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불교 수행이론에 비추어 본 교과의 의미

        김광민 한국도덕교육학회 2005 道德敎育硏究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meaning of school subjects by investigating the principles of Buddhist practice. In common view of comparative studies in education, it may be consider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education and Buddhist practice as drawing some educative suggestions from Buddhist practice, education and Buddhist practice being regarded as different human experiences. But in this study, Buddhist practice can be interpreted with the viewpoint of education, thereby understanding of Buddhist practice being that of education in itself. When the Buddha reached nirvana, he had agony of mind whether he would keep silence or explain nirvana. His decision to explain nirvana after agony reveals the possibility and limit of Buddhist practice. The principle of Sǒn[禪] school is short of educational theory by grasping nirvana in phenomenal world without 'language'(scripture), focusing the difference between 'language' and 'awakening'. But it contributed to our interpreting the original form of school subjects as mind. On the other hand, the principle of Kyo[敎] school has the peril of verbalism in Buddhist practice, focusing the similarity between 'language' and 'awakening'. But it emphasizes that it is not possible to awaken without 'language'. In addition to this, in the principle of Kyo[敎] school it is stressed that Reality is far off in proportion to cultivation of mind. 이 연구의 목적은 불교 수행이론을 탐색함으로써 교과의 의미를 명백히 하는 데에 있다. 통념에서 교육과 불교 수행의 관련을 탐색하는 것은 불교 수행을 교육과 무관한 별개의 전통으로 간주하고, 그러한 전통에서 모종의 교육적 시사를 도출하는 방법을 취할 가능성이 크다. 이와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불교 수행의 전통이 교육의 관점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것, 그리하여 불교 수행에 관한 이해가 곧 교육에 관한 이해라는 점을 부각시킨다. 열반에 이른 석가모니가 깨달음의 상태를 전하고자 할 때, 그가 드러낸 번민과 결단은 불교 수행의 한계와 가능성을 동시에 보여주고 있다. 선종의 수행이론은 한편으로 언어와 깨달음의 차이점에 주목하고 깨달음을 사실의 수준에서 파악함으로써 교육이론으로서의 한계를 드러내지만, 다른 한편으로 교과의 성격을 마음으로 규정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반면 교종의 수행이론은 언어와 깨달음의 유사성에 주목하여 그 수행이 항시 언어주의에 빠질 위험성을 안고 있으면서도, 언어의 불가피성과 가능성, 즉 언어를 배제한 마음의 획득은 가능하지 않다는 점을 강조한다. 아울러 교종의 수행이론은, 선종의 수행이론과는 달리, 실재는 수행과 더불어 보다 멀리 위치하게 된다는 점도 함께 일깨워주고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교과 외 활동’의 성격

        김광민 한국도덕교육학회 2013 道德敎育硏究 Vol.25 No.2

        When we examine the change of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in Korea, we come to know that it was not enough to make efforts to look into the nature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unlike into that of school subjects. Of course there are studie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school subjects, in addition to those to pay attention to the difference between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school subjects. But if these studies become more perfect, they have to suggest the ground of difference between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school subjects, and the mechanism of the cultivation of mind in each channel. In order to understand the nature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clearly, w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distinction 'presentational symbolism' from 'discursive symbolism' by S. K. Langer. If school subjects are on the basis of discursive symbolism, it can be said that extracurricular activities are on grounds of presentational symbolism. On the basis of Langer's analysis, extracurricular activities can be understood presentational symbolism-centered activities. If 'concept' and 'symbol' are different media(or channels) to cultivation of mind, it can be said that students cultivate their minds through 'concept' in subjects, and through 'symbol'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우리의 교육과정 변천과정을 돌아볼 때, ‘교과 외 활동’(특별활동)은, 교과의 경우와는 달리, 그것의 성격을 규명하려는 노력이 미흡했다고 말할 수 있다. 물론 기존의 연구 중에도 교과와 특별활동의 ‘관련’을 탐색한 연구, 그리고 교과와 특별활동의 ‘차이’에 주목한 연구는 나름대로 ‘교과 외 활동’의 성격을 탐색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연구가 좀 더 완전한 것이 되기 위해서는 ‘교과 외 활동’이 교과와 어떤 점에서 구분되는지, 나아가 이들은 어떤 기제를 통하여 심성함양으로 연결되는지를 보다 명확히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교과 외 활동’의 성격을 분명히 드러내기 위해서는 랭거(S. K. Langer)가 분석한 상징작용의 두 가지, 즉 추론적 상징작용(discursive symbolism)과 표상적 상징작용(presentational symbolism)의 구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랭거의 분석에 주목할 때, 교과가 추론적 상징작용에 기초한다면, ‘교과 외 활동’은 표상적 상징작용에 토대를 둔다고 말할 수 있다. 개념과 상징이 심성함양의 상이한 매체라면, 교과는 ‘개념’을 통하여, 그리고 ‘교과 외 활동’은 ‘상징’을 통하여 학습자의 심성함양을 가능하게 한다.

      • KCI등재

        순자의 인성론: 메타프락시스적 관점

        김광민 한국도덕교육학회 2015 道德敎育硏究 Vol.2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Xunzi’s theory of human nature from the viewpoint of metapraxis. Mostly Xunzi’s human nature has been interpreted on the base of Xunzi’s mention about it, focusing his prescriptive concerns. Considering that cultivation of mind needs Ritual(禮) in Xunzi, and that Ritual is product of human artificial efforts, it is possible to regard that haman nature as disposition, to which Ritual exercises, is evil or value-neutral. But focusing that the kernel of Xunzi’s system of thought is cultivation theory of mind, and that human nature should be interpreted in relation to cultivation theory of mind, it is possible to interpret Xunzi’s human nature from another viewpoint. Necessity of metapractical viewpoint arises in this context. So the approach of this study is not to check Xunzi’s mention about human nature, but to investigate what shape Xunzi’s human nature should have been come out to, considering the totality of his assertions. If Heaven(天) is regarded as to have metaphysical nature, and Ritual to have metaphysical status as an aim of cultivation of mind, it must be accepted that human nature, which is a basis of cultivation of mind, also has metaphysical nature. In this context, human nature is presupposition of cultivation of mind. Hence Xunzi’s human nature should be considered as not evil, but absolutely good, far from ostensible understanding of it. 본 연구의 목적은 순자의 인성론을 메타프락시스적 관점에서 해석하는 것이다. 이제까지 순자의 성에 관한 해석은 순자의 발언을 토대로 그의 처방적 관심에 주목하여 이루어졌다. 올바른 인간 형성을 위해서는 예(禮)가 필요하며, 예는 저절로 갖춰지는 것이 아니라 인위적 노력의 산물이라는 점을 중시하면, 예가 가해지기 이전의 바탕, 즉 인간의 타고난 성(性)은 악한 것(혹은 가치중립적인 것)으로 여겨질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순자 체계의 핵심이 수양론이라는 점에 주목하고, 성을 수양론과 관련지어 해석하면, 성은 다른 방향에서 해석될 가능성이 생긴다. 메타프락시스적 관점의 필요성은 이러한 맥락에서 제기된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순자의 체계에 나타난 성에 관한 주장을 확인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순자의 주장 전체에 비추어 볼 때 그가 말하는 성이 어떤 형태로 나타나야 했는가를 탐색한다. 성의 원천인 천(天)이 형이상학적 성격을 가지는 것으로 이해된다면, 그리고 예가 수행의 목적으로서 형이상학적 지위를 가지게 된다면, 수행의 바탕이 되는 성에도 형이상학적 의미가 들어있다는 점을 받아들여야 한다. 이 경우 성은 수행의 논리적 가정이 되며, 이제까지의 표면적 이해에서와는 달리, 성은 악이 아니라 절대적 선(善)으로 간주된다.

      • SCOPUSKCI등재

        뇌저산소증 환자에서 경도의 저체온요법과 Thiopental Sodium 을 병용한 치험례 보고

        김광민,이상면 대한마취과학회 1986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19 No.5

        The capacity of hypothermia to protect the brain during a period of decreased or absent oxygen delivery(hypoxia) is well established both experimentally and clinically. And also experimentally, barbiturates, which are the most potent pharmacologic depressants of cerebral metabolism, do provide protection. A 25 year-old patient, who had suffered from hypoxic cerebral hypoxia was satisfactorily treated by a combination therapy with Thiopental Sodium and Low-grade Hypothermia.

      • KCI등재

        Neutrophil to Lymphocyte Ratio after Treatment Completion as a Potential Predictor of Survival in Patients with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김광민,최향숙,노하니,조인정,임승택,이종인,한애리 한국유방암학회 2021 Journal of breast cancer Vol.24 No.5

        Purpose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TNBC) has been associated with worse prognosis, and biomarkers are needed to identify high-risk patients who may benefit from clinical trials or escalated treatment after completion of standard treatment. We aimed to assess whether the post-treatment neutrophil-to-lymphocyte ratio (NLR) can reflect patient prognosis and determine the follow-up period that can provide the most feasible data. Methods In this retrospective analysis involving patients with TNBC, clinicopathological data, including those on peripheral complete blood cell count, were collected. The prognostic powers of serial NLRs obtained at baseline and after treatment completion were compared. Kaplan-Meier curves were generated to compare the overall survival (OS) and distant disease-free survival (DDFS). Results In total, 210 patients were enrolled. Forty-three (20.5%) events were detected. Two-thirds of the events (29/43) were related to breast cancer. Most recurrent breast cancer-related diseases (27/29) were detected within 5 years of the initial diagnosis. In contrast, half of the events due to secondary malignancies or non-breast-related diseases (7/14) occurred 5 years after the initial diagnosis. Comparison of the prognostic performance of NLRs at baseline and at 6, 12, and 24 months after treatment completion revealed the strongest prognostic performance at 6 months after treatment completion (area under the curve = 0.745). The high NLR group (NLR >2.47) showed worse OS (p = 0.006) and DDFS (p < 0.001) than low NLR group. Conclusion Elevated post-treatment NLR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worse survival in patients with TNBC. We believe that it can be a useful surrogate marker for identifying high-risk patients with TNB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