직보다는 나머지 직종, 제조업에서 일한 경우, 비임금근로자 보다는 임금근로자들의 재취업이 빨랐다. 경력단절 경험 후 재취업한 경력단절여성들의 고용유지는 무배우자인 경우, 재취업 목적이 생계책임인 경우, 경력단절 이후 직업훈련을 받은 경우 고용유지 확률이 높았다. 또한, 재취업한 일자리가 임금(소득)이 낮을수록, 근로시간이 짧을수록, 100인 이상보다는 30인 미만에서 일한 경우 고용을 유지할 확률이 높았다.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과 재취업 경력단절여성의 고용유지 분석 결과를 통하여 재취업은 고학력자들이 빨랐지만 그러한 여성들이 고용을 유지하는 데는 학력효과는 없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무배우자로서 생계책임의 경력단절여성들이 고용을 유지할 확률이 높아 경력단절을 경험한 여성들이 경력단절 이전 일자리로의 복귀가 어려운 가운데 일을 통한 자기계발보다는 부양자일 때 낮은 임금을 감수하고 일자리를 유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8세 이하 자녀가 없는 경우 재취업 이후 고용을 유지할 확률이 높은 것에서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 유지를 8세 이하 자녀를 믿고 맡길 수 있는 공보육서비스 확충이 필요함을 재확인하였다. 재취업 경력단절여성의 고용유지를 위해서는 경력단절여성의 경력 감소 상쇄를 위해 경력단절여성 대상 직업교육훈련 확대와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에 대한 정부 지원의 필요성을 시사점으로 도출하였다. This research analyzed the factors of deciding the reemployment of the career-interrupted women and of maintaining the employment after reentry to the labor market with Cox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 model and Binary Logit Model respectively based on the source material, ‘Survey on the economic activity status of the career-interrupted women’ conducted in 2013 by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In case of career-break women’s reentry to labor market, as women have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University graduate or above), had higher income level at a time when breaking the career, worked at the manufacturing industry or other working field rather than menial jobs and were a paid worker, not an unpaid worker, they could be employed again faster than others. In case of maintaining the reemployment of the career-interrupted women after experiencing the career-break, the probability of maintaining the career is higher when the women are spouse-less, have to earn a living or got a vocational training after the career-interrupted periods. Also, as the reemployed job has a lower income level, shorter working hours and less than 30 personnel rather than more than 100 personnel, the probability of maintaining the reemployed job is getting higher. The result of analyzing career-interrupted women’s reentry to labor market and maintaining the reemployment shows that women with higher education are reemployed faster than others but there is no academic effect in maintaining the employment. The career-break women who are a spouse-less and a breadwinner show higher probability in keeping the employment. While career-interrupted women face hard conditions of returning to the job before interrupting the career, it was figured out that women accept low wage and maintain the job when she works to earn a living not to improve herself. To maintain the employment after the career-interrupted women reenter the labor market, it is needed to offset the career plateau of the career-interrupted women: this research draws an implication that there is a necessity of extending Technical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TVET) and governmental support on qualified flexible part-time job.

      • KCI등재

        문화전통의 계승과 시각장애인 직업재활 측면에서 본 맹인 점복업

        김난주(Kim, Nanju)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2009 장애와 고용 Vol.19 No.1

        이 글은 전통 민간신앙의 한 분야인 맹인 점복의 역사를 통시적으로 살펴보고 현대 사회에 있어 맹인 점복의 현황과 문제점을 진단한 것이다. 이를 통해 장애인의 직업재활이라는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소멸되어 가는 문화전통을 보호한다는 측면에서 맹인 점복업에 대한 지원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그 방향에 대해 제언하고자 하였다. 먼저 맹인 점술이 오랜 역사를 지닌 우리 문화 전통의 한 부분임을 논증하기 위해 맹인 점술의 유래에 대해 고찰하였다. 손진태 등에 의해 고려 중엽으로 추정되어 온 맹인 점복가 盲僧의 유래에 대해서는 이제까지 논의되지 않았던 일본 盲僧이 이미 8세기 이전 규슈 지방에서 讀經과 逐鬼, 점술의 역할을 수행해온 사실을 소개함으로써 한중일 맹인 점복의 전파 경로에 대해 되짚어보고 한반도 맹승의 기원이 고려 이전 고대시대까지 소급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다음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조선시대 국가 차원의 보호 정책에 의해 맹인 점복가가 관상감 등의 관직에 등용되어 활약한 사실과, 조선조 맹인집회소인 明通寺, 盲廳을 중심으로 전개되어온 맹인 점복가들의 활동상을 재조명해 보았다. 또한, 개화기와 일제강점기로 대변되는 근대시기 맹인 점복이 사회적으로 어떻게 인식되고 또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신문 일간지 등의 매체를 통해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현재 단절의 위기에 처해 있는 맹인 점복의 현황을 살펴보고 문화전통의 계승과 시각장애인 재활이라는 차원에서 맹인 점복을 지원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성북구 동선동에 밀집해 있는 시각장애인 점성촌의 사례와 맹인역리학회에서 주관하는 맹인 역학 양성 교육 현장을 탐문 조사한 사례를 제시하였다. This article is to chronologically examine the history of the blind's fortunetelling which has functioned as a huge axis of folk religion in traditional societies and to diagnose the phenomena and matters of the blind's fortunetelling in contemporary society. This perceives the matter of the blind's fortunetelling which is decaying as the discontinuity of the cultural heritage which has the everlasting history. Furthermore, this is based on the conception that the matter of the blind's fortunetelling is needed to be more deeply discussed from the viewpoint of the self-support of the blind. This article firstly examines the origination of the blind's fortunetelling in order to verify that the blind's fortunetelling is a part of our cultural heritage with a long history. Regarding the origination of 'maengseung', the blind fortuneteller, which is presumed up to the mid-Koryo dynasty period by Sohn JinTae and others, this article introduces the fact that Japanese blind fortuneteller had performed text-reading, exorcism, and fortunetelling as early as 8th century so that the spread route of the blind's fortunetelling throughout Korea, China, and japan is studied; thus this article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the origination of maeseung can be traced back before Koryo dynasty period. Nextly,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es, this article clarifies the fact that the blind fortunetellers were hired to the positions in Gwansang-gam and became involved into the state affairs, and the activities and lives of the blind fortunetellers who were centered in 'myeongtongsa' and 'maengcheong' which were the blind's gathering posts during Choseon dynasty period. Also, how the blind's fortunetelling was socially perceived, during the modern period which is represented as gaehwagi and the Japanese colonial occupation era, in the process in which our folk religions were considered as superstition is discussed depending on the media such as daily newspapers. Finally, the final chapter suggests that the support for the blind's fortunetelling is necessary for the succession of the cultural heritage of the blind's fortunetelling facing the threat of disappearance and additionally for the self-support of the blind people. For this, the case of Jeomseongchon in which the blind live together in Seongbuk-gu Dongseondong and the case that studies the blind's fortunetelling education hosted by the Blind's fortunetelling academy are provided.

      • 근로자 모성보호 최근 연구 동향 및 시사점

        김난주(Nan-Jue Kim),박건표(Geon-Pyo Park),박미연(Mi-Youn Park)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6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6 No.-

        The current government set 70% of the employment rate as the national target when it first took office. The government recognized that the employment rate of women which is 20%p lower than that of men should be increased to achieve the employment rate of 70%; and implemented the nation-wide measure to support career maintenance of working women at each life stage, in order to increase the employment rate of women. The government policy to increase the employment rate of women stimulated discussions on the work-life balance of male and female workers, and the scope of the policy was also expanded to include the above. This is attributed to building of the social consensus that the employment rate of women should be increased for the work-life balance of the society rather than just for women, as Korea faces a rapid decline of the employment rate due to career-interruption of women, caused by pregnancy, childbirth and child care, which has not been witnessed in any other countries. The discussion on the work-life balance of workers, which began with increase of the employment rate of women, is being evolved into the paradigm shift of the society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all citizens amid aging and the low birth rate. As a result of the government s powerful and wide policy efforts for the work-life balance of workers, based on the social consensus, men accounted for over 5% of all workers who took the parental leave in 2015, which is 13 years after the parental leave benefit was adopted in November 2001. The percentage of 5% indicates that male workers who take the parental leave will and should increase further. The systems which should be operated for the work-life balance are represented by the maternity leave system and the parental leave system. In addition, Korea has also adopted the system of reduced working hours during the period of child care, the paternity leave system,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and the system of reduced working hours for a pregnant employee, which match the level of advanced countries systems enabling the work-life balance of workers. The current government expanded, reinforced and adopted the maternity protection system of workers. Against this backdrop, this research analyzed the recent trends of research on related systems. This research aimed to identify policies actually adopted and those which were not; and identify areas to be improved by businesses and the society and new policies to be adopted through analysis on previous studies. The scope of maternity protection system of workers was limited to the maternity leave system, the parental leave system, the system of reduced working hours during the period of childcare, employer-supported childcare centers, the paternity leave system and the system of reduced working hours for a pregnant employee. This research includes the following policy suggestions based on analysis on the status of use of the described systems and the comparative analysis on the results of related researches. First, the support for employees and employers should be expanded, the number of days of paternity leave should be increased, the parental leave of men should be expanded and mandated, and establishment and support of employer-supported childcare centers should be provided, in order to support female workers return to the labor market and their career maintenance as well as the paternity right of male workers.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현 정부는 출범 초기 고용률 70% 달성을 국정 목표로 설정하였다. 이에 고용률 70% 달성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남성 보다 고용률이 20%p 내외 낮은 여성고용률 상승이 필수 조건임을 인식하여 여성고용률 제고를 위해 범정부 차원의 정책을 추진하였다. 정부의 여성고용률 제고 추진 정책은 여성에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이제는 남녀 근로자의 일가정 양립으로 논의와 정책 기조가 확장되고 있다고 본다. 세계에서 유례없이 여성의 경우 임신출산육아로 인한 경력단절로 고용률 급감이 나타나는 한국 현실에서 여성고용률 제고가 여성만의 문제가 아니라 남성, 기업, 사회가 일과 가정의 양립을 위해 변해야 한다는 사회적 합의가 도출되고 실천에 이르게 된 것이다. 사회적 합의하에 근로자의 일·가정양립을 위한 전 방위적인 정책 추진은 2001년 11월 육아휴직급여 도입 이후 2015년에 처음으로 전체 육아휴직자 중에서 남성이 차지하는 비율이 5%를 상회하는 수준에 이르러 매우 고무적이다. □ 모성보호 제도의 범위에 대한 논의에 앞서 모성휴가제도와 부성휴가제도로 제도를 분류하기도 한다. 장지연 외(2013)는 네 가지 휴가·휴직제도(Leave Policies)로 범주하였는데 모성휴가(maternity leave), 부성휴가(paternity leave), 부모휴가(parental leave), 육아휴가(childcare leave) 등이다. 장지연 외(2013)는 이 제도가 우리나라의 출산전후휴가, 배우자출산휴가, 육아휴직제에 상응하며, 마지막 육아휴가(childcare leave)는 자녀가 아프거나 급박한 일이 있을 시 장기간 휴가를 사용하는 것으로 부모휴가와 구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고용노동부의 고용백서에 따르면 모성보호는 모성건강과 안전, 모성휴가제도로 국한하고 양육지원이나 육아휴직제도는 일·가정 양립 지원으로 분류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모성휴가를 의미하는 출산전후휴가와 부성휴가를 의미하는 배우자출산휴가와 일가정 양립 지원으로 분류할 수 있는 제도까지를 모성보호를 위해 확장된 제도로 간주하고 관련 제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최근 관련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개별 연구 결과를 파악하여 기존 연구 결과의 현실 반영 여부를 확인하고 신규 정책을 발굴하고자 한다. 2. 연구내용 및 방법 □ 연구내용 - 근로자 모성보호 관련 정부 정책 현황 파악 - 근로자 모성보호 관련 통계 분석 - 최근 5년 이내 근로자 모성보호 관련 선행 연구 리뷰 - 근로자 모성보호 지원 신규 정책 발굴 및 제안 □ 연구 방법 - 문헌 연구 - 통계 분석 - 전문가 자문 회의 3. 모성보호제도 현황 □ 모성보호 제도는 출산전후휴가, 육아휴직, 배우자출산휴가, 육아기근로시간단축, 직장어린이집, 임신기근로시간단축제로 한정하였다. - 출산전후휴가: 출산전후휴가는 1953년 근로기준법 제정시 60일의 출산전후휴가제도로 도입되었고 2001년 11월 휴가기간을 종전 60일에서 90일로 확대하면서 확대된 30일분 급여를 사회 분담화하여 고용보험에서 지급하기 시작했다. 출산전후휴가는 1인 이상 전 사업장에서 근무하는 임신한 여성 근로자 모두가 사용할 수 있다. - 육아휴직: 육아휴직제도는 1987년 남녀고용평등법 개정시 최초 무급으로 제도가 도입되었고 2001년 11월부터 고용보험기금에서 육아휴직급여를 지급하기 시작하였다. 1년 이상 근무한 근로자가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입양한 자녀 포함)를 양육하기 위하여 육아휴직을 신청하는 경우에 이를 허용하여야 한다. 육아휴직기간은 1년 이내이며, 근로자는 육아휴직을 1회 분할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육아기근로시간단축제 사용기간을 합하여 1년을 초과해서는 안 된다. - 배우자출산휴가: 2007년 남녀고용평등법 개정시 아내가 출산한 경우, 남성 근로자는 배우자를 돌보기 위한 휴가를 사용할 수 있도록 배우자출산휴제도가 도입되었다. 사업주는 근로자가 배우자의 출산을 이유로 휴가를 신청하는 경우 5일의 범위에서 3일 이상의 휴가를 주어야 한다(3일 유급). 배우자 출산 시 모든 남성근로자가 사용할 수 있다. - 육아기근로시간단축제: 직장어린이집은 2005년 영유아보육법에 설치의무에 관한 조항이 신설된 것이 시초이다. 직장어린이집 설치 대상은 상시 여성근로자 300명 이상 또는 상시 근로자 500명 이상 고용하고 있는 사업장이다. 설치 대상 사업장의 사업주가 직장어린이집을 단독으로 설치할 수 없을 때에는 사업주 공동으로 직장어린이집을 설치·운영하거나, 지역의 어린이집과 위탁계약을 맺어 근로자 자녀의 보육을 지원하여야 한다.

      • KCI등재

        <문화, 문학> : 한일(韓日) 산육신(産育神) 비교 연구

        김난주 ( Nan Ju Kim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5 비교문화연구 Vol.39 No.-

        This thesis comparatively looks into folklore faiths, expecially child-birth gods related to child-birth customs and aims to find out both nations’ faith in child-birth gods and their features. It looks into birth gods protecting delivering mothers and babies by appearing at the delivery sites at time of delivery and child-rearing gods intervening in growth of babies after they are born. In both nations, many gods are believed in for selection of babies, safe delivery and their healthy growth but those appearing at delivery sites are only birth goddesses called Samsinhalmony and Obugami. What make this phenomenon appear in both nations’ folklore faiths? Seeing the reason in the fact that common negative concept regarding childbirth exists in both nations’ established faiths, the writer comparatively analyzed various cases of delivery-related defilement in both nations’ delivery customs. Its result showed that Japan is stronger in delivery-related defilement concept than Korea is. For instance, Japan regard child birth-related defilement more horrible than that related to funeral. Pursuantly, in Japan stricter regulations on childbirth rooms and stricter taboos for babies have been passed down. Besides, in the process of its comparative study on both nations’ divine images and appearances, the writer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unlike Japan’s mountain gods and restroom goddesses appearing at delivery sites, they don’t get involved in childbirth in Korea and discussed Japan’s theory of reincarnation and its mountain goddess’ marginal nature working behind the curtain. I also discussed the phenomenon that both nations’ childbirth gods are passed down as Three gods, which means that their faith in childbirth gods has to be seen as a result of the faith in childbirth gods interacting with the faith in Three gods or the Three-gods theory, accordingly I indicated that it is worth re-consideration to see the Three-God Theory as the core of the faith in Samsinhalmoni. Lastly, though in both nations’ childbirth faith underlies their fear for divine beings, the faith in childbirth gods, strongly coupled with death heritages, is distributed throughout the nation, which is because Japan’s childbirth gods intervening in birth and growth of a new life also actually involve themselves deeply in the sphere of death as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