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문간호사가 주도하는 급성대동맥증후군 환자의 병원간 다이렉트 전원(direct interhospital transfer)의 임상 결과

        김나리,장미자,최남경,최지연,김미경,최수정 한국중환자간호학회 2020 중환자간호학회지 Vol.13 No.2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clinical outcomes of direct interhospital transfers (IHTs) of patients with acute aortic syndrome (AAS) led by advanced practice nurses (APNs). Methods : From September 2014 to June 2017, the study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183 patients with AAS who were transferred to a high-volume tertiary hospital. Results : One hundred forty-eight (81%) patients were admitted through direct IHTs, and 35 (19%) patients were admitted through non-direct IHTs. The direct IHT group had a significantly shorter time from symptom onset to hospital arrival than the non-direct IHT group (11.4 vs. 32.1 h, p =.043).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other clinical outcomes, such as peri-transfer status, mortality, hospital length of stay, and readmission,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direct IHT group, 55% of transfers were led by APN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utcomes between APN- and physician-led transfers. Conclusions : Implementation of direct IHTs markedly shortened the time from symptom onset to hospital arrival in patients with AAS. Finally, direct IHTs can potentially improve the outcomes of patients with AAS, a condition with time-dependent mortality and morbidity. In addition, APNs can effectively lead the direct IHT of patients with AAS.

      • 연령주의 관점에 근거한 노인복지주택 거주민의 주거공간인식

        김나리 서울大學校 社會科學大學 地理學科 2014 地理學論叢 Vol.59·60 No.-

        우리나라 노인복지주택은 고가의 분양가와 생활비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한정된 노인인구 집단만이 소비 할 수 있 고 거주 가능한 노인들은 시장경제 원리에 따른 노인차별적인 배타적 연령주의와는 무관한 집단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본 연 구에서는 노인복지주택 거주민들을 대상으로 노인복지주택의 공간적 속성을 규명하고, 연령주의 관점을 적용하여 거주민들 의 주거이동 메커니즘을 탐색 해 봄으로써 주거공간 변화가 거주민들의 연령주의 인식에 미친 영향을 거주민의 주거공간인 식을 바탕으로 구분하였다. 연구 결과 노인복지주택 거주민들은 대부분 고학력, 고소득으로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았고, 주 거공간 변화로 인해 주거 소비·생활 행태도 이전과는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한편, 거주민들은 주거이동 이전과 이후 에 경험한 연령주의 인식 변화에 따라서 각기 다른 주거공간인식을 나타냈다. 거주민들의 주거공간인식은‘노화현상에 대처 하기 위한 공간’,‘ 연령주의로부터 분리된 공간’,‘ 연령주의를 지속시키는 공간’,‘ 연령주의를 유발하는 공간’등 4 가지 유 형으로 구분되어 나타낼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노인인구 집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상관없이 공간 환경의 변화가 노인 들의 연령주의 인식에 강한 영향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들의 공간인식에 대한 이해 없 이 물리적 공급에만 치중 한 현 노인복지 주택 정책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 KCI등재

        전신마취 하 흉복부 대동맥 질환의 혈관 내 스텐트 그라프트 삽입술의 30일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

        김나리,최시진,유병훈,이상석,김계민,연준흠,이우용,김문철 대한마취통증의학회 2019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Vol.14 No.3

        Background: Recently, endovascular aortic repair (EVAR) and thoracic endovascular aortic repair (TEVAR), have been used for treatment of thoracic and abdominal aortic aneurys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outcome and predictors for 30- day mortality and complications, in patients that underwent EVAR and/or TEVAR under general anesthesia. Methods: In this study, 151 cases of EVAR and/or TEVAR under general anesthesia in 140 patients during 2009–2017 were studied. The primary outcome was 30-day mortality after surgery.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clarify risk for postoperative 30-day mortality. Results: Postoperative 30-day mortality rate was 9.9% in the study population (10.3% in EVAR, and 9.3% in TEVAR, respectively). Seventy-two cases (47.7%) experience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ithin 30 days. Elderly older than age 76.5 (odds ratio [ORs] = 48.89, 95% confidential interval [95% CI] 1.40–1,710.25, P = 0.032), technically expertness (OR = 0.01, 95% CI 0.00–0.40, P = 0.013), severity of systemic complications (OR = 23.24, 95% CI, 2.27–238.24, P = 0.008), and severity of local-vascular complications (OR = 31.87, 95% CI, 1.29–784.66, P = 0.034)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30-day mortality. Conclusions: This study revealed that elderly, technically expertness, and severity of systemic and local-vascular complications were associated with 30-day mortality of EVAR and TEVAR in aortic aneurysm.

      • KCI등재

        Early hypopharyngeal cancer treated with different therapeutic approaches: a single-institution cohort analysis

        김나리,이정심,김경환,박종원,이창걸,금기창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16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34 No.4

        Purpose: Early hypopharyngeal squamous cell carcinoma (HPSCC) is a rarely diagnosed disease, for which the optimal treatment has not been defined yet. We assessed patterns of failure and outcomes in early HPSCC treated with various therapeutic approaches to identify its optimal treatment. Materials and Methods: Thirty-six patients with stage I (n = 10) and II (n = 26) treated between January 1992 and March 2014 were reviewed. Patients received definitive radiotherapy (RT) (R group, n = 10), surgery only (S group, n = 19), or postoperative RT (PORT group, n = 7). All patients in both the R and PORT groups received elective bilateral neck irradiation. In the S group, 7 patients had ipsilateral and 8 had bilateral dissection, while 4 patients had no elective dissection. Results: At a median follow-up of 48 months, the 5-year locoregional control (LRC) rate was 65%. Six patients had local failure, 1 regional failure (RF), 3 combined locoregional failures, and 2 distant failures. There was no difference in 5-year LRC among the R, S, and PORT groups (p = 0.17). The presence with a pyriform sinus apex extension was a prognosticator related to LRC (p = 0.01)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Patients with a bilaterally treated neck showed a trend toward a lower RF rate (p = 0.08).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patients with early stage HPSCC involving the pyriform sinus apex might need a tailored approach to improve LRC. Additionally, our study confirms elective neck treatment might have an efficacious role in regional control.

      • KCI등재

        뇌로 보는 춤: 춤과 신경학의 만남

        김나리 한국무용학회 2012 한국무용학회지 Vol.12 No.2

        모든 인간의 활동은 뇌에 의해 조절되는 만큼 그 역할은 중요하다. 뇌의 시대라 불리는 21세기에 들어서면서부터 뇌 를 연구하는 학문인 신경과학이 급격하게 발달하였고 더불어 전통적인 예술 미학이 융합된 신경미학(Neuroaesthetics)이라는 학 문이 대두되었 다. 예술 작품을 만들어 내는 예술가들의 뇌 연구에서부터 예술을 감상하는 사람들의 뇌 구조에 이르기까지 신경미 학은 예술과 아름다움에 반응하는 인간의 뇌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최근에는 신경미학이 미술, 음악의 연구 성과에 힘입어 춤 분 야에까지 확대 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신경학과 춤의 융합 연구의 학문적 성과를 살펴보고 그 학문적 성과가 무용 철학과 무용미학 등과 같이 형이상학적 언어로 설명할 수밖에 없는 춤 관련 연구들을 어떻게 자연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 는지를 밝혀낸 다. 또한 앞으로 춤과 신경학의 융합 연구가 뉴로 댄스라는 새로운 무용학의 한 분야로 발전될 가능성을 조심스럽게 제시한다.

      • KCI등재

        위기청소년 보호시설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서울소재 청소년 일시쉼터를 중심으로 -

        김나리,유영재,최은하 한국공안행정학회 2015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ty problems of residential care facilities for youths at risk and present efficient improvement measures against them. First, this study specified operational realities, trends, and problems of youth shelters through relevant literature research. In addition, through the research of interviewing experts currently working for youth shelters, this study intended to identify operational and functional problems that residential care facilities for youth are actually faced with and seek feasible improvement measures that can be practically applied. Interview research was carried out to two employees working for fixed-type shelters located in Seoul on January 9 and 12, 2015. Problems with establishing and managing youth shelters included the shortage of shelters, the inequality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of operational expenses for each shelter, the management of improperly-run shelters, the inadequate maintenance of nationwide shelters, and the unestablished communication system for youths in shelters. As for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above problems, first, each of temporary, short-term, and middle-and-long-term shelters should restore their original functions. Besides, they should not be limited to a monolithic self-supporting program and instead be reformed into shelters which have characteristics suitable for a variety of needs of youths. Second, it is necessary to redeem loopholes of welfare for youths over twenty years old by adjusting the self-reliance period of youths. Final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system of unifying and managing youth information, which embraces diverse management institutions for youths at risk. In particular, because runaway teenagers often move, it is difficult to trace them in certain regions or some institutions. In addition, currently institutions for managing youths at risk are sporadically divided rather than being integrated into on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collect and manage information under the supervision of a central department in full charge. In order to identify problems which take place in the actual management of shelters and reflect opinions of workers in shelters, the research of interviewing employees working for shelters was carried out. However, the research has limits in that survey targets were limited to employees working for temporary shelters located in Seoul and it could reflect views of youths using those shelters. 이 연구는 위기청소년 보호시설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보다 효율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연구를 통해 청소년쉼터의 운영 실태와 동향, 문제점을 정리하였으며, 현재 청소년쉼터에 재직 중인 전문가와의 면접조사를 통해 청소년 보호시설의 실제 운영 및 기능상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실질적으로 현장에 반영 가능한 개선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청소년쉼터의 설치 및 운영상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으로는 쉼터 수의 부족, 쉼터별 운영경비의 빈부차이, 부실쉼터 운영문제, 전국적인 수준에서의 쉼터관리 미흡, 쉼터이용 청소년에 대한 정보전달 체계의 미확립 등이 있었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는 첫째, 일시-단기-중장기 쉼터가 각 유형별로 본래의 기능을 회복하고 단기-중장기 쉼터가 획일적인 자립 프로그램에서 벗어나 다양한 청소년의 니즈에 부합하는 특성을 가진 쉼터로 거듭나는 것이다. 둘째, 청소년 자립시기 조정을 통해 20세 이상의 청소년들에 대한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위기청소년 관리 기관을 통합적으로 아우르는 청소년 정보통합관리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다. 특히 가출청소년의 경우 이동이 잦기 때문에 추적이 어렵고, 관련 기관이 산발적으로 나뉘어져 있기 때문에 중앙의 전담부처에서 주관하여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관리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쉼터 운영 현장에서 일어나는 문제점과 실무자들의 의견을 반영하기 위해 실제 쉼터 종사자를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실시하였으나 조사대상이 서울소재 일시쉼터 종사자로 한정되었다는 점과 쉼터 이용자인 청소년의 시각을 반영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한계를 갖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