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시의 장(場) 연구 -비유와 리듬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권혁웅 ( Hyuck Woong Kwon ) 민족어문학회 2013 어문논집 Vol.- No.68

        이 논문은 현대시에서 비유와 리듬이 장(場, field) 개념을 통해 기술될 수 있으며, 이 둘이 만들어내는 장이 동일한 것임을 밝히려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비유 에서의 핵심어(비유적인 중심 대상)는 리듬에서도 핵심어(소리-뜻의 중심 대상)다. 이것은 주체에게 핵심적인 의미를 품은 말이 의식적, 무의식적인 박동을 거쳐 소 리로서도 반복되기 때문이다. 이 핵심어가 한편으로는 비유의 중심에 놓이면서 다른 의미들을 조직 화해나가고, 다른 한편으로는 리듬의 중심에 놓이면서 다른 소리들을 조직 화해나간다. 이를 『가재 미』(문태준), 『느낌』(이성복), 『배를 밀며』(장석남)의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비유와 리듬이 공히 의미론의 소관이라는 것, 비유적인 핵심은 소리-뜻의 핵심이기도 하다는 사실이 이 시들을 통해 확인되었다. 현대시에서의 장은 이처럼 의미와 소리가 결합된, 일원론적 체계를 구현하는 핵심적인 개념이다. This article primarily focuses on finding a concept of the field of metaphor and rhythm, which are same field, for the analysis method in the Korean modern poetry. The keyword in the metaphor (thre metaphoric core) and rhythm (the core of the sound-meaning), which are same. Because the conscious and unconscious repetition of a keyword in the poem brings sounds and meanings. Through the keyword, one side organizes various meanings in the center of the metaphor, another arranges difference sounds in the center of the rhythm. This paper analyzed three poems that 가재미 Gajaemi by Mun Tae-jun, 느낌Neukkim by Lee Seong-bok and 배를 밀며 Baeleul Milmyeo by Jang Seok-nam. This study demonstrated convincingly that the metaphoric core and the core of the sound-meaning, which are same. The concept of field is important concept to implement the monistic system in the Korean modern poetry.

      • KCI등재

        이육사 시의 리듬 연구

        권혁웅(Kwon, Hyuck-Woong) 한국시학회 2014 한국시학연구 Vol.- No.39

        이 논문은 이육사의 대표시를 통해서 자유시의 형성원리가 리듬에 있음을 예증하려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정형시가 내용화된 형식의 토대 위에서 지어진다면, 자유시는 개별적인 내용을 개별적인 형식 위에서 구축하는 시다. 다른 자유시와 마찬가지로 이육사의 대표시 다섯 편 역시 형식=내용의 동력을 리듬에서 구하고 있다. 이육사의 시는 현재의 고난과 시련, 미래의 소망을 대립축으로 설정하고, 고난을 극복하고 미래를 앞당기려는 숭고한 결의를 다지는 주체를 등장시키고 있는데, 이런 주제적 측면이 개별 시편의 소리-뜻에서 반영된다. ?절정?에서의 “강철로 된 무지개”, ?청포도?에서의 “청포도”와 “청포”, ?광야?에서의 “광야”와 “광음” “매화”와 “백마”, “초인”, ?교목?에서의 “뉘우침”, ?꽃?에서의 “비”와 “피지”와 “제비”와 “나비” 등이 이런 소리-뜻의 중심이다. 이를 토대로 이육사의 시에서도 리듬충동이 시를 구성하는 의미=소리의 일원론적 토대가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analyzes and examines for the purpose of exemplifying the theory that the rhythm constructed the formation principle of free verse poems with Lee Yuk-sa’s poems. On the one hand fixed verse poems was written on the foundation of form in contents, but on the other, free verse poems written by the individual content built on the individual form. In like manner other free verse poems, Lee Yuk-sa’s poems has the motivation of ‘the form is equivalent to the content’ to get in a rhythm. The subject who appeared, is trying to get over hardships by setting the present trials opposite to the future hope in Lee Yuk-sa’s poems. This thematic aspects are reflected by the sound-meaning of the individual poems. For example “gangcheollo doen mujigae”(The Peak), “cheongpodo”, “cheongpo” (The Green Grape), “gwang-ya”, “gwang-eum”, “maehwa”, “baegma”(The Wild Plain), “nwiuchim”(The Tall Tree), “bi”, “piji”, “jebi”, “nabi”(The Flower).

      • KCI등재

        현대시에 나타난 비유의 상관성 연구

        권혁웅(Kwon Hyuck-Woong) 한국시학회 2009 한국시학연구 Vol.- No.26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kinds of figures, to diagram the ontological positions of them, and to make clear the relations of them. The figures of this paper are five, that is, metaphor, metonymy, synecdoche, symbol and allegory. The diagram of these figures is called the type of ‘reverse pyramid.’ The horizontal axis of this diagram show an ability of comparison, and the vertical axis show a systematic character. Metaphor is started from a horizontal dimension, synecdoche from vertical dimension, and metonymy is created with combzontion metaphor and synecdoche. Symbol is projectile from a horizontal dimension of metaphor to systematic character, and allegory is transfomation from vertical dimension of synecdoche to comparative character. Four figures intersect at the metonymy. Therefore, metonymy is produced with crossing other figures, not the top of diagram, but bottom of diagram. If other figures are combined with metonymy, they each become dead metaphor, functional synecdoche, traditional symbol and monotonous allegory.

      • KCI등재

        1970년대 이후 한국 현대시에서 전위의 맥락

        권혁웅(Kwon Hyuck-Woong) 한국시학회 2007 한국시학연구 Vol.- No.20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context of avant-garde poetry from 1970's to 2000's. There are three types of Korean avant-garde poetry. Each type has it's own techniques. First, there is the social avant-garde type of poetry. It's based on un-poetic points as like montage-technique which put the various discourse together. Second, there is the self-conscious avant-garde type of poetry. It's founded on the nonsense poetry-as it called- or nonsense poetics which are introduced by Kim Chun-su (김춘수). Third, there is the lyric avant-garde type of poetry. It is based on the disharmony and allegory instead of harmony and symbol. The avant-garde means the destruction of the contemporary norm and style. As time goes by, the contemporary meaning of avant-garde is completed done. And the poetry of ‘the late’ avant-garde is posted into the history of literature. The examination of the historical context of avant-garde poetry would be the study of the vicissitude of poetic norm and style.

      • KCI등재

        시적 주체와 시적 상황 - 시의 주체와 대상 그리고 둘을 둘러싼 시공간의 지평 -

        권혁웅(Kwon, Hyuck-Woong) 우리문학회 2021 우리文學硏究 Vol.- No.69

        이 논문에서는 시를 연구하기 위한 단위로 주체와 상황을 제안하고, 그것의 의의를 살피고자 했다. 주체는 시의 언어가 만들어내는 수행적 효과로 출현하며, 실체가 아니라 ‘말하는 것으로 가정’된 지점이다. 시의 목소리는 그 시의 발화를 하는 실체에 종속되는 것(자아, 화자)이 아니라, 그 발화의 효과로서 사후적으로 구성되는 것(주체)이다. 시가 가진 여러 측면을 다층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화자가 아니라 주체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시에서 대상이란 세계의 이미지들로서, 주체에 의해 포착되고 수집되고 배열된다. 자아 중심의 시학에서 시적 대상이 관념의 재료에 지나지 않는다면, 주체 중심의 시학에서 대상은 세계의 표현이자 세계의 구성물이다. 주체는 시적 대상의 일부로서, 대상들의 위계와 배치를 조망하는 조망점으로 기능한다. 주체와 대상의 연계는 시에서 상황을 발생시킨다. 주체와 대상이 엮여서 현시하는 구체적인 장소와 시간을 상황이라고 부를 수 있다. 상황은 주체, 대상, 구체적인 시간과 장소로 이루어진다. 시는 상황 속에서만 주체를 출현시키며, 상황 속에서만 발언한다. 시가 구현하는 세계가 곧 상황이므로, 상황은 시적 언술의 단위가 된다. 주체가 달라지거나 대상이 교체되면 둘의 관계를 통해서 구성되는 상황이 달라지므로, 상황의 변화를 추적하는 일은 시에서의 의미론적 국면을 추적하는 일이 된다. 상황은 시가 구현하는 세계이며, 복수의 상황이 접속하는 양상이 비유이고, 이렇게 비유의 단위로 포섭된 상황이 이미지다. This study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taking subject and situation as a unit for the study of poetry. The subject emerges as a performative effect created by the language of poetry, and is not an entity but a point in time when the subject is “assumed to s peak.” The voice of a poem is not subordinate to the entity that speaks (self or speaker), but is constituted after the fact, as a result of what is spoken (the subject). Therefore, in order to identify the various aspects of poetry in depth, it is necessary to focus not only on the speaker but also on the subject. The objects in poetry are images of the world that are captured, collected, and arranged by the subject. If poetic objects are nothing more than the raw materials for the expression of self-centric poetics, they are the expression and the construct of the world in subject-centered poetics. Subjects are a part of poetic objects, and function as a viewpoint from which to survey the hierarchy and arrangement of these objects. The link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in a poem, and the given place and time in which they are linked, create the poetic situation. Thus, the situation consists of the subject, object, and a given time and place. In poetry, the subject only emerges or speaks within the situation. Since the world realized in poetry is limited to the situation, the latter becomes a unit of poetic speech. If the subject changes, or the object is replaced by another, the situation that is constructed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s also transformed. Therefore, the discernment of situational changes entails the tracking of the semantic dimension of poetry. The situation is the world realized by poetry, metaphor is formed by the connection between multiple situations and their subsumption, and the resulting situation constituted by metaphor is the image.

      • KCI등재

        현대시에 나타난 병렬과 병행 -리듬 충동을 중심으로-

        권혁웅 ( Hyuck Woong Kwon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4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45

        텍스트를 이루는 여러 요소들이 동등하게 배열된 것, 즉 평행성(parallelism)은 시에 새로운 의미론적 요소를 도입하는 독특한 장치다. 이 논문은 구문 차원의 반복을 넘어선 곳에서도 발견되는 평행성에 관한 연구다. 이 논문에서는 이를 위해 시행의 내부에서 관찰되는 횡적인 평행성을 ‘병렬(竝列, 나란히 벌여 섬)’이라 부르고, 시행과 시행 사이에서 관찰되는 종적인 평행성을 ‘병행(竝行, 나란히 함께 감)’이라 부를 것을 제안하였다. 이 논문에서 분석한 병렬의 예는「나룻배와 행인」(한용운), 「별」(이병기)이며, 병행의 예는 「봄은 고양이로다」(이장희), 「사슴」(노천명)이다. 또한 병렬과 병행이 결합함으로써 새로운 의미론적 지평을 열어 보인 예로 「생명의 서」(유치환), 「서시」(윤동주), 「꽃을 위한 서시」(김춘수)을 분석하였다. 시는 전언으로 간추려지지 않거나, 번역 작업으로 옮겨지지 않는 어떤 잉여나 과잉의 요소를 품고 있다. 이것은 소통의 장애물이 아니라 시 자체에 포함되어 있는 풍요로운 의미의 메커니즘이다. 병렬과 병행은 구문의 차원에서 출현하는 리듬의 한 요소로서, 시를 종횡으로 엮어가는 의미+소리 혹은 의미=소리의 결과물이다. 병렬과 병행은 소리와 의미를 통합하면서 리듬을 시 전체에 걸쳐 산포한다. 이로써 시의 독자적인 형성 원리가, 현대시를 읽는 풍요로운 독법이, 현대시에 내재된 수많은 의미의 갈래가, 현대시를 구성하는 다양한 리듬의 차원이 해명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Parallelism, the equal arrangement of various components of a text, is a unique device that introduces semantic factors into poetry. This study focuses on parallelism existing beyond repeated construction. The term “concurrency(/horizontal parallelism)” is used for parallelism observed within a verse, while “vertical parallelism” refers to vertical occurrences of parallelism between verses. As examples of concurrency, this study selected “The Ferry Boat” and “The” by Yongun Han and “Star” by Byeonggi Lee. For parallelism, the poems analyzed were “Spring is a Cat” by Janghi Lee and “Deer” by Cheonmyeong Noh. The poems that opened a new semantic horizon by combining concurrency and parallelism were “The Chapter of Life” by Chihwan Yu, “Prelude” by Dongju Yun, and “Prelude for a Flower” by Chunsu. Poetry contains elements that cannot be summarized or translated into another language. This is not a problem of communication, but rather is due to the mechanism of rich semantics. Concurrency and parallelism are components of rhythm, and also the product of meaning+sound or meaning=sound. They integrate sound and meaning to distribute rhythm across the entire poem. This study seeks to bring new meaning to the principles behind the formation of poetry, the reading and interpretation of modern poetry, and the various rhythms that constitute modern poetry.

      • KCI등재

        순수시의 계보와 한계 -시론과 시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권혁웅 ( Hyuck Woong Kwon ) 민족어문학회 2014 어문논집 Vol.- No.71

        이 논문은 한국 현대시에서 순수시를 표방한 논의 곧 순수시론의 의의와 한계를 그 시적 성과와 함께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순수시란 언어 바깥에 어떤 것을 상정하지 않고 화자나 저자에 종속되지 않으며 사물을 명명하거나 표상하지 않고 의미의 매개물로 격하되지 않는 것을 자신의 이상으로 삼는다. 이것은 순수시가 무(無)의 산물이라는 뜻이며, 자신의 이상을 실현할 수 있는 수단을 결여하고 있음을 뜻한다. 순수시는 실현불가능성을 조건으로 삼는다. 김춘수의 무의미시에는 참여시와 대비되는 운동으로서의 순수시, 불순한 관념의 오염을 차단한 존재론적 순수시, 실제의 의미를 정지시킨 의미론적 순수시의 세 차원이 겹쳐 있다. 첫 번째 순수시는 그 자신을 오염된 대상으로 간주하고 있다는 점에서, 세 번째 순수시는 언어 내부에서 자연발생적으로 출현하는 의미를 차단할 수 없다는 점에서 모순이다. 두 번째 의미의 순수시, 곧 말들의 배합이나 충돌이 만들어내는 소리의 결, 전언을 배제한 기표들이 만들어내는 제2의 의미로 구축되어 있는 시가 순수시의 본질에 가장 가깝다. 오규원의 날이미지시는 그 논리적 근거를 무의미시와 야콥슨의 언어 모델에서 구했다. 오규원은 김춘수의 의미(=관념=불순)/무의미(=존재론=순수)라는 도식을 언어의 두 축인 은유, 환유에 연결 짓고, 전자를 부정하고 후자를 추구하는 시론을 정립하였다. 그런데 실제의 날이미지시에는 관념이 배제되어 있지 않으며 주체의 해석(혹은 그것의 유력한 수단인 은유)이 추방되어 있지도 않다. 오규원이 이런 시론을 구축하게 된 것은, 어조가 만들어내는 환영의 효과를 제거하기 위해서인 것으로 보인다. 이승훈의 비대상시 역시 무의미시의 연장선상에 있다. 그는 시에서 구체적인 대상을 배제하고자 했는데, 이것의 논리적 귀결은 모든 현실, 대상, 자아의 소멸이며, 그로 인한 불안의식의 전면화다. 그런데 “시적인 것도 없고 시도 없다”는 주장은 순수시의 맥락에서는 벗어난 것이다. 순수시는 언어 바깥에서 자신의 존재근거를 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는 비대상시와 동일하나, 바로 그 ‘구하지 않음(무)’에서 실존적이고 독자적인 자신의 본질을 정초하기 때문이다. 성찬경의 밀핵시는 의미의 밀도를 최대한으로 추구한다는 점에서 앞의 논의들과 차별된다. 그러나 그 결과로 언어의 침묵에 최대한 가까이 다가간 일자시가 출현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한 순수시의 맥락에 있다. 그런데 일자시가 추구하는 어감, 어상, 뉘앙스와 같은 의미가 이미 오염되어 있다는 점, 일자시에 이른 후에도 수많은 각주를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밀핵시 역시 자신의 이상을 실현불가능성에 걸어두고 있다는 점이 드러난다. This thesis aim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pure poetry and poetics in modern Korean poetry. Pure poetry believes it ideal that poetic words are not downgraded to the mere vehicle of meaning, neither being subordinate to a narrator or an author, nor calling or representing an object. These conditions suggest that pure poetry lacks the means to realize its ideal. The nonsense poetry of Kim Chun-su have three overlapping layers of pure poetry: pure poetry as opposed to society-participatory poetry; ontological pure poetry that blocks contamination of impure concepts; and semantic poetry, which stops real meaning. The closest to the essence of pure poetry is the second type of poetry which consists of another meaning conveyed by the signifiant; Signifiant, in this case, excludes the tone of sound or the message in the poem as an integration of the context of the poem, resulting from the combination or collision of poetic words. Oh Kyu-Won connected the diagram of meaning (=concept=impure) versus meaninglessness (=ontology=pure) of Kim Chun-Su to the axes of metaphor and metonymy. He established his poetics denying the former and pursuing the latter. Oh Kyu-Won’s raw image poetry, however, does not exclude concept or expel interpretation (or metaphor as a strong vehicle of it) of a subject. Lee Seung-Hoon tried to exclude a specific object and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 “There is nothing poetic, nor is there a poem.” Pure poetry is like Beedaesang (objectless) Poetry given that it does not seek the rationale for existence outside the language. Pure poetry is different, however, in that it establishes its existential and independent essence through “not seeking.”Sung Chan-Kyung pursued the maximum density of meaning. However, the fact that connotation, nuance and appearance of word sound sought after by Ilja (one letter) Poetry are already contaminated and Ilja Poetry requires countless footnotes reveals that Milhaek (meaning of poetic words being highly condensed) Poetry has its ideal at an unattainable level.

      • KCI등재

        현대시에 나타난 리듬의 변주 -『사랑의 변주곡』(김수영)을 중심으로

        권혁웅 ( Hyuck Woong Kwon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5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6

        리듬이 최종적으로 모습을 갖추는 것은 문장이나 행, 연의 차원에서다. 정적인 체계에서는 리듬이 일정한 방식으로 출현하지만, 어조가 다양하게 변화하는 동적인 체계에서는 리듬 역시 변화를 겪는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리듬의 생성, 변주, 전개의 양상을 「사랑의 변주곡」(김수영)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사랑의 변주곡」 에서는 사랑의 반복으로 일종의 배음(背音)을 만들어두고, 구문의 영역에 따라 새로이 출현하는 단위리듬의 교체로 의미의 드라마를 엮어 간다. 다섯 개의 구문 영역이 전개됨에 따라서 새로운 단위리듬이 부상하고 사라지는데 이 리듬들은 이 시의 의미론적 전개를 받아 안는 것이기도 하다. 이 다섯 개의 영역은 다음과 같다. ①사랑과욕망의 드라마를 펼쳐 보이는 리듬 영역(A), ② 모든 부정성들을 긍정성으로 끌어안는 리듬영역(B), ③죽음의 시간과 공간을 혁명의 그 것과 일체화시키는(죽음 속에서 사랑=혁명의 시작을 알리는) 리듬 영역(C), ④복사씨와 살구씨가 만들어내는 잠재성으로서의 사랑을 표시하는 리듬 영역(D), 그리고 궁극적으로 ⑤사랑이 활짝 피어날 혹은 사랑에 미쳐 날뛸 날의 도래를 알리는 리듬 영역(E). 통사의 변화는 그것을 출현시킨 심층구조로서 리듬의 변화를 표현한다. 따라서 리듬의 변주양상을 살피는 일은 시의 심층구조를 해명하는 일이자, 새로운 의미론적 지평을 개척하는 일이기도 하다. 리듬의 변주 양상을 짚어냄으로써 현대시의 심층을 탐사하는 탐침 하나를 얻어내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Rhythms take form in terms of sentences, stanzas, and lines. In static systems, rhythms take regular forms, whereas in dynamic systems where there are variations in tone, rhythms change as well. This paper examines how rhythms are generated, changed, and developed, focusing on Variations of Love(Sa-rang-ui Byeon-ju-gog) by Soo-Young Kim as an example. Kim``s Variations of Love(Sa-rang-ui Byeon-ju-gog) has certain overtones generated through the repetition of the word love(sa-rang) and a drama of meaning weaved by changing unit rhythms for different areas of syntax. As the five areas of syntax develop, new rhythm units appear and disappear and these rhythms are in sync with the semantic development of this poem. The five areas of syntax are as follows: (A) an area of rhythm where there are dramas of love(sa-rang) and desire(yok-mang); (B) that where positivity embraces all negativity; (C) that where the time and space of death are integrated with those of revolution (love in death = heralding the beginning of revolution); (D) that where love is expressed as the potential created by peach stone and apricot stone(bog-sa-ssi-wa sal-gu-ssi), and; (E) that which ushers in the day when love will burst into bloom or the day when the peach stone and apricot stone will go berserk in love. (sa-rang-e mi-chyeo nal-ttwil nal) The change of syntax is expressed as the change of rhythm, a deep structure that leads to the change of syntax. Therefore, examining rhythm variations is a way of interpreting the deep structure of a poem as well as a way of opening up new semantic horizons. It is hoped that the understanding of rhythm variations will provide us with a new tool for exploring modern poetry in depth.

      • KCI등재

        정지용 시의 리듬 연구

        권혁웅(Kwon, Hyuck-woong) 한국근대문학회 2014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5 No.1

        이 논문에서는 정지용의 초기 대표작 네 편의 리듬을 분석하였다. 리듬은 정지용 시의 난해성을 돌파하기 위한 유력한 방안의 하나다. 「카페 프란스」의 리듬 분석을 통해 시에 등장하는 “앵무새”나 “이국종 강아지”가 나(와 청년들)의 심사를 대변하는 동병상련의 존재들이라는 사실을 밝힐 수 있었고, 「바다 2」에서는 그동안의 논의와는 전혀 다른 해석의 가능성(이 시가 손으로 바닷물을 뜨는 행동으로 일관되게 읽힐 수 있다는 사실)을 찾아낼 수 있었으며, 「유리창 1」에서는 “외로운 황홀한”이라는 양가감정이 리듬 차원에서도 형상화되어 있음을 볼 수 있었고, 「무서운 시계」에서는 “옵바가 가시고” 없다는 단순한 내용을 풍요로운 리듬이 보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리듬 연구는 이처럼 시의 난해성을 돌파하는 실마리를 제공해줄 수도 있다. 정지용 시의 리듬 연구를 통해서 난해한 것으로 알려진 다른 시편들 또한 해명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is to study on the rhythm of Jeong Ji-yong"s poetry. It examines for the purpose of exemplifying the theory, that the rhythm is a way to break through obscurity in poetry. This paper analysed the fact that I sympathize with presentation("parrot", "exotic dog", Cafe Frans), and the possibility of an entirely different interpretation(The Sea 2). And it examined for the ambivalence in the rhythm(Window-pane1), that the wealthy rhythm is complement of poor contents(The Scary Clock). This study of the rhythm provides a clue to break through obscurity in poetry. It should help to study other abstruse poems.

      • KCI등재

        현대시의 리듬 체계

        권혁웅 ( Hyuck Woong Kwon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4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2 No.2

        This thesis aims to propose the Korean modern poetry rhythm system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is system in specific poems. The rhythm system proposed in this thesis is as follows: Unit rhythm is the core unit of rhythm created on the basis of “sound-meaning,” which is the combination of meaning and sound.Unit rhythm is the very place where meaning and rhythm arise. It is also a phonemic complex that contains a morpheme. Several unit rhythms can be found in a poem depending on the poem’s semantic horizons;Base rhythm comes from the emergence of phonemes that form unit rhythm. Being subordinate to unit rhythm, base rhythm also preserves part of the meaning. Sometimes psychological features of sound manifest themselves in base rhythm, which is also related to the signifying means of base rhythm;Phrase rhythm is the last instance of rhythm that appears in the context of syntax. Just as meaning is completed by syntax, so is rhythm by phrase rhythm. Being created through vertical and horizontal arrangement of lines and stanzas, rhythm becomes a new source of semantics. These three types of rhythm systemize the rhythm quality of “sound-meaning” in the pre-morpheme, morpheme, and phrase phases. It is believed that rhythm as a phonological combination will now be applied to the overall context of discourse for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