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초자치단체 정보화의 효율성 측정에 관한 연구

        김건위(Kun-Wee Kim)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05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15 No.1

        This study could find the general appliability of DEA to the relative efficiency measurement of local government informatization. This study sould more effectively measure the relative. efficiency of local government information with DEA. More specially, DEA model could include multiple non-commensurable. inputs and outputs simultaneously,. and without any preliminary weights. Also this. study showed that the managerial information drawn from DEA - reference groups, amount of inefficiency in each input and output - were very useful In other words, the strength of DEA. is that it can enhance the validity of measurement and provide useful managerial information. Because many other. services local government provide are similar to information project of local government in term of output characteristics - multiple and l1on-commensurable outputsmore researches utilizing DEA should be done in the future to measure relative efficiency of local government informatization.

      • KCI등재

        우리나라 인감증명제도의 변화와 경로의존성 분석: 직접증명방식에서 간접증명방식의 전환

        김건위 ( Kim Kun-wee ),현승현 ( Hyun Seung-hyun ),최인수 ( Choi In-su ) 한국거버넌스학회 2016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23 No.3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인감증명제도 변화를 역사적 신제도주의 관점에서 경로의존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인감증명제도 변화와 관련해서 긍정적 환류와 부정적 환류의 두가지 흐름을 중심으로 분석함으로써, 인감증명제도 변화의 한계와 제3의 제도 형성에 대해서 논하였다. 우선, 긍정적 환류의 자기강화요인으로 인감증명서의 발급요건 완화와 대리인 발급 허용이 있었으며, 정보통신발달로 인한 인감의 데이터베이스화 및 전산발급시스템 구축과 담당공무원의 책임 경감을 위해서는 종전의 직접증명방식에서 간접증명방식으로 개편하게 되었다. 다음으로 부정적 환류의 자기부정요인으로는 인감증명을 둘러싼 각종 범죄사건 발생, 무분별한 인감요구에 따른 2차례에 걸친 인감요구사무 감축, 인감증명제도의 폐지를 둘러싼 찬반 갈등 등이 있었다. 이러한 2가지 흐름에 있어서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한 공인인증서 역할 강화,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문자메시지 발송 및 인감증명서 발급목적 명확화, 본인서명제도 도입 등으로 인하여 인감증명제도의 경로진화의 한계에 도달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향후, 공증제도 확대, 전자인증 및 전자위임제도 도입, 본인서명사실확인제도 활성화 등 다른 대체수단이 활성화될 경우 인감증명제도의 존치에 대한 새로운 갈림길에 서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about the path-dependency analysis of Personal Seal Impression Certificate system in Korea. It was analyzed by two viewpoints - `positive feedback`(self-reinforcing factors) and `negative feedback`(self-restriction factors) in order to explain limits of its change and the establishment of a new system. First of all, the positive feedback is relaxation of issuance requirements and authorization for a legal representative to be issued And also, it became possible to build up a database of personal seal, to issue a seal by computer system and it was converted from a direct certification to an indirect method in order to reduce the burden of public officials. On the other hand, the negative feedback is the incidences of crime related to the seal certificate and reckless issuance of the certificate of a seal, which generated conflicts, both for and against the abolition of the certification system. It seems to reach the limits of the development of path of the Seal certificate due to the use of accredited certificate, sending text messages for privacy purposes and use of personal signature. According to the expansion of notary system, use of accredited certificate and the electronic power of attorney, verification of personal signature and the other alternatives, the personal seal certification system will be standing at the new crossroads of its keeping and discarding.`

      • KCI등재후보

        기본소득제의 예상 쟁점 및 정책적 실현가능성에 대한 시론적 연구

        김건위(Kim, Kun-Wee),최인수(Choi, In-Su) 충북대학교 국제개발연구소 2017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Vol.7 No.2

        자본주의 심화에 따른 불평등의 증대, 기술발달에 따른 일자리 감소, 완전고용의 실패에 따른 사회경제적 선순환 구조의 약화는 저성장과 나아가 경제공황에 대한 불안감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적 자누적과 가계부채의 급격한 증가는 이러한 위기적 상황을 가속화하며, 경제성장을 통한 부의 증대가 국민 개개인의 행복증진과 연동되지 못하는 상황에서, 국민들의 복지에 대한 요구는 지속적으로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가가 조건 없이 모든 개인에게 균등하게 지급하는 기본소득제가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본소득제의 채택과 집행되는 과정에서 등장할 수 있는 예상쟁점들을 분석하고, 기본소득제의 실현가능성을 사회윤리적, 경제적, 기술적, 정치적, 행정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기본소득제의 이상이 긍정적이어도 재정지출 등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면 현실적 타당성이 떨어지고 수정된 기본소득제로의 변형이나 기본소득제 자체의 시행이 어려울 수 있다는 결론에 다다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본소득제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서도 인간의 지속가능한 삶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필연적인 제도의 하나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본 연구는 기본소득제의 의제형성 과정에서 예전 사례를 준거로 분석하여 논리적 비약이 있을 수 있으며, 일부 구체성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향후 소요예산분석 및 유사제도와 통합가능성도 함께 연구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increase of inequality due to the deepening of capitalism, the decrease of jobs due to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the weakening of the socioeconomic virtuous cycle structure due to the failure of full employment are extending to low growth and anxiety about economic crisis. The accumulation of fiscal deficits i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the rapid increase in household debt have accelerated the crisis situation and the increase in wealth through economic growth has not been linked to the happiness of individual citizens. In this situation, the basic income that the state uniformly pays to all individuals without condition check is attracting attention.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anticipated issues that may arise from the adoption and execution of the basic income system, and examine the feasibility of the basic income system from the viewpoint of socio - ethical, economic, technical and political perspectives. Even if the basic income system is regarded as positive, if the impact on the society such as fiscal expenditure is large, the realistic feasibility is low and it may be difficult to implement the revised basic income tax reform or the basic income tax system itself. Nonetheless, the basic income system will be one of the necessary institutions in the process of seeking the possibility of human sustainable life eve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However, this study may have a logical leap in analyzing the past cases in the agenda formation process of the basic income system, and there may be some limitations in the specificity.

      • KCI등재
      • 지방자치단체 안전관리계획 수립의 재정립방안에 관한 연구

        김건위 ( Kunwee Kim ) 단국대학교 정책과학연구소 2015 정책과학연구 Vol.24 No.1

        이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의 안전관리계획의 실효성 확보를 위해 계획수립의 장애요인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코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이론적 측면에서 재난관리와 관련된 구조적 측면의 이론을 고찰하였고, 이들 토대로 지방자치단체의 안전관리계획의 수립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재정립 방안을 도출하였다. 문제점은 재난조직의 역량 저하, 계획 내용의 연계성 부족, 재난유형에 따른 활용성 미흡, 지역의 특성 반영의 한계가 나타났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재난 안전조직의 조직 위상 제고, 새로운 계획수립에 대한 공감대 확산, 그리고 재난 및 안전에 대한 재정투자에 대한 인식변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investigates methods that reveal obstacle factors when establishing safety management plans for municipal governments and improving effectiveness of the plans. In the theoretical aspect, this paper studies of theories related the structural factors of disaster control; and based on this theoretical study, we investigate the present conditions and problems of local governments’ safety management plans and suggest reestablishing methods. This paper finds four problems; (1) disaster control officials have less speciality, (2) designed plans do not work harmoniously each other, (3) the plans are not specialized for the disasters`` characteristics, (4) the plans do not reflect the local characteristics. This paper likewise has three methods to improve disaster control power; (1) to enhance the disaster control department’s prestige, (2) to make the wild-spread consensus for establishing new safety management plans, (3) to change the perception of financing for the matters of disaster and safety.

      • KCI등재

        SD를 활용한 성과지향적 평가에 관한 연구: 자치단체 합동평가 재난안전분야를 중심으로

        김건위 ( Kun Wee Kim ),최인수 ( In Soo Choi ),전대욱 ( Dae Uk Jeon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 2013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 연구 Vol.14 No.4

        This study is firstly aiming at diagnosing the present problems of evaluating the performance, especially in the field of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of LGA (Local Government Authorities) in Korea. The study also deals with developing alternatives to solve a series of barrier factors revealed during the evaluation process using System Dynamics. This paper therefore presents literature review including the official documents published by the government and the performance evaluation studies of LGA. Moreover the authors analyze the current practice of the CELG (Combined Evaluation of Local Governments) as performance management, address and map a series of barrier factors in the CELG process to elaborate the CLDs (Causal-Loop Diagrams) and find solutions using system thinking with the CLD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core barrier factors to overcome is lack of proactive indicators/indices in the current practice of the CLEG. The authors therefore recommend to develop more proactive indicators that leads to avoid difficulties in measuring the LGA output, as well as to lessen the burden in competition for rankings and goal of the displaced.

      • KCI등재

        『지방행정연구』지의 게재논문 분석(1986-2014)을 통한 지방자치 및 지방행정의 연구동향 분석

        김건위 ( Kun Wee Kim ),최인수 ( In Su Choi ),전대욱 ( Dae Uk Jeon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5 地方行政硏究 Vol.29 No.1

        본 연구는 1986년 창간 이후 현재 100호를 발간한 지방행정연구 지를 중심으로 축적되어 온 우리나라 지방자치 및 지방행정 연구의 내용과 성격을 진단하기 위한 목적을 지니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우선 행정학 및 정책학 분야에서 지방자치 및 지방행정과 관련된 동향분석 선행연구를 통해 동 분야의 학문적 의미와 위상, 관련된 거시적인 흐름을 분석하고, 이러한 흐름 하에서 분석의 프레임웍을 도출하였다. 분석은 지난 1호부터 99호까지 게재된 총 902편의 논문 전수를 대상으로 기간별 게재동향과 연구분야의 분포, 키워드 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지방행정의 환경변화 따라 IMF 및 2000년대 초반을 기점으로 게재편수와 공동연구가 증가하였고, 이러한 증가와 더불어 많은 연구가 순수 이론적인 내용 보다는 시사성있는 정책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지방자치 시대의 정책연구가 확대되는 데에 있어서 지방자치 및 지방행정 분야에 있어서 국내의 권위있는 학술지로서 기여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지방행정의 일정 분야에 대한 편중도가 심화되고 있으며, 다양한 지방자치 및 지역발전의 이슈를 폭넓게 다루고 있지 못하다는 점에서, 향후 선도적인 학술지로서 다양한 분야에 대한 통섭적이고 차별화된 연구논문을 장려하는 일련의 노력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더욱 실효성있는 한국의 지방자치를 선도하는 학술지로서 자리매김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남기고 있다. This study aims at finding trends of research and policy studies in the field of local autonomy and administration with analyzing all the papers published in the Korea Local Administration Review (KLAR) during 1986-2014, from the first to the 99th issues of the journal. The authors first refer to review and trend-analysis papers published in some of academic journals domestically or internationally authoritative in the fields of study so as to explain macroscopic trends of research in local autonomy and administration as well as to develop the framework of the analyses of this study. The authors moreover categorize all the 902 papers published in the KLAR by time period, authorship, article types, main topics, and keywords to explain key features and dynamics of the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local autonomy and administration in Korea. The results imply that the KLAR has contributed and played in a leading role in the field of policy study evidently since the beginning of 2000’s when the local autonomy institutionalized again in Korea and the policy studies and relevant coworking papers drastically increased, and also that the KLAR currently needs to endeavor to encourage more wide and specialized area of research so as to avoid narrow focuses of current research papers and to maintain the current lead and contributions in the field of local autonomy and administration study.

      • KCI등재
      • KCI등재

        민원배심원제를 통한 민원처리혁신 방안에 관한 연구

        선정원,김건위 한국행정연구원 2003 韓國行政硏究 Vol.12 No.1

        집단민원처리능력의 부족과 행정의 중립성 및 공정성에 대한 신뢰의 약화가 초래하는 한국행정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대안적 수단으로 민원배심원제가 몇 채의 자치단체를 중심으로 도입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80년대 이후 미국의 행정과정에서 본격적으로 이용되기 시작한 대체적 행정분쟁해결제도(ADR)의 연혁, 내용 및 쟁점사항을 파악하여 한국의 민원배심원제 운영에 있어서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미국의 경험과 한국의 민원배심제에서 나타난 이슈들에 대하여 서울시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에 다다랐다. 현재 한국의 행정의사결정절차는 집단민원과 고질적 미해결민원의 해결을 위하여 전문가와 주민의 참여가 활성화 될 수 있도록 변화되어야 한다. 특히, 민원배심원제가 일반행정절차의 개혁을 위해 시사하는 점은, 첫째, 행정결정에 대한 주민의 수용 및 순응확보를 위해 현장예고제 등의 도입에 의해 결정준비절차를 혁신하고, 둘째, 현재 행정절차법상의 당사자등의 개념은 집단민원과 관련해서는 너무 협소하므로 집단민원에 한정하여 민원배심제도를 도입하되 배설철차의 신청권자를 확대해야 하며, 셋째, 민원배심원의 독립성, 중립성, 공정성이 보장되어야 하고 민원배심철차가 공개되도록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며, 넷째, 민원배심원의 조정안이 정식적 행정결정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도록 최종결정의 방식 등에 있어 행정업무의 유형별로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하고, 다섯째, 공무원들이 합리적으로 부관을 설계할 수 있도록 교육이 필요하고 각 행정분야에서 사례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차후 민원배심원제의 발전 및 확대에 앞서 법치주의와 민원해결의 필요가 충돌하여 나타난 '위법한 합의', '위법하지만 합의된 부관'의 문제가 더 심층적으로 검토되고 연구되어야 하며, 또, 민원배심원의 조정안이 정식적 행정결정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특히 합의가 안 될 경우 최종적 결정방법에 대한 연구와 보완이 필요하다고 본다. that the level of information and country competitiveness enhance as the convergence progresses. Besides, this study has provided the systematic and logical framework to the future researches so that they can resume studies effectively under the converging trend, and has made substantial contributions to the researches done in this area by developing the convergence factors and indexes. In recent years, Local Governments in Korea introduce Civil Affairs Jury System because of Public Sector's delays, unfairness, and distrust. To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Civil Affairs Jury System, we examined the experience of US.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and Administrative Dispute Resolution Act. And then, we find that the use of Civil Affairs Jury System involves important issues of confidentiality, representativeness, and accountability. To make a success of Civil Affairs Jury System, First, It is required to prepare Public Sector for this system completely and expand civil participants to insure compliance. Second, the status of Civil Affairs Jury should be guaranteed neutrality, independence, fairness and openness. Third, It should be possible that Civil Affairs mediation transfers to formal decision making. This study intends to provoke a discourse for Rho Mu-Hyun Administration's government reform through an effort to deconstruct the schizophrenic tradition of Public Administration. The neo-liberalism-driven administrative reform is to be criticized by the deconstructing process of the schizophrenic public administration. The Western dualism, public-private distinction, and politics-administration dichotomy is to be reviewed in sequence to provide a logical link from the Western epistemology to problematic practices of administrative reform. The pathological effects of schizophren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