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태학적 관점과 한국어 교육에의 적용

        김규훈 이중언어학회 2023 이중언어학 Vol.9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rganize the ecological perspectives in the language education, and to seek for a way to apply it to Korean education. To accomplish this aims, aspects of academic developments of the ecology are arranged. The core concept of the ecological perspectives is the “relationship”. And then, researches oriented to the ecological perspectiv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checked by categories the aims, the contents, and the implementations. On a basis of these researches, study discourses of the ecological perspectives in Korean education are suggested. Those are “the sustainable communicative competence of Korean learners”, “the relationships among the implementation elements in Korean education”, “ecolinguistics and the critical discourse studies” for the “ecological Korean education”. 이 연구는 언어 교육에서 생태학적 관점을 정리하고, 이를 한국어 교육으로 적용하는 방향을 강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둔다. 이를 위해 먼저 생태학의 학적 발전 양상을 정리하였다. 특히 생태학적 관점의 핵심이 ‘관계성’이라는 사실을 파악하였다. 그런 다음 한국어 교육의 인접 학문인 국어교육에서 생태학적 관점을 표방한 연구를 목표론, 내용론, 실행론의 범주에서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에서 생태학적 관점의 연구 담론을 제안하였다. ‘생태학적 한국어 교육’을 위하여 ‘한국어 학습자의 지속가능한 의사소통 능력 연구’, ‘한국어 교육의 실행 요소 간 관계성 연구’, ‘생태언어학과 비판적 담화 연구’ 등이 유의미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연어(collocation)의 어휘 교육적 활용 방안 탐색

        김규훈,이준영,김혜숙 한국국어교육학회 2013 새국어교육 Vol.0 No.95

        이 연구는 어휘 사용 능력 신장을 위해 ‘연어(collocation)’를 활용한 어휘 교육의 방안을 탐색하는 작업이다. 이를 위해 연어와 어휘 교육에 관한 기존 연구를 검토하고 이들을 결합적으로 논의하였다. 연어는 의미가 투명하고 빈번하게 결합하는 어휘소의 공기 관계이다. 이에 연어는 국어교육의 텍스트 소통 과정에서 어휘 사용 능력을 함양하기에 적합한 어휘 자료이다. 어휘 교육 검토를 통해 설정한 연어 활용의 내용 범주는 ‘창조적인 어휘 사용’, ‘어휘의 맥락적 이해와 표현’, ‘어휘적․문법적 의미 탐구’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들 내용을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활동을 구안하였다. 이를 위해 연어의 유형인 ‘어휘적 연어’와 ‘문법적 연어’를 바탕으로, 어휘적 연어의 경우 ‘어휘 의미 이해와 창조적 표현’에, 문법적 연어의 경우 ‘호응 관계 탐구와 문장 쓰기’에 관한 교수-학습 활동을 예시해 보았다. 일련의 연구는 학습자가 텍스트를 소통하는 과정에서 실제적인 어휘의 사용을 유도하는 연어 활용 어휘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ays of vocabulary education using collocations for improving a learner’s vocabulary using competence. 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 purpose, the previous research about the “collocation” and the “lexical education” were searched, and these two are converged. Collocation is a co-occurrence lexeme relation with transparency and frequency. So collocation is an appropriate material with Korean language educational text communication. Contents categories of collocation using are “creative vocabulary using”, “contextual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of vocabulary”, “the lexical․grammatical meaning inquiry”. Following to these contents categories of collocation using in vocabulary education, the teaching & learning activities could be set. Based on the type of collocation, “lexical collocation” and “grammatical collocation”, the activities are proposed from these two types. These are, “understanding vocabulary meanings and creative expression” in lexical collocation, and “agreement-collocation and sentence writing” in grammatical collocation. This study has a meaning to approach an authentic educational way of vocabulary using in text communication.

      • KCI등재

        국어과 창의, 인성 교육의 실행 원리 탐색 : 국어과 핵심 역량의 개념화를 바탕으로

        김규훈,김혜숙 한국어교육학회 2013 국어교육 Vol.0 No.140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implementation principles of the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subject based on a conceptualizing the key competence of Korean language subject which could be using it in Korean language class and applying to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It has a meaning of planning effective teaching-learning ways by consideration of a theoretical connection between the key competence of Korean language subject and the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subject. The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subject could be implementing by conceptualizing the key competence of Korean language subject. Because the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subject is an educational method for aiming the key competence of Korean language subject as a goal. The key competence of Korean language subject is a competence which is especially achieved by Korean language education among the key competence of all subjects. These categorized key competence are the competence of “Text Communication, Complex Literacy, Task Research, Self Examination, Environmental Corresponding, Culture Enjoyment”. And then this study define elements of the creativity & personality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subject to connect with these key competences. The elements of the creativity education are “thinking” as an original quality and “discovery and solving” as an activity feature. And the elements of the personality education is focused on the moral “attitude” which is in lists of personality virtue. These elements are subordinately connected to those six categories of key competences, and each class theme could be planned. This study shows a real theme of class, “Environmental Corresponding Competence-oriented, the Grammar understanding and inquiring through the Reading-Playacting"

      • KCI등재

        문법교육에서 ‘국어 의식’의 교육 내용 체계화 방안 -‘언어인식(language awareness)’의 전이를 중심으로-

        김규훈 우리말글학회 2019 우리말 글 Vol.8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 way to systematize the educational contents for “Korean language awareness” as an attitudinal educational contents in the grammar education.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study considers discourses of the Korean subject curriculum and the studies about Korean language awareness and apprehends problems of them. It finds out the conceptualization of Korean language awareness is incompleteness and the educational contents are lack of practicality even though those are related to the “language awareness”. To get over these problems, this study confirms the educational contents in all domains of Korean subject about Korean language awareness and apprehends the language awareness needs to be spread. This study spreads the concept of functional, critical dimensions in the language awareness and the educational designing methods of the language awareness into an area of Korean language awareness. Especially it also checks a possibility to construct the contents of awareness about the power relations by spreading the “critical language awareness”. On a basis of these discussions, this study suggests categories of Korean language awareness educational contents, “the social dimension: Interest in Korean language phenomena, the personal dimension: Reflex and improve Korean language life”, and makes educational contents elements in each category. Furthermore, this study exemplifies an educational content and a practice for Korean language awareness, that is a task about the political power and ideology, which are not deal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until now. 이 연구는 문법교육의 태도 교육 내용에 해당하는 ‘국어 의식’의 교육 내용을 체계화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먼저 국어 의식에 관한 문법교육의 교육과정과 연구 담론을 살펴보고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국어 의식에 대한 개념화가 미흡하고 언어인식과 관련을 이루되 실천성이 결여된 교육 내용으로 설정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극복하고자 이 연구는 국어 의식과 관련된 국어과 범영역적 교육 내용을 확인하여 언어인식의 실천적 논의를 전이할 수 있음을 주목하였다. 이 연구는 언어인식에 대한 기능적, 비판적 차원의 개념과 교육적 설계 방안을 살펴보았다. 특히 비판적 언어인식을 통해 국어 의식의 교육에서 힘의 관계에 대한 인식의 내용을 구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언어인식 기반의 국어 의식 교육 내용에 대한 범주를 ‘사회적 차원: 국어에 대한 관심’과 ‘개인적 차원: 국어생활의 성찰과 개선’으로 설정하고 각각의 내용 요소를 제안하였다. 더 나아가 그간 국어교육에서 다루지 못했던 권력과 이념의 문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다룰 수 있는 국어 의식의 교육 내용과 실제를 예시해 보았다.

      • KCI등재

        학습 필자의 설득적 글에 나타난 쓰기 과정 분석과 교육과정 환류 -작문 프로토콜을 바탕으로-

        김규훈,전용숙 우리말글학회 2023 우리말 글 Vol.9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nection with the ‘writing process’ through the ‘writing protocol analysis’ of the ‘persuasive writing’ produced by learning writers in writing education and to suggest ways to supplement the curriculum of persuasive writing education. In order to effectively compare the completed persuasive writing and the writing process, a writing protocol model for process analysis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stage of the writing process. Based on this model, the ‘medium upper’ and ‘medium lower’ courses were selected from the classes in the first semester of 2022, 15 persuasive writings were analyzed for writing protocols, and the thinking process was confirmed through post-learner interviews. As a result, 30 persuasive articles were classified into ‘upper, middle, and lower’ levels, and based on this, the peculiarities and tendencies of the activity process and results of each writing stage appeared according to the writing level of the learner were identified. In addition, a persuasive writing curriculum improvement plan was prepared by reflecting the analysis results and the correction feedback stage was approached in more detail. It was emphasized that the correction reflecting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r should be applied. 본 논문은 글쓰기 교육에서 학습 필자가 생산한 ‘설득적 글’에 대한 ‘작문 프로토콜 분석’을 통해 ‘글쓰기 과정’과의 연계성을 분석하고 설득적 글쓰기 교육의 교육과정 보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 연구이다. 이에 먼저 완성된 설득적 글과 글을 쓰는 과정을 효과적으로 비교하기 위하여 글쓰기 과정의 단계에 따라 과정 분석을 위한 작문 프로토콜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 모형을 바탕으로, 2022년 1학기에 개설된 <글쓰기기초> 수업 가운데 연구진이 담당했던 수업에서 ‘중상’ 강좌와 ‘중하’ 강좌를 선별하였고, 각 15편의 설득적 글을 대상으로 작문 프로토콜 분석을 실시하고 사후 학습 필자 인터뷰를 통해 글쓰기 과정에서 사고 과정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30편의 설득적 글을 ‘상, 중, 하’ 수준으로 분류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습필자의 글쓰기 수준에 따라 나타나는 글쓰기 단계별 활동 과정 및 결과물의 특이점과 경향성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설득적 글쓰기 교육과정 개선안을 마련하고 첨삭 피드백 단계에 대해서는 더 구체적으로 접근하였다. 그것은 <글쓰기기초>의 교육 내용이나 피드백 내용 및 방식에서 학습 필자의 개별 특성을 반영한 첨삭 내용을 적용할 필요가 있음을 역설한 것이다.

      • KCI등재

        텍스트 중심 문법교육의 원리

        김규훈 한국국어교육학회 2010 새국어교육 Vol.0 No.85

        이 논문은 문법교육이 현장에서 외면 받고 있는 현실을 반성하고 실현 가능한 문법교육의 모습을 찾아가기 위한 이론적 논의에 해당한다. 문법교육은 독립적으로 문법 지식만을 교수-학습하기 위한 교육이 되어서는 안 된다. 이에 문법교육에서 텍스트의 개념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텍스트 중심 문법교육’의 관점을 설정하였다. 텍스트 중심 문법교육에서의 텍스트는 단순한 언어 자료가 아니라 ‘분석 대상’으로서 다양한 문법 요소를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학습자는 다양한 텍스트를 수용하며 텍스트의 의미를 먼저 파악하게 된다. 이때 의미 파악은 ‘통합적 국어 활동’을 통해서 수행된다. 그리고 텍스트의 의미는 ‘문법적 의미’를 기저로 정확하게 파악될 수 있다. 요컨대 텍스트를 중심에 두고 문법 요소를 탐구하는 문법교육의 원리는 문법적 의미가 통합적 국어 활동에 의해서 역동적으로 소통되는 것이다. This study is a theoric discourse that aims at searching for the proper way to apply the Grammar Education in a field of Korean Language learning & teaching. The Grammar Education no longer put objectives on delivering the grammar knowledge. So this study suggests a new perspectives of the grammar education, "The Text-Based Grammar Education", by re-conceptualizing an original concept of the Text. The text on the text-based grammar education is not a simple language material but a target of analyzing, so texts involve various grammar components. Learners get the meanings of text when they first read many texts. At this point, learners understand the meanings by doing integrated language arts, "listening, speaking, reading, writing". When learners get the meanings of texts, the Grammatical meanings could help them understand the meanings more precisely. In short, principles of the text-based education have a core element, that is a dynamic "Communication" with the grammatical meanings by the integrated language arts.

      • KCI등재

        다언어 사회의 ‘언어경관’과 국어교육적 내용화

        김규훈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2022 민족연구 Vol.- No.80

        이 연구는 다언어 사회의 특징적 언어 현상 가운데 하나인 언어 경관(linguistic landscape)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언어 경관의 국어교육적 내용화를 꾀하는 작업이다. 이를 위해 언어 경관의 개념적 요소를 문헌 연구로써 추출하고, 국어교육적 관련성을 가늠하여 교육과정 연구의 방법으로 언어 경관을 적용한 국어교육 내용을 구안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이 연구는 언어 경관이 국어교육으로 적용되는 방향을 ‘국어교육적 활용으로서의 언어 경관’과 ‘국어교육 내용으로서의 언어 경관’으로 설정 하였다. 그리고 국어교육 내용으로서의 언어 경관에 집중하여 ‘언어 경관의 복합양식 성’과 ‘언어 경관의 타당성’의 내용 범주를 설정하고 구체적인 내용 요소를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언어 양식과 언어 문화의 다양성 시대에 국어교육의 실천적 교육 내용을 언어 경관을 통해 구상한다는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linguistic landscape which is peculiar language phenomena in the multilinguistic society, and to construct Korean language educational contents.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study tries to extract conceptual elements of the linguistic landscape by documentary research, and tries to construct contents elemen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sidering a relation of Korean education by curriculum research. As a result, two ways for Korean subject curriculum application of the linguistic landscape are established, “Linguistic landscap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al use” and “Linguistic landscape as Korean language educational contents”. And as the contents category of the linguistic landscape as Korean language educational contents, “Multimodality of the linguistic landscape” and “Validity of the linguistic landscape” are set up, and concrete contents elements in each category are suggested. This study has a meaning to design the practical educational contents through the linguistic landscape in an era of diversity of language modes and language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