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직업흥미 유형과 희망전공, 진로결정, 학교만족도의 관계

        김나라,방재현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4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variables related with vocational interests for the adolescents. To pursue this goal, main survey data(Nara Kim et al., 2013) was used for data analysis. As a result, the most vocational interest type was the social type in adolescents. The realistic type and investigative type selected a engineering course in the future major. On the contrary, the artistic, social, enterprising and conventional type selected a music, art, and physical course. The realistic type for students in middle school and enterprising & investigative type for students in high school had correlation between vocational interests type and career decision. The realistic type had correlation to the physical course, the investigative type had correlation to the science and math, the artistic type had correlation to the are and music. Based on the findings and conclusion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inform the various occupation and major courses and provide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according to the vocational interest type.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직업흥미와 관련된 다양한 요인들의 관계를 분석하여 학교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직업흥미를 활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김나라 외(2013)가 홀랜드(Holland) 이론에 근거해서 개발한 직업흥미검사 도구 개발 연구에서 중학생 5,119명, 고등학생 5,087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청소년의 직업흥미 유형은 홀랜드의 6가지 유형 중에서 S형이 가장 많았고, 직업흥미 유형에 따른 장래 희망 전공분야는 R형과 I형은 공학 분야를 선택한 반면, A형, S형, E형, C형은 예체능을 장래 희망 전공분야로 선택하여 차이를 보였다. 직업흥미 유형과 진로결정과의 관계는 중학생은 R형, 고등학생은 E형 및 I형이 결정 비율이 높았고, 직업흥미 유형 중 E형이 중학생 및 고등학생 모두에서 가장 학교만족도가 높았다. 결국 중고등학교에서는 청소년에게 직업흥미 유형과 관련된 직업과 전공분야 정보를 구체적으로 제공하고, 이에 맞는 진로지도 및 상담을 제공함으로써 청소년이 좀 더 적극적이고 자기주도적으로 진로를 탐색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와줄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근거이론을 활용한 고등학교 교사의 교과연계 진로교육 수업 경험 분석

        김나라,이현민,이윤진,정윤경,조연수 한국진로교육학회 2018 진로교육연구 Vol.3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subjects-related career education for high school teacher. For this purpose, we developed subjects-related career education’s teaching plans. and We interviewed 8 high school teachers.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theory and procedure of Strauss & Corbin (1994). As a result of the study, 62 concepts of open coding, 38 subcategories, and 18 upper categories were derived. The result of the paradigm component, the central phenomenon is that the subject teacher runs the curriculum - linked career education class. Causal conditions are teachers’ perception of career education and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career education. Contextual conditions appeared to be the development of class environment, class consent, school cooperation. And we conducted interventional conditions and interaction strategies. Conclusion and recommendations of this study, First, Linkage between curriculum goals and career education achievement standards, Second, Use of records and evaluations in student life records, Third, Diffusion of best practices, Forth, Close collaboration between teachers. 이 연구는 근거이론을 활용하여 일반고등학교 교사의 교과연계 진로교육 수업 운영 경험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과연계 진로교육 교수학습지도안을 개발하고 수업을 운영하기 위하여 일반고등학교 교사 8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여 인터뷰하였다. 자료 분석은 Strauss & Corbin(1994)의 이론과 절차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로서, 개방코딩 결과 62개의 개념, 38개의 하위범주, 18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패러다임 구성 요소 결과로서 중심 현상은 교과 담당교사가 교과연계 진로교육 수업을 운영하는 것이며, 이에 대한 인과적 조건은 교사의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 진로교육 질적 향상을 위한 노력이다. 맥락적 조건은 기존 수업 환경에서 운영 가능, 적절한 수업 시기 고려, 긍정적 수업 동의, 긍정적 학교 협조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은 진로교육 전문성 부족 인식, 내용 및 방법적 연계에 대한 고민 속 교수학습지도안 개발, 교과와 진로교육 간 연계 내용 및 비중의 적절성 고민, 수업의 방향성 설정의 어려움, 수업내용의 구체성 설정에 대한 요구, 적절한 수업시간의 안배가 있었다. 중재적 조건은 새로운 교수학습자료의 생성 및 활용, 진로교육전문가 컨설팅, 전문지식 가진 교과교사의 도움이 있었다. 상호작용 전략은 교과연계 방법에 대한 치열한 고민과 연구, 학생의 사전과제 수행 정도, 학생의 적극적 참여가 있었으며, 이의 결과로서 교과연계 진로교육 수업에 대한 교사 자신감, 교과연계 진로교육을 통한 학생 성취목표 달성, 교과연계 수업 확대의지로 확인되었다. 해당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보다 효과적인 수업운영과 학생들의 진로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진로교육 성취기준과의 연계, 학생생활기록부에서의 기록 및 평가 활용, 우수사례 발굴 및 보급, 진로전담교사와 교과교사간의 긴밀한 협업을 위한 환경 제공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해외사례 분석을 통한 자유학기제 운영 방향과 과제 - 아일랜드·덴마크·스웨덴·영국 사례를 중심으로 -

        김나라,최지원 한국진로교육학회 2014 진로교육연구 Vol.2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oreign career education cases and thereby extract implications for setting directions and challenges for Korea’s Free Learning Semester. To this end, literature review, face-to-face interview, and written interview were introduced to analyze Irish Transition Year, Denish Efterskole, Swedish PRAO, and United Kingdom’s Gap Year. Major findings of the cas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ll career education cases were deeply rooted in development of student in that personal, social, and vocational aspects throughout multiple experiences. Second, all career education cases have developed over a long period. Third, all career education cases have intensive experiential programs. Forth, career education cases have placed in and out of educational system depending on the educational context. Fifth, all career education cases made students become more mature through standing and reflecting about themselves, career, and labor market. Directions and challenges for Korea’s Free Learning Semester were as follows: First, Free Learning Semester needs to root in humanistic educational philosophy. Second, Free Learning Semester needs specific mechanism for unleashing educational unfair issues. Third, Free Learning Semester needs shared purpose with all stakeholders in society. Forth, Free Learning Semester needs aligned experiantial activities in and out of educational system. Fifth, Free Learning Semester have to integrate academic curriculum and experiential curriculum equally. Sixth, Free Learning Semester fosters students to be communicated and collaborated each other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Seventh, Free Learning Semester needs coordinator with high accountability and expertises. Eighth, Free Learning Semester needs collaboration with coordinator and teachers in school. Lastly, Free Learning Semester make incentive planes for cooperative organizations commited to Free Learning Semester. 이 연구는 해외사례의 의미있는 시사점을 통해 자유학기제의 운영 방향과 과제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해외 사례로 아일랜드 전환학년제, 덴마크 애프터스쿨, 스웨덴 프라오, 영국 갭이어를 선정하여 개념, 도입 배경, 주요특징, 교육적 효과를 문헌연구, 방문인터뷰, 서면인터뷰를 통해 분석하였다. 해외사례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해외사례는 모두 학생들에게 기존의 학문 중심의 교육을 넘어 다양한 교육적 활동, 체험 활동을 통해 학생으로 하여금 자신에 대한 성찰, 직업세계에 대한 성찰을 목적으로 하고 있었다. 둘째, 장기적 관점에서 진로교육적인 요소들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왔다. 셋째, 중등교육단계의 학생을 대상으로 짧게는 1-2주, 길게는 1년 이상의 시간을 집중적으로 할애해왔다. 넷째, 진로교육의 운영은 각 국의 교육환경에 따라 교육체제 내․외에서 이루어지고 있었다. 다섯째, 교육적 성과는 학생이 자신과 직업세계에 대한 성찰이며, 결과적으로 정신적 성숙의 경험이다. 또한 자신의 진로, 미래의 직업에 대해 더욱 진지하게 고민하며 준비할 수 있는 계기가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해외사례 분석을 통해 도출된 자유학기제의 운영 방향과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유학기제는 교육의 본질 회복을 위해 인본주의 교육철학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둘째, 자유학기제는 구조적 환경 토대 마련을 위해 자유학기제 참여로 인한 교육불평등 해소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셋째, 자유학기제는 공유된 목적 형성을 위해 사회통합적 측면에서 자유학기제에 대한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 넷째, 자유학기제는 교육체제 내외의 통합을 위해 자유학기제 교육활동의 연속성 의미를 부여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자유학기제는 교과 유형의 통합을 위해 전통교과와 비전통교과의 통합적 운영에 있어 전통교과의 중요성을 간과하지 말아야 한다. 여섯째, 자유학기제는 체험 유형의 통합을 위해 협업과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다양한 체험활동을 구성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일곱째, 자유학기제는 전담인력의 구성과 함께 전담인력의 책무성과 전문성을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여덟째, 자유학기제는 전담인력뿐만 아니라 관계자, 특히 일반교사의 역할과 참여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아홉째, 자유학기제는 지역공동체 및 산업체의 참여를 독려하기 위한 지원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자발성전체괴사간세포암

        김나라,영준,정준용,이경호,세형,효철,한준구,최병인,이혜승,이경규 대한영상의학회 2003 대한영상의학회지 Vol.48 No.2

        We describe a case of spontaneous total necrosis of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Contrast-enhanced CT scanning revealed a hypoattenuating mass during both the hepatic arterial and portal venous phase. During the latter, subtle capsular enhancement was noted. Ultrasonography demonstrated the presence of a hypoechoic mass with a peripheral hyperechoic rim. The patient underwent tumorectomy, and a totally necrotic mass was found. Microscopic examination revealed necrotic tissue with HCC ghost cells, suggesting spontaneous total necrosis of HCC. 자발성전체괴사를 일으킨 간세포암의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이 종괴는 간문맥기조영증강 CT에서 그 변연부에 미미한 조영증강소견이 있을 뿐, 종괴의 대부분이 저감쇠로 보였다. 초음파에서는 변연부의 고에코띠를 동반한 저에코의 종괴로 보였다. 종양절제술을 시행하였고, 종괴의 모든 부분에서 괴사가 관찰되었으며, 괴사된 조직에서 간세포암에 해당하는 세포의 잔재(ghost)가 보여서, 간세포암이 심한 괴사를 일으킨 것으로 진단하였다.

      • KCI등재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강화를 위한 한국어 수업 구성 연구 -학부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김나라 이중언어학회 2022 이중언어학 Vol.89 No.-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강화를 위한 한국어 수업 구성을 제안하는 것이다. 디지털 환경의 변화로 우리는 이제 원하는 정보를 책이 아니라 인터넷에서 쉽게 얻을 수 있게 되면서 읽기 방식의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외국인 유학생들이 이러한 디지털 환경에서 새로운 읽기 방식을 이해하지 못한다면 학업 적응은 물론 생활 적응에도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외국인 유학생들이 학업과 대학 생활에 적응하고 활발하게 소통하기 위해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이 필요하지만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이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론적 배경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 외국어 교육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연구, 온라인 텍스트 읽기 이해에 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이후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강화를 위해 수업 구성 단계와 요소를 개발하고 수업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우수등재

        오류 패턴 기반의 OCR 오류 수정

        김나라,조용석,박호현 한국정보과학회 2024 정보과학회논문지 Vol.51 No.3

        The development of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 has made it possible to digitize analog documents. It shows very high recognition accuracy for standardized documents. However, OCR errors still occur frequently in complex documents. To resolve these issues, an OCR error correction procedure is required. The majority of OCR errors are repeated for the same characters. Accordingly, OCR error information has an important meaning in OCR error correction work.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utilizing OCR error information. In order to identify patterns, this study examines OCR error data. It then suggests an OCR mistake correction technique based on neural machine translation.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using the English dataset from the ICDAR 2017/2019 Post-OCR text correction competition in order to validate the proposed method.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model using OCR error information demonstrated a higher improvement rate than the model without OCR error information. It also showed up to 8%P improved results compared to the existing state of the art.

      • KCI등재

        만성 정신분열병의 회복과 관련된 변인의 연구

        김나라,권정혜,명식 한국임상심리학회 2005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24 No.4

        Recovery has become an important concept in the mental health and rehabilitation recently. However, there have been only a few empirical and objective studies until now. This study intended not only to define the recovery conceptually and empirically, but also investigated what variables were related to the recovery of chronic schizophrenics among varicables such as general cognitive function, symptoms, social cognition, and social support.. The subjects were 124 chronic schizophrenics, who were enrolled and participated in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for more than 2 years. Independent variables, which was supposed to influence the recovery of the chronic schizophrenics, was Dependent variable was the recovery, composed of recovery scale and rehabilitation outcom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showed social support was the strongest predictor of both recovery and social function. Social cognition was important determinate of recovery. These data suggested that a promising way of recovery from chronical mental illness might be giving them appropriate social support and helping them to perceive social support. It was also proposed clinicians should consider social cognition as important target when developing rehabilitation plans.

      • KCI등재

        조현병 환자의 사회인지 능력 측정을 위한 사회행동 배열과제 개정판의 타당도 연구

        김나라,이은선,강여정,이지예,권정혜 한국임상심리학회 2015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3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ocial Behavior Sequencing Task-Revised (SBST-R) measuring social-cognitive ability of schizophrenia. The outdated items were deleted and replaced and the scoring system was changed to improve the discrimination power of SBST. Response time was counted and the Signed Residual Time (SRT) scoring rule was implemented to increase the assessment function of SBST. SBST-R was administered to 30 schizophrenics attending the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s and 34 normal ad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ronbach alpha coefficient was .95 indicating high reliability. The result of the correlational analyse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of SBST-R with the score of the picture arrangement subset of KEDI-WISC, r=.57, p < .01, and social skill test, r=-.50, p < .01. In addition,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of SBST-R was observed between the schizophrenia group and the normal group, t(64)=-6.68, p < .001.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